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가족커뮤니티 내 복수의 시공간과 도래할 가족커뮤니티

가족커뮤니티 내 복수의 시공간과 도래할 가족커뮤니티

사라 쿠프만, 랜든 핸콕, 김미연, 류도향, 최대희, 권영빈, 한의숭, 잭 할버스탬, 소피 루이스, 한경애, 정미선 (지은이)
한국문화사
2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7,000원 -0% 0원
1,350원
25,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가족커뮤니티 내 복수의 시공간과 도래할 가족커뮤니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가족커뮤니티 내 복수의 시공간과 도래할 가족커뮤니티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사회학
· ISBN : 9791169193061
· 쪽수 : 386쪽
· 출판일 : 2025-03-31

책 소개

적층과 생성을 거듭하는 가족커뮤니티의 시공간에 주목하여, 다층적인 만남과 접촉에 기초한 가족커뮤니티의 촘촘한 연결 속에서 만들어지는 전환과 재도약의 역량을 길러내고 친밀관계의 열린 미래를 전망하고자 한다.

목차

『가족커뮤니티 내 복수의 시공간과 도래할 가족커뮤니티』를 발간하며

제1부 가족커뮤니티와 복수의 시간성

사라 쿠프만 「차이를 넘어선 연결과 세대 간 이해를 구축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구술사 지도화 작업」
랜든 핸콕 「목소리의 힘」 - 아일랜드 분쟁 이후 평화구축으로서의 스토리텔링 -
김미연 「『사피라와 노예 소녀』의 장애, 노화, 섹슈얼리티 연구」

제2부 가족커뮤니티와 복수의 공간성

류도향 「도시에서 차이의 공간 만들기」 - ‘공간 달꿈’ 사례를 중심으로 -
최대희 「재미한인 귀환이민자의 이민동기와 새로운 시작으로서 귀환이민」
권영빈 「냉소하는 도시와 이야기의 패치워크」- 박완서의 「꽃을 찾아서」(1986)를 중심으로 -
한의숭 「만주 지역 망명 지식인에게 가족과 공동체의 의미」- 『백하일기(白下日記)』를 중심으로 -

제3부 가족커뮤니티의 경계지평과 다공적 미래

잭 할버스탬 「커뮤니티 이후」
소피 루이스 「제노사이드 시대의 친족 만들기」- 돌봄의 공동체화, 가족 폐지, 그리고 유년기의 무기화 -
한경애 「비공통적 신체 돌보기」- 무관심한 돌봄과 협업을 통한 커먼즈의 생산 -
정미선 「퀴어 즐거움의 서사적 의미망과 퀴어 느낌의 정치」- 즐거움의 삶 자원을 통한 퀴어한 미래 짓기를 향하여 -

