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철학 일반
· ISBN : 9788967641016
· 쪽수 : 546쪽
· 출판일 : 2017-12-07
목차
머리말 / 3
01. 韓國思想의 低流와 退溪學-朝鮮 儒敎의 <사상 ‘신체-얼굴’> 試論 - / 15
1. 서언-한국 전통사상의 저류와 퇴계학이라는 문제- / 15
2. 봉인된 한국유교와 퇴계학, 퇴계의 초상화 / 22
3. 한국 사상의 ‘신체-얼굴’ 찾기 시론 / 29
4. 조선 사상사에서 <사상 ‘신체-얼굴’>의 탄생 / 39
5. 퇴계사상과 <사상 ‘신체-얼굴’>의 독자성 / 54
6. 결어-한국이라는 시공간 내에 존재했던 <사상 ‘신체-얼굴’>의 의의- / 67
02. 退溪思想과 ‘거울’의 隱喩 / 71
1. 들어가는 말 / 71
2. 거울, mirror, 鏡, 監·鑑의 의미 / 76
3. 동양사상에서 ‘인간의 마음에 대한 탐구’로서 ‘거울’의 은유 / 84
4. 퇴계사상과 ‘거울’의 은유 / 93
5. 나가는 말 / 122
03. 칼과 방울의 은유-동아시아사상사에서 남명 조식 읽기 試論- /125
1. 칼과 방울의 은유를 두고 / 125
2. 조선에서 보는 칼과 방울의 문맥: 남명 이해의 또 다른 코드 /130
3. 에라스무스의 펜과 남명의 ‘칼과 방울’: 마무리를 겸해서 / 146
04. 어둠(蒙)’에서 ‘빛(光)’으로의 기획-『擊蒙要訣』의 「革舊習」 章·「持身」章을 중심으로-/ 149
1. 서언 / 149
2. ‘어린아이’란 무엇인가? : ‘격몽’ 이해의 근거 / 151
3. 「革舊習」과 「持身」의 ‘心身’ 건축 설계도 / 157
4. ‘빛’ 회복하기로서 주자학적 공부론 / 162
5. 인간다움을 향한 ‘擊蒙’: 결론을 대신하여 / 169
05. 농암(籠巖) 김주(金澍)에 대한 ‘기억’ 형성의 인문적 성찰 /175
1. 서언 / 175
2. 농암 김주에 대한 ‘기억’, 스토리텔링 문제 / 178
3. 200년간의 침묵에서, 전언의 기록 / 182
4. 구술(oral)에서 ‘글쓰기(writing)’로: ‘공동의 기억 형성’ /190
5. 너무 적은 자료, 그 ‘답답함’ / 197
6. 어떻게 넘어서야 하나?-팩트를 알 수 없는 자료 해석을 위한 변명- / 201
7. 결어 / 217
06. ‘獨島’ 연구에 대한 성찰과 제언 / 221
1. 서언 / 221
2. 독도 ‘문제’ 되짚어보기 / 225
3. 국가주의에 기댄 ‘문헌실증주의’의 허위 / 236
4. ‘해결’에서 ‘해소’로: ‘새로운 가치’로의 의식 전환을 / 252
5. 결어 / 256
07 울릉도에서 獨島가 보이는 조건 ‘風日淸明’의 해석 / 259
1. 서언 / 259
2. 종래의 ‘풍일청명’을 둘러싼 여러 해석들-문제의 소재- / 263
3. 역사 속의 논증-울릉도 및 여타 지역에서 ‘독도를 볼 수 있다’는 기록-/ 266
4. ‘風日淸明’의 기상학적 재검토 / 273
5. 결어 / 278
08. 환경의 관점에서 읽는 중국 고대 사상 試論 / 281
1. 서론 / 281
2. 중국 고대의 환경 파괴의 여러 형태들 / 284
3. 결론 / 301
09. 고향의 회생과 그 생태론적 의의 : 개성 있는 지역생태 복원시론 / 303
1. 들어가는 말 / 303
2. ‘故鄕’이라는 은유와 사상 / 308
3. 故鄕, 故, 鄕의 의미 / 324
4. 지역의 개성 있는 생태 복원의 한 방법으로서 ‘고향’ / 329
5. 나오는 말 / 335
10. ‘몸’의 희망학 : 몸의 희망, 희망의 몸 / 339
