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88967353612
· 쪽수 : 428쪽
· 출판일 : 2016-10-17
책 소개
목차
제1강 다양한 고대 도시: 도시의 유형
도성 | 행정과 군사의 중심이었던 지역 도시 | 상업도시 | 수공업도시 | 항구도시 | 방위도시 | 다양한 형태의 도시 | 지형의 특징과 도시
제2강 도시의 명칭
고대 도시를 나타내던 고유 명칭 | 지리적 특징으로 생겨난 명칭 | 소망이 반영된 도시 명칭 | 행정구역에 따라 명명된 도시 | 전고로 인해 명명된 도시 | 여러 곳이 합병되어 생겨난 도시 명칭 | 한역을 통해 생겨난 소수민족의 도시 명칭 | 착오로 인해 생겨난 지명 | 제왕과 관련된 도시 명칭 | 작은 마을의 이름이 도시 이름이 된 경우 | 한 성이 여러 명칭을 가진 경우, 한 명칭이 여러 성을 가리키는 경우 | 도시의 약칭과 아칭
제3강 고대 도시계획의 걸작: 수·당 장안
장안성 건설의 역사적 배경 | 장안성의 건설과 기획 | 세계에서 가장 큰 도 시 | 거주구역: 엄격히 관리된 폐쇄적인 이방 | 바둑판 도로 시스템과 초대형 길 | 집중 배치된 동시와 서시 | 수·당 장안의 원림 | 당나라 장안의 파괴 및 그 후의 변화 | 당나라 장안성은 어떻게 기획되었나 | 당나라 장안성의 국제적 지위와 영향
제4강 번화한 도성: 송대의 동경성
도시의 역사적 변천 | 도시의 개축과 증축 | 삼중으로 이루어진 성: 도시의 배치 | 100만 명이 넘는 인구 규모와 시민 계층의 증가 | 거주구역의 변화: 방장이 무너지다 | 번영한 상업도시 | 도로 교통과 녹화 | 행정기구, 관영 수공업, 문화기구
제5강 세기의 명성: 원나라 대도에서 명·청의 북경성까지
원나라 대도의 지리·역사적 환경 | 원나라 대도의 건설 | 원나라 대도성의 배치 | 대도의 도로·방·시·관청 | 원나라 대도 도시계획의 특징 | 명나라 북경성의 건설 | 명·청 북경성의 중심축 배치 및 도시 경관 | 북경성의 도로와 시장 | 북경성의 거주지역과 문화 | 북경성 역사 문화의 보호
제6강 고대의 대항구: 천주의 흥성과 쇠락
항구도시로 흥성하게 된 국내적 요인 | 천주의 흥성과 쇠락, 그 국제적 요인 | 천주 지역의 개발과 도시의 발전 | 천주를 ‘자동성’이라고 부르는 이유 | 천주항의 특징 | 외국인 거류지: 번방
제7강 소주와 <평강도>
번영한 수향 도시 | 도시의 건설과 공간 배치 | 성벽과 성문 | 수로와 도로 와 골목 | 이방과 시장 | 종교 건축 | 소주 원림 | <평강도>
제8강 평요
제9강 세계문화유산 여강
빼어난 산수: 고성의 참모습 | 높은 산과 흐르는 물이 빚어낸 아름다운 경치 | 사방가와 나시족 민가 | 나시족의 집, 여행자의 숙소 | 동파 문화가 가득 담긴 고원의 평원 ‘파자’ | 여강의 미래: 수호해야 할 마지막 정토
제10강 강남의 수향 마을
밀집된 마을 | 물길과 수항 | 하망과 가항 | 수향의 물 | 수향의 다리 | 수향의 건축 | 수향의 생활
제11강 도시의 거주구역 이방
여리와 이방 | 가항과 가방 | 지역 특색을 띤 거주용 건축
제12강 고대 도시의 시장
도시 내 시장의 탄생 | 집중 관리된 시장 | 송대 도시 시장의 변화 | 때에 맞춰 서는 장, 집시와 묘회 | 상방·회관·표호·거간꾼
제13강 중국 고대 도시의 도로 시스템
제14강 도시의 사원과 사당
종교적 성격을 띤 사원 | 도교 사원 | 불교 사원 | 이슬람교 청진사와 능묘 | 기타 종교 | 결론
제15강 도시의 궁전·아문·서원·회관
궁전 | 아문 | 학궁과 서원 | 회관과 공소
제16강 고대의 도시생활, 명절과 풍속
술집과 찻집 | 서원과 학당 | 유희와 오락 | 혼인과 장례 | 명절과 묘회
제17강 고대 도시와 원림
원림과 생활 | 주택과 원림 | 도시와 원림 | 교외 생활과 교외 풍경구의 개발
제18강 도시 경관
성벽·성문·성루 | 도시의 입체적 윤곽과 상징적 건축 | 거리 풍경과 패방 | 강변 도시
제19강 도시 방어
‘장성’ 및 도시 방어 시스템 | ‘성벽 높이 쌓기’, 명·청의 성벽 문화 | 여러 겹으로 둘러싸인 방어 공간 | 도시 방어 시스템의 기본 구성 | 홍수 방지: 성벽의 또 다른 기능 | 수호신: 옛 성벽의 문화적 의의
제20강 중국 고성의 보호: 고통과 성취
파괴와 보호의 효시 | 문물 보호제도의 창립 | 량쓰청과 북경성 | 중국 특유의 명성 보호제도 | 세계문화유산 도시 | 풍모의 보호: 득실의 병존 | 늦기 전에 서둘러 보호해야
후기 | 옮긴이의 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