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야생화 조경도감 365

야생화 조경도감 365

(들꽃풍경 식물원의 야생화 조원)

기의호 (지은이)
주택문화사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야생화 조경도감 365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야생화 조경도감 365 (들꽃풍경 식물원의 야생화 조원)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동물과 식물 > 식물도감
· ISBN : 9788966030026
· 쪽수 : 752쪽
· 출판일 : 2011-02-14

책 소개

집 앞마당에 야생화를 어떻게 심는 것이 예쁜지, 어떤 꽃들과 함께 배열할지에 대한 힌트를 제공하는 책이다. 365종의 꽃마다 접사와 전사, 군락사진을 비롯해 실제 조원한 장면을 소개하여 보다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해준다. 1,200컷이 넘는 사진과 상세한 기르기 정보까지 싣고 있어 우리꽃 야생화를 키우고자 하는 이들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봄> - 꽃 135종
각시붓꽃 / 개불알꽃 / 개족도리풀 / 고광나무 / 골풀 / 공조팝나무 / 괭이눈 / 괴불나무 / 구슬붕이 / 금낭화 / 금란초 / 금붓꽃 / 금새우난초 / 깽깽이풀 / 꿀풀 / 꿩의바람꽃 / 나도개감채 / 남산제비꽃 / 낮달맞이 / 너도부추 / 노랑꽃창포 / 노랑무늬붓꽃 / 노랑제비꽃 / 노루귀 / 눈분홍빈도리 / 다래나무 / 다화개별꽃 / 단정화 / 대반하 / 덩굴장미 / 돌나물 / 돌단풍 / 동강할미꽃 / 동의나물 / 들현호색 / 등심붓꽃 / 마삭줄 / 만주바람꽃 / 맥문동 / 머위 / 명자나무 / 모데미풀 / 물망초 / 물참대 / 바위말발도리 / 바위취 / 백선 / 백합 / 백화등 / 뱀딸기 / 벌깨덩굴 / 변산바람꽃 / 병꽃나무 / 병아리난초 / 복수초 / 봄맞이 / 부처꽃 / 분홍찔레나무 / 붉은애기기린초 / 붉은인동 / 붓꽃 / 빈카마이너 / 산괴불주머니 / 산마늘 / 산수유 / 산자고 / 산작약 / 삼지구엽초 / 삿갓나물 / 새우난초 / 색단초 / 서향 / 선밀나물 / 선씀바귀 / 설앵초 / 섬노루귀 / 솜나물 / 솜방망이 / 송엽국 / 수선화 / 수호초 / 아주가 / 앉은부채 / 애기나리 / 애기달맞이 / 애기찔레 / 앵초 / 약모밀 / 양지꽃 / 얼레지 / 여름국화 / 연영초 / 영산홍 / 윤판나물 / 으름덩굴 / 은방울꽃 / 자란 / 자주괴불주머니 / 자주달개비 / 작약 / 점현호색 / 정향나무 / 제비꽃 / 조팝나무 / 족도리풀 / 좀백리향 / 좀씀바귀 / 종지나물 / 줄사철나무 / 쥐오줌풀 / 지장보살 / 진달래 / 찔레나무 / 처녀치마 / 천남성 / 촛대승마 / 크로커스 / 큰괭이밥 / 큰꽃으아리 / 큰앵초 / 큰천남성 / 클레마티스 / 타래난초 / 털양지꽃 / 털진달래 / 피나물 / 할미꽃 / 해당화 / 현호색 / 홀아비꽃대 / 홀아비바람꽃 / 홍자단 / 황매화 / 흰붓꽃 / 히어리