1. 시작하는 말 / 339
2. 몸, 희망, 희망학 / 343
3. 생명과 몸 / 354
4. 몸의 희망, 희망의 몸: ‘소유모드’에서 ‘존재모드’로의 전환 /372
5. 맺음말 / 383
11. 근대 번역어 ‘자유’ 개념의 성립과 중국 유입에 대하여 / 387
1. 중국에서 ‘자유(自由)’ 개념 이해의 의의 / 387
2. liberty, freedom, 동양 고전 속의 자유(自由), 그리고 ‘자유’라는 번역어 / 388
3. 일본에서의 ‘自由’ 개념 번역 사정 / 394
4. 번역어 ‘自由’의 중국 流入과 그 이후에 대한 전망 / 396
12. 「유교와 인권」 강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 399
1. 들어가는 말 / 399
2. 「儒敎와 人權」강의의 목적과 내용 / 402
3. 나오는 말 / 420
13. 유교, 정치의 시녀 혹은 잔소리꾼 / 423
1. 들어가는 말 / 423
2. 유교란 무엇인가? / 426
3. 유교와 정치권력 / 434
4. 나오는 말 / 450
14 『千字文』의 ‘天地’ 환경교육에 대하여-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Thousand-Character Text(千字文)-/ 453
1. 시작하는 말 / 453
2. 조선시대 전통 아동교육 과정과 『千字文』의 위치 / 457
3. 『千字文』의 ‘天地’ 환경 교육의 시사점 / 471
4. 맺는 말 / 477
15. 韓國에서 ‘日流’의 現狀-특히 일류 붐의 ‘한계’와 그 극복방안 논의를 중심으로- / 481
1. 서론 / 481
2. 본론 / 485
3. 결론 / 505
참고문헌 / 509
찾아보기 / 530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의 제목을 나는 ‘방법.은유.기획의 사상사’로 정했다. 그것
은 사상사 혹은 문화사 ‘속에서 보여지는’ 은유와 방법과 기획이기도
하지만, ‘연구자 자신의 안목 내에서 보여지는’ 그것이기도 하다.
이 책에서 묶은 것은 네가지 영역들이다.
Ⅰ. 은유와 기억과 기획
1. 韓國思想의 低流와 退溪學 - 朝鮮 儒敎의 <사상 ‘신체-얼굴’> 試論 -
2. 退溪思想과 ‘거울’의 隱喩
3. 칼과 방울의 은유 -동아시아사상사에서 남명 조식 읽기 試論-
4. 어둠(蒙)’에서 ‘빛(光)’으로의 기획 -『擊蒙要訣』의「革舊習」章?「持身」章을 중심으로 -
5. 농암(籠巖) 김주(金澍)에 대한 ‘기억’ 형성의 인문적 성찰
Ⅱ. 독도와 일본, 성찰과 제언
6. 독도 연구에 대한 성찰과 제언
7. 울릉도에서 獨島가 보이는 조건 ‘風日淸明’의 해석
8. 韓國에서 ‘日流’의 現狀 - 특히 일류 붐의 ‘한계’와 그 극복방안 논의를 중심으로 -
Ⅲ. 신체와 환경과 고향
9. 환경의 관점에서 읽는 중국 고대 사상 試論
10. ‘몸’의 希望學 -몸의 희망, 희망의 몸 -
11. 故鄕의 回生과 그 생태론적 意義 - ‘개성 있는 지역생태’ 복원을 위한 한 試論 -
12. 『千字文』의 ‘天地’ 환경교육에 대하여
Ⅳ. 유교와 인권, 자유
13. 近代期 飜譯語 ‘自由’ 槪念의 成立과 中國 流入에 대하여
14. 儒敎에서 ‘老’의 의미와 기능
15. 「儒敎와 人權」 강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16. 유교, 정치의 시녀 혹은 잔소리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