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생애말기 의료

생애말기 의료(복지)의 가치와 규범 정립을 위한 비교법제 연구

(글로벌법제전략연구 19-17-10)

안동인, 김혜정, 이부하, 양천수 (지은이)
한국법제연구원
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9,000원 -0% 2,500원
450원
11,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생애말기 의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생애말기 의료(복지)의 가치와 규범 정립을 위한 비교법제 연구 (글로벌법제전략연구 19-17-10)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법학계열 > 법학일반
· ISBN : 9788966849673
· 쪽수 : 227쪽
· 출판일 : 2019-10-31

책 소개

우리 사회의 급속한 고령화 추세로 노인인구에 대한 생애말기 의료 및 복지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생애말기 의료 및 복지체계 구현의 기초로서의 「연명의료결정법」의 적용과 개선에 대한 공법적 고찰 및 제언을 담고 있다.

목차

제1장 서 론 / 19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21
1. 연구의 목적 21
2. 연구의 필요성 23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5
1. 연구의 범위 25
2. 연구의 방법 26
제2장 생애말기 의료 및 복지체계의 가치와 규범 정립에 대한 공법적 고찰 / 31
제1절 개 설 33
1. 「연명의료결정법」의 개관 33
2. 생애말기 의료 및 복지체계에 대한 공법적 고찰의 구조 38
제2절 기초법(법철학)적 고찰: 정당화 구조의 구축 40
1. 「연명의료결정법」과 의료체계?복지체계의 구조적 연결 40
2. 「연명의료결정법」에 대한 법철학적 분석 43
3. 연명의료 중단결정에 관한 법철학적 논의 46
4. 현행 「연명의료결정법」의 정당화 모델 58
제3절 헌법적 고찰: 가치의 정립 60
1. 생명권 대(對) 죽을 권리 60
2. 연명의료중단에 관한 자기결정권 61
3. 연명의료결정권의 주체 63
4. 「연명의료결정법」의 문제점 64
5. 연명의료중단에 관한 법적 문제 69
6. 연명의료의 한계 72
7. 사전연명의료의향서 79
제4절 형법적 고찰: 규범의 정립 88
1. 형법적 논의에 대한 개관 88
2. 형법상 촉탁?승낙살인죄 및 자살교사?방조죄와 연명의료결정의 관계 96
제5절 행정법적 고찰: 규범의 적용 및 개선 104
1. 「연명의료결정법」과 국가의 역할 104
2. 「연명의료결정법」의 적용 및 이행 현황 107
3. 생애말기 의료 및 복지체계의 활성화를 위한 관리체계적 과제 110
4. 「연명의료결정법」의 개선방안 및 그 효과 114
제3장 생애말기 의료 및 복지체계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 117
제1절 독 일 119
1. 독일의 사전의료지시서 제도의 내용 119
2. 독일 「민법(후견법)」상 환자의 사전의료지시서의 적용 123
3.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126
제2절 영 국 127
1. 개 관 127
2. 변화추이 130
3. 2005년 「정신능력법」의 주요 내용 132
4. 「정신능력법」 시행결과에 대한 평가 143
5.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144
제3절 미 국 145
1. 주요 판례의 검토 145
2. 입법화의 동향: 「자연사법」과 「환자자기결정법」 148
3. 「통일의료결정법」의 입안과 그 주요 내용 150
4. POLST 제도의 도입 154
5. 오레곤 주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의 「존엄사법」 155
6.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156
제4절 대 만 158
1. 연명의료중단에 대한 논의의 배경 158
2. 「安寧緩和醫療條例」(Hospice Palliative Care Act)의 제정 및 내용 158
3. 「病人自主權利法」(Patient Right to Autonomy Act)의 제정 및 내용 162
4.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167
제5절 일 본 168
1. 서 론 168
2. 주요 개념 171
3. 적극적 안락사의 정당화 요건 174
4. 치료행위 중지의 정당화 요건 176
5. 가이드라인에 따른 정당화 요건 178
6. 우리 법제에 대한 시사점 180
제4장 생애말기 의료 및 복지체계에 대한 법정책적 고찰 / 183
1. 「연명의료결정법」의 명확성 확보 185
2. 연명의료중단 등의 대상에 대한 재검토 190
3. 환자의 자기결정권의 존중과 환자의 이익보장과의 관계 192
4. 호스피스?완화의료와 연명의료중단결정과의 관계 199
5. 공공의료시스템의 정비 201
6. 벌칙규정의 검토 202
제5장 결 론 / 205
참고문헌 213

저자소개

이부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약 력] ․ 독일 쾰른대학교 법학박사 (Dr. iur) ․ 변호사시험 출제위원, 입법고시 출제위원 ․ 한국공법학회/한국비교공법학회/한국법정책학회 부회장 ․ 한국헌법학회 상임이사 ․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헌법학) [주요 저서] ․ 인권보장을 위한 비교헌법론, 「법영사」, 2014 ․ 한국의 경제질서와 재산권, 「영남대학교 출판부」, 2015 ․ 민주적 선거를 위한 선거제도 개편, 「피앤씨미디어」, 2015 ․ 헌법재판에서 헌법원칙의 구체화, 「피앤씨미디어」, 2023 [주요 논문] ․ 비례성원칙과 과소보호금지원칙, 「헌법학연구」, 2007 ․ 법적 안정성의 의미에서 명확성의 원칙, 「세계헌법연구」, 2014 ․ 위험사회에서 국민의 안전보호의무를 지는 보장국가의 역할, 「서울대학교 법학」, 2015 ․ 빅 데이터(Big Data) 시대 개정 개인정보 보호법에 관한 법적 고찰, 「IT와 법연구」, 2020 ․ 인류세 도래와 법학의 대응, 「저스티스」, 2023 ․ 디지털 시대 정보중개자에 대한 법적 규제, 「경제규제와 법」, 2024 등 180여 편
펼치기
양천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교 대학원에서 이상돈 교수의 지도로 법학 석사 학위를 받았다. 태광그룹 일주학술문화재단의 장학금을 받고 독일로 유학을 떠났다(11기). 독일 프랑크푸르트대학교 법과대학에서 사회철학자 하버마스의 제자 클라우스 귄터 교수의 지도로 법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6년 9월 1일부터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에서 기초법 전임교수로 학생들을 가르친다. 인공지능 기술을 비롯한 현대 과학 기술이 우리 사회와 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에 사회와 법이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는 『빅데이터와 인권』(2016), 『법과 진화론』(2016)(공저), 『제4차 산업혁명과 법』(2017), 『인공지능과 법』(2019)(공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과 정보보호』(2019)(공저), 『공학법제』(2020)(공저),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머니즘』(2020)(공저), 『인공지능 혁명과 법』(2021), 『코로나 시대의 법과 철학』(2021)(공저), 『데이터와 법』(2021, 2023)(공저), 『디지털 전환 시대의 법이론』(2023)(공저), 『인공지능법』(2024)(공저), 『생성형 AI와 법』(2024)(공저), 『인공지능법학』(2025)이 있다.
펼치기
안동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김혜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