<여름> - 꽃 213종
가는잎구절초 / 가시연꽃 / 각시원추리 / 각시취 / 갈퀴망종화 / 강활 / 개미취 / 개쉬땅나무 / 개승마 / 개연꽃 / 갯기름나물 / 거미줄바위솔 / 계요등 / 고려엉겅퀴 / 고비 / 곰취 / 관중고사리 / 구름국화 / 구름송이풀 / 구름패랭이꽃 / 궁궁이 / 금강초롱꽃 / 금계국 / 금꿩의다리 / 금불초 / 기린초 / 긴산꼬리풀 / 까실쑥부쟁이 / 꼬리조팝나무 / 꽃댕강나무 / 꽃범의꼬리 / 꽃창포 / 꿩의비름 / 끈끈이대나물 / 나도승마 / 나비바늘꽃 / 나팔꽃 / 날개하늘나리 / 남개연꽃 / 남천 / 낭아초 / 냉초 / 넉줄고사리 / 넌출월귤 / 노랑물안개 / 노랑어리연꽃 / 노랑코스모스 / 노루오줌 / 누리장나무 / 누린내풀 / 눈개쑥부쟁이 / 능소화 / 단풍취 / 담쟁이덩굴 / 닻꽃 / 대나물 / 대청붓꽃 / 더덕 / 도라지 / 돌창포 / 동자꽃 / 두메부추 / 두메양귀비 / 둥근잎꿩의비름 / 둥근잎유홍초 / 땅나리 / 뚝갈 / 리시마키아 / 마타리 / 만첩빈도리 / 매발톱꽃 / 모싯대 / 무늬둥굴레 / 무릇 / 물레나물 / 물매화풀 / 물싸리 / 물옥잠 / 물질경이 / 미국미역취 / 미나리아재비 / 미역취 / 바위떡풀 / 바위장대 / 박새 / 박하 / 배초향 / 버드쟁이나물 / 벌개미취 / 벌노랑이 / 범부채 / 보풀 / 부들 / 부레옥잠 / 부용 / 부채붓꽃 / 부처손 / 분홍바늘꽃 / 분홍장구채 / 붉은조팝나무 / 붉은토끼풀 / 비로용담 / 비비추 / 빼꾹나리 / 뻐꾹채 / 사계원추리 / 사상자 / 사위질빵 / 산꿩의다리 / 산비장이 / 산솜방망이 / 산수국 / 산오이풀 / 삼백초 / 삽주 / 상사화 / 서양톱풀 / 석잠풀 / 섬말나리 / 섬백리향 / 섬초롱꽃 / 세뿔석위 / 세잎꿩의비름 / 소경불알 / 속새 / 솔나리 / 솔체꽃 / 솜다리 / 수레국화 / 수레동자 / 수련 / 수염패랭이꽃 / 수크령 / 숙은꽃창포 / 술패랭이꽃 / 숫잔대 / 쑥부쟁이 / 아스틸베 / 애기기린초 / 애기똥풀 / 애기범부채 / 어리연꽃 / 어수리 / 엉겅퀴 / 연꽃 / 연잎꿩의다리 / 영아자 / 오랑캐장구채 / 오색기린초 / 오이풀 / 옥잠화 / 옹굿나물 / 왕원추리 / 왜승마 / 용담 / 용머리 / 우단동자꽃 / 우산나물 / 유홍초 / 으아리 / 이질풀 / 인동 / 일엽초 / 일월비비추 / 자금우 / 자라풀 / 자주꽃방망이 / 잔대 / 장백제비꽃 / 절굿대 / 접시꽃 / 제비동자꽃 / 제주달구지풀 / 제주상사화 / 조록싸리 / 좀개미취 / 좀꼬리풀 / 좀비비추 / 좀양지꽃 / 좀작살나무 / 좁쌀풀 / 중나리 / 지느러미엉겅퀴 / 진교 / 참꿩의다리 / 참나리 / 참싸리 / 참취 / 층꽃풀 / 층층잔대 / 큰까치수염 / 큰꿩의비름 / 큰제비고깔 / 태백기린초 / 터리풀 / 털중나리 / 톱풀 / 패랭이꽃 / 풍접초 / 하늘나리 / 하늘말나리 / 한라부추 / 한련화 / 해국 / 해란초 / 해오라비난초 / 호범꼬리 / 홍도비비추 / 홍수련 / 홑왕원추리 / 황금달맞이 / 흰꽃나도사프란 / 흰양귀비

