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지리학/지정학 > 지리학
· ISBN : 9788966272648
· 쪽수 : 560쪽
· 출판일 : 2025-01-22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부 인문지리의 지평
인류세에 대한 인문학적 대응과 행성적 사유 / 고봉준
벽 허물기 시대, 로컬 기반 교양교육연구소의 역할과 전망―이론적 모색을 중심으로 / 김화선
지역문화, 문화활동가, 문화권력 / 김흥군
박인환 시의 고향 의식과 시 쓰기의 의미 / 류상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대인관계와 행복 / 문은식
지역사회 에너지 위험인식과 의사소통―정보와 소통의 관점에서 / 왕재선
2부 삼척학의 현 단계
동해 해양 안보 역사 / 김대영
삼척의 방언과 음운 / 김동훈
지역학, 도시 재생의 기제 / 남기택
13세기 고려 지식인의 몽골 인식 비교―이규보·김구와 이승휴를 중심으로 / 윤은숙
일제강점기 삼척공립직업학교의 운영과 졸업생의 활동 / 장경호
산업전사의 의미 규명과 삼척지역 탄광 유산의 자원화 전략 / 정연수
3부 미래와 전망
한국어 주격중출구문 연구에 대한 고찰 및 급진구문문법에 기댄 제안 / 김일규
인터넷상의 악성댓글과 관련한 대응방안에 대한 고찰
―일본의 「서비스 제공자 책임제한법」을 중심으로 / 박용숙
대학 교양 탁구 수강생을 위한 심리훈련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 / 오원석·백진호
도교 관련 한글 옛 문헌에 나타난 글자체의 특징 및 궁체 양식 고찰 / 유정숙
여성적 글쓰기로서 「일타홍(一朶紅) 이야기」―충남 금산군 지역 여성 지인담 / 이민호
과정 중심 접근법을 기반으로 한 효과적인 영작문수업 방안 모색 / 주미진
독후감❘후회하지 않을 용기에 대하여―이처럼 사소한 것들을 읽고 / 김언재
서 평❘반대의 반대―자그맣고 커다란 고릴라에 대하여 / 노유나
소 설❘타점 / 최봉주
저자소개
책속에서
오늘날 인류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들(‘기후 위기’, ‘COVID-19’ 등)은 우리가 ‘세계=지구’와 ‘행성’의 경계 지점에서 살고 있음을 알려준다. 이때의 ‘경계’란 하나에서 다른 하나로 넘어가는 문턱이 아니라 인류의 삶이 두 영역에 걸쳐 있다는 의미이다. 또한 그것은 인문학 연구 역시 ‘세계’ 와 ‘행성’ 모두를 동시에 사고해야 한다는 의미이다.
대학의 교양교육연구소는 근대적 패러다임이나 이분법적 사고에 바탕한 보편성을 넘어 로컬의 특성을 반영하고 학습자와 지역민 등을 포괄하는 로컬의 거주자들과 소통하며 교양교육 체계를 구축해가야 한다.
심상지리는 특정한 지리적 공간이 사람들의 마음속에 인식되고 표상되는 이미지라고 할 수 있다. 강원도의 경우 빼어난 경치로 인해 다른 도에 비해 자연지리의 영향이 크다. 심상지리 형성에 자연지리 못지않게 강원도 사람들의 인심과 풍속, 이른바 인문지리도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이처럼 강원도에 대한 심상지리는 자연지리와 인문지리가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