저자소개

소피 루이스 (옮긴이)    정보 더보기
미국 브루클린사회연구소에서 페미니즘과 비판 이론을 중심으로 임신의 정치, 페미니스트 성 전쟁과 쾌락의 정치, 에코페미니즘과 제노페미니즘, 아동 해방론, 트랜스?퀴어?여성의 이론과 정치 등을 가르치고 있다. 프리랜서 작가이자 활동가이기도 하다. 학부에서 영문학을 전공하고, 환경인문학 분야에서 두 개의 석사학위 및 영국 맨체스터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 저서로 임신노동과 자본주의 그리고 친족에 대한 내용을 담은 『Full Surrogacy Now: Feminism Against Family』(2019), 사적 핵가족 형태에 대한 긍정적인 지양으로서의 폐지주의의 개념을 소개한 『Abolish the Family: A Manifesto for Care and Liberation』(2022) 등이 있다. 최근 『Enemy Feminisms: TERFs, Plicewomen and Girlbosses Against Liberation』(2025)를 집필했다.
펼치기
류도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분야는 사회철학, 미학, 가족커뮤니티인문학이며, 대표 논문으로 「가족하기-되기: 연결의 메타플라즘」(2023), 「열린 가족과 진보적 장소감」(2020) 등이 있다. 최근에는 한국사회의 가족이데올로기, 가부장주의를 해체하고 다양한 친밀 영역을 재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철학적으로 규명하며 관계정치학, 커뮤니티 이론, 도시 커뮤니티에 대한 학제적 융합 연구를 시도하고 있다.
펼치기
류도향의 다른 책 >
한의숭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문학 전공으로 주로 한문소설을 중심으로 연구하였으며, 대표 논문으로 「고전소설과 지역성의 관계를 둘러싼 몇 가지 斷想―漢文小說을 중심으로」(2023), 「조선후기 문집에 나타난 『금오신화(金鰲新話)』와 『기재기이(企齋記異)』의 흔적」(2020) 등이 있다. 최근에는 전쟁 관련 실기 문헌과 조선 후기 영남 남인의 산문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한의숭의 다른 책 >
최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양사 전공자로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에는 이주사회와 이주민 연구에 큰 관심을 갖고 있으며, 이 분야의 주요 논문으로 「‘방법론적 국가주의’와 이민자 개념의 변화―서유럽의 국민국가 건설시기를 중심으로」(2022), 「초국주의, 초국화 그리고 21세기 초국적 가족」(2022), 역서로 『초국화―경계를 넘어서는 사회화의 이론과 실제』(2023)가 있다.
펼치기
최대희의 다른 책 >
정미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원 HK+가족커뮤니티사업단 HK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전공은 한국현대소설론이며, 전남대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화지리적 이종공간의 서사적 위상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최근 논문으로 「동시대 한국소설에 나타난 퀴어 즐거움의 서사적 의미망과 퀴어 느낌의 정치」(2024), 「『독신녀』의 영화화에 나타난 1970년대 한국 문화의 젠더 정치」(2024)가 있다. 레즈비언과 여성의 시선에서 한국사회의 서사화된 문화적 경관과 커뮤니티의 공간화된 정치를 탐색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미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 감정문화연구소 학술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경희대학교 영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에서 강의 중에 있다. 『퀴어 시간성에 관하여』(2023)를 번역하였고, 『우리 시대의 마녀』(2023), 『실패의 페다고지』(2022)에 공저자로 참여했다.
펼치기
권영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동아대학교 한국어문학과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 현대소설을 전공했고 「박완서 소설의 젠더지리학적 고찰」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2023년 창비신인평론상을 수상하며 비평 활동을 시작했고 비평전문계간지 <오늘의문예비평>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젠더와 공간, 돌봄과 죽음의 문제에 관심을 갖고 있다. 최근 발표한 글로 「인간적인 것을 향한 (부)적절한 인카운터」(『창작과비평』 2024년 겨울호), 공저로 『교차하는 페미니즘』(보고사, 2023)이 있다.
펼치기
권영빈의 다른 책 >
한경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연구원. 도시화, 불안정성, 도시적 커먼즈 등을 키워드로 동아시아 도시에서 일, 돌봄, 금융을 둘러싼 다양한 실천과 이 속에서 생산되는 주체성의 문제를 연구해 왔다. 「마을 공동체에서 도시적 커먼즈로: 동아시아의 시선으로 보는 도시적 커먼즈」(2022) 등의 논문, 『커먼즈란 무엇인가: 자본주의를 넘어서 삶의 주권 탈환하기』(2024) 등을 집필했다.
펼치기
사라 쿠프만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켄트 주립 대학(Kent State University) 평화와 분쟁 학부(School of Peace and Conflict Studies) 교수로 재직 중이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에서 인문지리학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분쟁과 갈등 관리, 비폭력 이론과 실천, 이행기 정의, 젠더?권력?갈등, 사회 운동과 비폭력 기반 갈등 전환 등 다양한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최근 논문으로 「Making Space for Peace in Contexts of ‘Non-war’ Violence: Challenging War-Peace Binaries Through Feminist, Spatio-Temporal, and Decolonial Approaches」(2024) 등이 있다. 현재 2026년 켄트대 5?4 박물관에서 한국 광주 5?18에 대한 전시회를 기획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두 사건의 공통점을 보여주는 전시회 소책자 제작도 구상하고 있다.
펼치기
랜든 핸콕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켄트 주립 대학(Kent State University) 평화와 분쟁 학부(School of Peace and Conflict Studies) 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지 메이슨 대학교에서 갈등 분석과 해결학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분쟁의 발생 및 역학과 해결에서의 민족과 정체성의 역할, 로컬 평화 구축 등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 분쟁과 갈등 이론, 갈등 연구의 철학과 방법론, 갈등 관리 현장 연구, 갈등에서의 민족과 문화적 차원, 글로벌 차원에서 정체성과 갈등, 환경 갈등, 글로벌 평화와 분쟁, 평화 구축 등 다양한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최근 논문으로 「Peacebuilding Accountability: The United Nations Peacebuilding Fund and Community-Based Monitoring and Evaluation」(2023) 등이 있으며, 대표 저서로 『Zone of Peace』(2007)가 있다.
펼치기
잭 할버스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컬럼비아 대학(Columbia University) 교수로 재직 중이며, 섹슈얼리티와 젠더 연구소 소장이다. 미네소타 대학에서 영문학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시간성과 섹슈얼리티, 퀴어 이론과 신유물론, 퀴어 모더니즘, 동물 연구, 퀴어 시각 문화, 퀴어 퍼포먼스 연구, 트랜스/퀴어 이론, 트랜스젠더 연구 입문, 섹슈얼리티 연구 입문 등 다양한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문화 연구, 퀴어 이론, 시각 문화, 고딕문학과 공포영화, 대중문화, 페미니즘 이론과 젠더 연구, 19세기 및 20세기 영문학 및 동시대 미국 문화 등을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 최근 저서로 『Trans*: A Quick and Quirky Account of Gender Variability』(2018), 『The Queer Art of Failure』(2020), 『Wild Things: The Disorder of Desire』(2020) 등이 있으며, 『Unworlding: Queer Anarchitecture and the Aesthetics of Collapse』를 집필하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