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88967351304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4-08-30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제1장 한대 경학과 『춘추』
1. 한대 경학의 성격과 본질에 대한 접근법
2. 공자와 『춘추』
3. 『공양전』과 공양학의 성격
4. 『공양전』과 공양학의 연구 방법
제2장 『공양전』, 대일통 지배 담론의 원천
1. 한초의 정치와 유가 지식인의 대응
1) 무위정치와 황로학
2) 유가 지식인의 개혁 이론
2. 『공양전』과 공양학
1) 『공양전』의 성립 과정
2) 공양학의 춘추필법
3. 『공양전』의 『춘추』해석
1) 발란반정과 대일통
2) 존왕의 이상과 권도의 용인
3) 내외 차별의 역사관
4) 동기주의적 가치 판단
5) 친친의 가족주의 지향
제3장 동중서, 춘추학과 정치의 결합
1. 동중서의 개혁 의식과 춘추학
2. 천인감응론의 이론적 구조
1) 천인감응론의 도입 배경
2) 천의 인격화와 동류상응
3. 천인감응론의 정치적 해석
4. 동중서 춘추학의 정치 이론
1) 수명개제와 왕조의 정통성
2) 군주권의 정당성 확보
3) 유가적 덕치의 이상
제4장 『춘추』, 경학 논쟁의 중심
1. 석거각회의와 곡량학의 도전
1) 지배권 강화를 위한 경학 토론
2) 곡량학의 법가주의적 성격
2. 참위 수용에 의한 공양학의 굴절
1) 참위 중심의 후한 경학
2) 공양학과 참위의 접합
3) 후한 정치와 참위의 역학관계
3. 좌씨학과의 대립과 공양학의 변용
1) 공양학의 세속화 및 좌씨학의 도전
2) 1차 및 2차 경학 논쟁
3) 3차 경학 논쟁과 좌씨학의 부흥
4) 백호관회의의 쟁점과 그 영향
제5장 하휴, 공양학의 종합과 집대성
1. 당고와 경학의 내실화
2. 하휴와 정현의 4차 경학 논쟁
1) 공양학 묵수 대 공양학 공격
2) 좌씨학 병폐 대 좌씨학 강점
3) 곡량학 고질병 대 곡량학 장점
3. 하휴 공양학의 특성과 경학사적 의의
1) 전한 공양학으로의 회복
2) 역사 이론을 통한 공양학의 체계화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