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청소년 > 논술참고도서
· ISBN : 9788965823469
· 쪽수 : 344쪽
· 출판일 : 2022-06-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➊상고 시대의 한국 문학
1과 입으로 전해져 온 옛이야기 | 설화
하늘과 땅이 결합해 새로운 세계가 열리다 -「단군 신화」
알을 깨고 등장한 ‘고구려의 자부심’ -「주몽 신화」
조신은 왜 정토사를 세웠을까 -「조신의 꿈」
구두쇠 영감이 잔치를 벌인 이유는? -「자린고비 설화」
2과 이야기의 한 부분이 시가로 탄생하다 | 고대 가요
“우리에게는 왕이 필요합니다.” -「구지가」
이별의 한이 물처럼 흐르다 – 백수 광부 아내의「공무도하가」
다정한 꾀꼬리가 부럽구나 - 유리왕의「황조가」
“무사하게만 돌아오세요.” - 어느 행상인의 아내의「정읍사」
3과 시에 담긴 우리말 | 향가
삼국 시대의 ‘미스터리한’ 사랑 이야기 - 서동의「서동요」
사람들은 왜 처용 얼굴을 문에 붙여 놓았을까 - 처용의「처용가」
누이의 죽음에 대한 ‘서정(抒情)’ - 월명사의「제망매가」
4과 한자에 운율이 담기다 | 한시
“만족했다면 어서 돌아가시오.” - 을지문덕의「여수장우중문시」
비 내리는 밤, 고독은 깊어지고 - 최치원의「추야우중」
역사 함께 읽기 – 아주 오래전 한반도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
➋고려 시대의 한국 문학
1과 사물이 살아 숨 쉬다 | 가전
‘돈에 대한 탐욕’을 경고하다 - 임춘의「공방전」
고려 시대 최고 애주가의 술 이야기 - 이규보의「국선생전」
2과 일상의 경험을 담다 | 설
썩어 버린 재목이 준 교훈 - 이규보의「이옥설」
“우리 인생 전체가 남에게 빌린 것.” - 이곡의「차마설」
3과 고려 시대의 유행가 | 고려 가요
“이별해도 절대 절망하지 않겠어요.” -「가시리」
향가의 숨결을 이어받은 고려 가요 - 정서의「정과정」
고려의 혼란 속에서 탄생한 노래 -「청산별곡」
4과 ‘귀족들만의’ 고려 가요 | 경기체가와 시조
포부와 자신감이 넘치는 이 노래, 어떻습니까 – 한림 제유의「한림별곡」
흰 머리를 보며 인생의 이치를 깨닫다 – 우탁의「ᄒᆞᆫ 손에 막ᄃᆡ 잡고」,「춘산에 눈 녹인 ᄇᆞ람」
5과 한문학의 꽃 | 한시
드넓은 대동강에 눈물을 더하다 - 정지상의「송인」
“역사와 인간의 삶은 참으로 무상하구나.” - 이색의「부벽루」
역사 함께 읽기 – 고려 사회는 어떻게 발전하고 변화해 갔을까?
➌조선 전기의 한국 문학
1과 최초의 ‘소설’이 탄생하다 | 한문 소설과 수필
생사를 넘나든 ‘아름다운 인연’ - 김시습의「만복사저포기」
시대를 뛰어넘은 ‘진보적’ 사상을 담다 - 김시습의「이생규장전」
‘험한’ 파도 위를 선택한 노인의 이야기 - 권근의「주옹설」
2과 ‘훈민정음’이 몰고 온 새바람 | 악장과 언해
훈민정음 장체의 ‘첫 번째 결실’ - 정인지, 권제, 안지 등의「용비어천가」
조선이 반한 ‘애국심과 충심’ - 두보의「춘망」
3과 ‘간결한 형식’이 사대부의 마음을 끌다 | 시조
“두 임금은 섬길 수 없습니다.” - 길재의「오백 년 도읍지를~」
‘기발한 천재성’으로 사랑을 노래하다 – 황진이의「동지ㅅᄃᆞᆯ 기나긴 밤을~」
자연 속에서 ‘진정한 학문’을 꿈꾸다 - 이황의「도산십이곡」
4과 우리 민족의 ‘호흡’과 잘 어우러지다 | 가사
대자연 속에서 ‘봄’과 ‘풍류’를 즐기다 - 정극인의「상춘곡」
가사에 담은 ‘우리말의 아름다움’ - 정철의「속미인곡」
이 한(恨)을 어떻게 다스릴꼬 - 허난설헌의「규원가」
역사 함께 읽기 – 조선이 나라의 기틀을 마련하고 발전한 과정은 어떠했을까?
➍조선 후기의 한국 문학
1과 사회적 혼란 속에서 꽃핀 ‘국문 소설’ | 고전 소설
악한 행동은 뉘우치고 곧 깨닫기를 - 김만중의「사씨남정기」
호랑이가 인간을 호되게 질책하다 - 박지원의「호질」
‘효의 아이콘’ 심청의 감동적인 이야기 -「심청전」
2과 ‘역사적 사실’과 ‘개인적 체험’의 교집합 | 수필
바느질 도구들, 인간의 모순을 논하다 -「규중칠우쟁론기」
“너무 기뻐서 울고 싶구나.” - 박지원의「동곡할 만한 자리」
3과 서민들의 생생한 목소리 | 핀소리민속극
어깨를 들썩이며 ‘보고 듣는’ 이야기 -「흥보가」
‘신명 나고 즐겁게’ 사회를 비판하다 -「봉산탈춤」
4과 일상적이고 현실적인 체험을 녹여 내다 | 가사
양반도 예전 같지 않구나 – 박인로의「누항사」
유배지에서의 ‘생생한 절규’ - 안조환의「만언사」
5과 ‘문학의 대중화’가 시작되다 | 시조한시
자연 속에서도 드러난 ‘사대부의 자존심’ - 윤선도의「만흥」
농촌과 농민을 바라보는 ‘따스한 시선’ - 정약용의「탐진촌요」
역사 함께 읽기 – 조선은 어떤 변화를 겪고 새롭게 나아갔을까?
사진 제공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