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경복궁 현판으로 읽다

경복궁 현판으로 읽다

최동군 (지은이)
도서출판 담디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14,400원 -10% 2,500원
카드할인 10%
1,440원
15,4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경복궁 현판으로 읽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경복궁 현판으로 읽다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문화유산
· ISBN : 9788968010965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20-03-11

책 소개

현판으로 읽는 우리 문화재 시리즈 1권. 건축과 문화는 그 당시의 사상과 유행을 담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궁궐을 제대로 알기 위해서는 한자와 유교에 대한 지식이 모두 필요하다. 개개인의 이름 속에도 숨겨진 뜻이 있듯, 궁궐 속 건물들의 이름도 단순히 드러난 한자 해석이 다가 아니다.

목차

머리말 _4
궁성(宮城)과 궁문(宮門) _14

경복궁(景福宮) _16
광화문(光化門) _21
건춘문(建春門) _25
영추문(迎秋門) _27
신무문(神武門) _30
계무문(癸武門), 광무문(廣武門) _33
협생문(協生門), 용성문(用成門) _37
수문장청(守門將廳) _43
영군직소(營軍直所), 초관처소(哨官處所) _46

흥례문(興禮門) 일원 _52

흥례문(興禮門) _54
영제교(永濟橋) _61
유화문(維和門), 기별청(奇別廳) _67
덕양문(德陽門) _72

근정전(勤政殿) 일원 _74

근정문(勤政門), 근정전(勤政殿) _76
일화문(日華門), 월화문(月華門) _81
융문루(隆文樓), 융무루(隆武樓) _85

사정전(思政殿) 일원 _90

사정문(思政門), 사정전(思政殿) _92
만춘전(萬春殿), 천추전(千秋殿) _95
협선당(協善堂), 용신당(用申堂) _100
천자고(天字庫) ~ 월자고(月字庫) _104
사현문(思賢門), 연태문(延泰門) _107

자선당(資善堂) 일원 _110

중광문(重光門) _112
진화문(震化門) _115
길위문(吉爲門) _120
자선당(資善堂) _124
이모문(貽謨門) _126
비현각(丕顯閣) _128
숭덕문(崇德門) _132
삼비문(三備門) _134
미성문(美成門) _137
이극문(貳極門), 구현문(求賢門) _139

강녕전(康寧殿) 일원 _142

향오문(嚮五門) _144
강녕전(康寧殿) _149
연생전(延生殿), 경성전(慶成殿) _152
연길당(延吉堂), 응지당(膺祉堂) _155
청심당(淸心堂), 연소당(延昭堂), 건의당(建宜堂) _157
안지문(安至門), 용부문(用敷門) _161
흥안당(興安堂), 계광당(啓光堂), 수경당(壽慶堂) _164
내성문(乃成門), 지도문(志道門) _167

교태전(交泰殿) 일원 _170

양의문(兩儀門) _172
교태전(交泰殿) _175
원길헌(元吉軒) _180
함홍각(含弘閣) _182
내순당(乃順堂), 승순당(承順堂) _184
보의당(輔宜堂), 체인당(體仁堂) _186
재성문(財成門), 만통문(萬通門) _190
함형문(咸亨門) _192
낙하담(落霞潭), 함월지(涵月池) _193
건순문(健順門), 건순각(健順閣) _195
원지문(元祉門), 연휘문(延暉門) _198

함원전(含元殿) 일원 _200

함원전(含元殿) _202
흠경각(欽敬閣) _204
자안당(資安堂) _207
융화당(隆和堂) _209
대재문(大哉門) _210
선장문(善長門) _212

경회루(慶會樓) 일원 _216

경회루(慶會樓) _218
하향정(荷香亭) _222
이견문(利見門), 함홍문(含弘門), 자시문(資始門) _224
만시문(萬始門), 필관문(必觀門) _232
수정전(修政殿) _238

자경전(慈慶殿) 일원 _240

만세문(萬歲門) _242
자경전(慈慶殿) _243
청연루(淸讌樓) _246
협경당(協慶堂) _247
복안당(福安堂) _249

소주방(燒廚房) 일원 _252

복회당(福會堂) _254
난지당(蘭芝堂) _255

집경당(緝敬堂)과 함화당(咸和堂) 일원 _258

집경당(緝敬堂) _260
향명문(嚮明門), 봉양문(鳳陽門), 백상문(百祥門) _264
계명문(啓明門), 영춘문(迎春門), 응복문(應福門) _267
함화당(咸和堂) _270
진덕문(進德門), 승광문(承光門) _272
영지문(迎祉門), 창무문(彰武門), 하지(荷池) _274
예성문(禮成門), 신거문(辰居門) _278

건청궁(乾淸宮) 일원 _282

건청궁(乾淸宮) _284
초양문(初陽門), 장안당(長安堂) _288
추수부용루(秋水芙蓉樓), 정화당(正化堂) _292
함광문(含光門) _294
곤녕합(坤寧閤), 옥호루(玉壺樓), 사시향루(四時香樓) _296
정시합(正始閤) _302
녹금당(綠琴堂), 복수당(福綏堂) _306
필성문(弼成門), 관명문(觀明門), 취규문(聚奎門) _310
인유문(麟遊門), 청휘문(淸輝門), 경화문(瓊華門) _316
향원정(香遠亭) _320
열상진원(洌上眞源) _324

집옥재(集玉齋) 일원 _328

집옥재(集玉齋) _330
협길당(協吉堂) _334
팔우정(八隅亭) _335
광림문(廣臨門), 유형문(維亨門) _338

태원전(泰元殿) 일원 _342

건숙문(建肅門), 경안문(景安門), 태원전(泰元殿) _344
홍경문(弘景門), 공묵재(恭默齋), 경사합(敬思閤), 유정당(維正堂) _349
영사재(永思齋), 건길문(建吉門), 대서문(戴瑞門) _356
기원문(綺元門), 인수문(仁壽門), 숙문당(肅聞堂) _359
일중문(日中門), 보강문(保康門) _364

사진 협조 및 구입 _366

저자소개

최동군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도 원주에서 태어나 1973년 부산 연제초등학교에 입학한 후 동해중학교, 동인고등학교를 거쳐 1991년 연세대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우리 문화와 역사에는 특별한 지식이 없는 너무나도 평범한 시민이었다. 1997년 처음 참여한 경주 문화 답사에서 큰 감명을 받고, 그 후 우리의 문화와 역사에 대해 독학으로 공부했다. 평소 <배워서 남 준다>라는 소신으로 많은 문화 답사 강좌 및 모임을 통해 우리의 전통 문화와 역사를 전파하고 있다. 2013년부터 5년간 글로벌 사이버대학교에서 <문화 해설사 입문>을 강의했다. 성균관대학교에서는 유교문화연구소 객원 연구원으로 활동하며 <유교 문화 리모델링> 과목을, 서울자유시민대학에서는 문화재와 관련된 여러 과목을 강의했거나 강의 중이다. 현재 지우학문화연구소의 대표 작가이다. 지은 책으로는 「현판으로 읽는 우리 문화재」(전3권), 「실록으로 읽다」(전4권), 「나도 문화 해설사가 될 수 있다」(전5권) 등 시리즈와 『공자 왈 알아야 면장을 하지』, 『정조반차도: 8일간의 화성행차』, 『국립고궁박물관: 현장학습 1번지』(2017년 세종도서 교양 부문 선정), 『답사여행 1번지 경주』, 『문화재 속 숨어 있는 역사』 등이 있다. 그 밖에 논문으로는 「2016 향교·서원 활용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가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