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사상/사회사상사 > 자유주의/신자유주의
· ISBN : 9788965706861
· 쪽수 : 172쪽
· 출판일 : 2018-10-12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통치론》의 저자 로크, 또는 로크의 《통치론》
2장 로크의 생애와 시대
3장 《통치론》의 정치사상사적 맥락과 의미
4장 ‘가부장 지배론’ 비판과 새로운 정치관
5장 로크의 자유주의
6장 《통치론》의 주요 내용과 영향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1704년 4월, 로크는 자신의 생명이 얼마 남지 않았음을 느끼고서 자신의 소유지를 조카에게 남긴다는 내용의 유언장을 작성했다.
전직 대통령의 구속과 이른바 ‘미투(#MeToo)’ 운동에 의한 리더들의 몰락에는 하나의 공통된 원인이 있다. 그것은 자신들이 가진 권력의 한계를 그들이 스스로 인식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권력자들은 자신들이 가진 권력이 그 한계 안에서 사용될 때에만 정당할 수 있다는 것을 알지 못했거나 알면서도 무시했다.
‘권력의 한계’는 먼저 권력 자체의 성격에 의해, 다음으로는 그 권력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의 동의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권력의 대상이 되는 사람들이 스스로 권력의 성격을 어떻게 이해하느냐가 사실상 권력의 한계를 결정한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가 오늘날 경험하고 있는 변화는 권력의 성격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이 바뀌는 현상이다. 달리 말하면, 권력의 성격을 과거와 다르게 이해하는 사람의 수가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정치적 권력이 마땅히 해야 할 일은 하지 않고 엉뚱한 짓만 일삼은 것에 대한 비판은 경제적 영역에서의 이른바 ‘갑질’에 대한 비판과 같은 것이고, 사회 전반에서 암암리에 행해지던 성적 희롱과 추행, 폭행 등에 대한 비판과도 같은 것이다. 부패의 핵심은 정당한 범위를 넘어서 권한을 남용하는 것이다. 경제적으로 사익을 취하라고 우리가 대통령에게 정치적 권력을 부여한 것은 아니다. 경제적으로 노동력을 사용하는 지위에 있다고 해서 노동력을 공급하는 사람을 인간적으로 모욕할 권한마저 가지는 것도 아니다. 다른 사회적 관계에서 우월한 지위에 있다고 해서 열등한 지위에 있는 사람을 성적으로 희롱하거나 착취해도 좋은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