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쩨따시까

쩨따시까

(우리 마음 지켜보기)

니나 판 고르콤 (지은이), 정명 (옮긴이)
푸른향기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500원 -10% 0원
1,250원
21,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7개 18,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쩨따시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쩨따시까 (우리 마음 지켜보기)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명상/수행
· ISBN : 9788967820084
· 쪽수 : 612쪽
· 출판일 : 2014-03-29

책 소개

52가지 마음의 심리적 상태에 관한 위빠사나 수행 지침서. 그동안 나왔던 『쩨따시까(상.하)』의 일부 오역 및 오탈자 등의 내용을 다시 수정하고, 한 권으로 통합하여 재출간한 통합본이다. 위빠사나 수행 지침서이자 불교심리학에 관한 명저로 정명스님이 번역했다.

목차

역자의 말
머리글
들어가기에 앞서
일러두기

제I부 반드시들 7(sabbacitta-s?dh?rana)
제1장. 감각접촉(phassa)
제2장. 느낌(vedana)
제3장. 인식(sa¤¤a)
제4장. 의도(cetana)
제5장. 죽어서 다시 태어나는 윤회에서 의도
제6장. 집중(ekaggata)
제7장 생명기능(javitindriya) 마음에 잡도리함(manasikara)

제II부 때때로들 6(Pakinnaka)
제8장. 일으킨 마음(vitakka) 지속적인 고찰(vicara)
제9장. 결심(adhimokkha)과 정진(viriya)
제10장. 팔정도에서의 바른 정진
제11장. 희열(pati)
제12장. 열의(chanda)

제III부 해로운 마음부수들(akusala)
제13장. 개요
제14장. 어리석음, 양심없음, 수치심없음, 들뜸
제15장. 탐욕(lobha)
제16장. 사견(dinnhi)
제17장. 자만(mana)
제18장. 성냄(dosa)
제19장. 질투(issa), 인색(macchariya), 후회(kukkucca)
제20장. 해태(thana) 혼침(middha) 의심(vicikiccha)
제21장. 해로운 범주들 I
제22장. 해로운 범주들 II
제23장. 해로운 범주들 III

제IV부 아름다운 마음부수들(Sobhana Cetasikas)
제24장. 개요
제25장. 믿음(saddha)
제26장. 마음 챙김(sati)
제27장. 양심(hiri) 수치심(ottappa)
제28장. 탐욕 없음(alobha)
제29장. 성냄 없음(adosa)
제30장. 중립(tatramajjhattata)
제31장. 여섯 쌍의 아름다운 마음부수들
제32장. 세 가지 절제 (virati-cetasikas)
제33장. 연민(karuoa) 함께 기뻐함(mudita)
제34장. 통찰지(pa¤¤a)
제35장. 통찰지의 단계
제36장. 유익한 행위(kusala)

부록

저자소개

니나 판 고르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네델란드 불교학자이며 명상수행가. 저서『생활 속의 아비담마』(Abhidhamma in Daily Life), 『생활 속의 불교』(Buddhism in Daily Life), 그리고『보시』등은 태국 등 아시아 국가와 서구권 국가에서 명망이 높아 7개국 언어로 번역, 출간되었다. 특히 불교수행명상과 관련된 빠알리 경전에 대한 연구는 정평이 나 있다.
펼치기
정명 (옮긴이)    정보 더보기
경영학 박사, 김천 성전사 주지 초기불교수행자인 정명스님은 일운스님을 은사로 선암사에서 득도하고, 혜초대종사를 계사로 구족계를 받았다. 중앙승가대학교 교지 ‘승가26’(2010년)에서 초기불교수행법을 정리하였으며, 미얀마 파아옥 명상센터와 인도 이갓트뿌리 등에서 수행하였다. 저서로 선방일기인 『구름을 헤치고 나온 달처럼』(불교정신문화원), 역서로 『업과 윤회의 법칙』(푸른향기), 『쩨따시까-우리 마음 지켜보기』(푸른향기), 『행복에 이르는 열 가지 습관』(비움과 소통), 『괴로움소멸에 이르는 유일한 길』(푸른향기), 『사마타 루빠명상 매뉴얼』(비움과 소통) 등이 있다. 한 달에 한 번 출가자와 재가자를 대상으로 명상수행을 지도하고 있다. 한양대 산업공학과(학사)를 나와 청주대에서 인사조직전공을 전공하여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고, 미국 Drexcel 대학 경영자 과정을 수료하였다. kimhanje871@hanmail.net 010-2975-8712 성전사 홈페이지 www.jungmyeong.com
펼치기

책속에서

마음들은 일어나서 아주 빠르게 사라집니다. 안타깝게도 우리는 현재의 마음이 사라지고 난 다음에 일어난 다른 마음을 알지 못합니다. 예를 들어 현재의 마음은 업의 결과인 과보의 마음이라고 여전히 생각합니다. 그런데 사실은 어떤 대상에 대한 탐욕이나 성냄이라는 해로운 마음이 일어나고 있는데도 그렇게 생각하고 있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안식(眼識)은 과보의 마음입니다. 안식의 순간은 아주 짧습니다. 이것이 사라지고 난 직후에 탐욕이나 성냄 혹은 어리석음에 뿌리를 둔 마음들이 일어납니다. 이것들은 다른 종류의 해로운 마음들입니다.
마음들은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합니다.


성냄(dosa)은 또 다른 해로운 마음부수입니다. 마음이 경험하고 있는 대상을 싫어할 때 거기에는 성냄이 있습니다. 성냄의 느낌은 언제나 불쾌합니다. 우리는 불행함을 원치 않습니다. 그래서 불쾌한 느낌들에서 벗어나려고 합니다. 하지만 성냄이란 일어나기 위한 조건이 맞으면 일어나는 것입니다.


성냄에는 언제나 많은 원인들이 있습니다. 성냄의 원인은 늘 우리의 외부에 있는 것처럼 보여 집니다. 다른 사람들의 행동이나 겪게 되는 불행한 사건들처럼 말이지요. 그렇지만 성냄의 진정한 원인은 우리의 내부에 있습니다. 성냄은 습관처럼 누적되어 온 것입니다. 우리는 성냄의 대상을 언제나 발견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즐거운 대상에 취착하고 즐거운 대상을 경험하지 못하면 화를 냅니다. 성냄은 성냄의 조건이 되는 탐욕이 아주 강하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