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학이론
· ISBN : 9788965642848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3-07-03
책 소개
목차
서론: 이론의 토대
크립 이론
노화와 퀴어 시간성
노화와 팔루스
퀴어 팔루스
일화 이론
1부 하이힐과 휠체어
나의 이야기
이야기의 결말
도시의 거리
페미니즘과 하이힐
젠더와 장애
휠체어에서의 팔루스
이야기의 결말(재상연)
2부 전립선 수술 이후의 섹스
나의 이야기
낯선 시간성
프리컴과 이성애 성교 의무
이성애 성교 의무에 저항하기
장기간에 걸쳐 변화하는 섹슈얼리티
결론
팔루스와 팔루스의 시간성
장기간에 걸쳐 변화하는 정체성
옮긴이 후기
주
참고 문헌
찾아보기
리뷰
책속에서
장애는 퀴어보다 더 퀴어하고, 정상성에 저항하는 강력한 방식이자 근본적으로 신체의 다름을 인정하는 통로가 된다.
퀴어 시간성은 재생산을 특권화하는, 비생식적 삶과 순간들을 저평가하는 성적 생애 경로에 도전한다. 재생산성에 대한 퀴어 비평에 시간의 차원을 덧붙이는 것은 퀴어의 삶을 결혼과 자녀 바깥에 두고자 하는 요구일 뿐만 아니라 완경 이후의 섹슈얼리티와 같은 비생식적 순간에 대한 요구를 의미한다. 생애 경로를 퀴어화하는 것은 그래서 생애 어느 구간이 적절히 성적이며 어느 구간은 그렇지 않음을 규정하는 시간 순서에 이의를 제기한다는 의미다.
내가 그렇게 퀴어 시간성 이론에 몰두하고 있었기 때문에, 어쩌면 불가피하게도 그 관점에서 노화 역시 고려하게 되었는지 모르겠다. 왜냐하면 걸레트가 언급했듯이, 노화는 “시간성의 한 가지 형식”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나는 진정 노화가 시간성에 관한 모든 것, 문자 그대로 시간성의 생생한 경험이라고 말하고 싶다. 우리의 분석에 노화를 추가하는 일은 또 하나의 정체성 집단을 추가하는 것이라기보다는 크립 이론에 시간성을 추가하는 작업이자 섹슈얼리티와 몸에 대한 이해에 시간성을 추가하는 작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