<가을> - 꽃 17종
갯국 / 꽃무릇 / 꽃향유 / 낙동구절초 / 바위구절초 / 산국 / 섬개미취 / 수리취 / 억새 / 와송 / 자주쓴풀 / 정선바위솔 / 좀바위솔 / 털머위 / 투구꽃 / 포천구절초 / 한라구절초

저자소개

기의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 김포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을 전공하였고, 미국으로 건너가 워싱턴대학교에서도 경영학을 공부하였다. 그와 더불어 오랜 기간 동안 백두대간을 누비며 야생화를 답사하면서 우리 꽃의 아름다움에 천착해 왔다. 깊이 있는 연구와 경험을 토대로 야생화 식물원을 본격적으로 조성해 운영하고 있으며, 야생화 동호회 ‘김포 들꽃풍경’을 이끌면서 답사, 강연, 전시회 등 야생화 홍보와 보급에 매진해왔다. 나아가 김포야생화 영농조합(법인)을 설립하였고, 야생화 조원업체인 '들풍조경'을 통해 주택, 학교, 도로, 공원, 생태공원 생태탐방로 등을 야생화 특수조원 방식으로 가꾸고 있다. 또한 야생화에 내재된 문화적 요소들을 식물원에 접목해 야생화문화원으로 발전시키는 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야생화 주택 & 테마조경>, <야생화 조경도감 365>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일러두기>

◆ 이 도감에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야생화로서 조원에 이용이 가능한 목본과 초본을 중심으로 선정하여 정리하였으며, 외국종 중 우리나라에서 월동이 가능하고 야생화 조원의 멋을 내는데 상승작용을 하는 품종들을 포함, 총 365종을 수록하였다.

◆ 365종을 봄꽃, 여름꽃, 가을꽃으로 나눈 뒤, 계절별로 가나다 순으로 배열하여, 꽃을 보고 야생화 종류를 용이하게 식별함으로써 쉽게 조원에 응용토록 하였다.

◆ 꽃 색깔은 크게 붉은색, 노랑색, 보라색, 흰색, 녹색의 5가지로 구분하였으며, 계절별, 꽃 색깔별로 사진표를 만들어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 과명과 국명의 사용, 식물체에 대한 정보는 주로 [한국식물도감(이영노 저)]에 준하였으며, 최근의 도입종에 대한 명칭은 현재 일반적으로 쓰이고 있는 이름을 사용하였다.

◆ 야생화 정보는 4단계에 따라 기술하였고 사진도 이에 따라 정리하였다. 먼저 접사사진을 제시하고 꽃의 아름다움과 특징을 확인하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식물체 전체 모습을 담은 사진(전사)을 제시하고, 키와 잎의 특징을 구분해서 야생화 조원에 참고하도록 하였다. 다음 단계로 야생화들의 자생지 모습(군락 사진)을 제시함으로써 한 공간 내에서 다른 식물들과의 관계에 대한 감각을 쉽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원하고자 하는 공간 내에 배치한 조원 요소들 - 나무, 돌, 물, 시설물, 민속품 등 - 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도록 부분적인 야생화조원 시공 현장을 제시하였다.

◆ ‘야생화 기르기’란에서는 야생화 생장에 필요한 햇빛, 물, 흙에 대하여 집중적으로 분석?기술하였고, 기타 온도나 통풍, 병충해, 거름주기 등에 대해서는 특별한 관련사항만 기술하였다.

◆ 번식·증식 방법은 종자 파종(씨뿌림)이나 삽목(꺾꽂이), 분주(포기나누기)로 구분하여 기술하였으며 필요시 조직배양, 포자 번식 등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