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영어 평가 문항 개발의 실제

영어 평가 문항 개발의 실제

배주경, 이정원, 이상기, 이동주, 김정옥, 이영주, 황은경, 이송은 (지은이)
한국문화사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950원
18,0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5,000원 -10% 750원 12,750원 >

책 이미지

영어 평가 문항 개발의 실제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영어 평가 문항 개발의 실제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범계열 > 교과교육론 > 영어교육 전공
· ISBN : 9788968174711
· 쪽수 : 320쪽
· 출판일 : 2017-03-01

책 소개

한국영어교과교육학회에서 기획한 총서시리즈 제4권이다. 평가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살피고, 좋은 평가 도구를 확보할 때 고려해야 하는 사항과 평가 결과를 다루는 방법을 알아보고, 영어 능력의 하위 범주를 고려하여 듣기와 말하기의 음성 언어 능력에 대한 평가 등을 면밀히 살핀다.

목차

서문

제1장 평가의 기본 개념과 원리 - 이상기
제2장 듣기 평가 - 이영주
제3장 말하기 평가 - 황은경
제4장 읽기 평가 - 이정원
제5장 쓰기 평가__ 배주경
제6장 어휘 평가 - 김정옥
제7장 문법 평가 - 이송은
제8장 수행 평가 - 이동주

찾아보기 / 307

저자소개

배주경 (옮긴이)    정보 더보기
부산대학교 영어영문학 학사 부산대학교 영어학 석사 Indiana Univ. at Bloomington 교육공학 석사 한양대학교 영어교육학 박사 (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위원
펼치기
이정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 충남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 교수 학력 ·학사: 충남대학교 인문대학 영어영문학과 졸업 ·석사: 충남대학교 대학원 영어학 전공 ·석사: Stephen F. Austin State University 영어학 전공 ·박사: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영어교육 전공 주요 저(역)서 ·박의재, 이정원 (역). (1999). 제2언어 습득론. 한신문화사. ·이정원 (역). (2005). 언어 평가의 이해. 서울: 경문사. ·이정원. (2009). 영어교육의 이해. 대전: 충남대학교 출판부. ·이정원, 이종복, 신인호. (2011). Read Up. 서울: ㈜천재.
펼치기
김정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남대학교 영어교육과 학사 미국 Univ. of Colorado at Denver TESOL 석사 공주대학교 영어교육 박사 (현) 원광대학교 교양교육대학 교수
펼치기
이영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숙명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석사 미국 Univ. of Los Angeles at California 응용언어학 석사 미국 Univ.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영어교육 박사 (현) 한밭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펼치기
황은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단국대학교 불어불문학과 학사 미국 Univ. of Pennsylvania TESOL 석사 숙명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영어교육 박사 (전) 교육부, 국립국제교육원 국가영어능력평가(NEAT)팀 연구원 (현)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방목기초교육대학 영어과 교수
펼치기
이송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공주대학교 영어교육과 학사 미국 Purdue Univ. 영어교육 석사 미국 Purdue Univ. 영어교육 박사 (현) 충남외국어교육원 파견 교사
펼치기

책속에서

제1장. 평가의 기본 개념과 원리

1.1 들어가며

일반인에게 “평가”라는 말은 으레 “시험”이란 말을 떠올리게 한다. 어떤 이들은 대학을 졸업하면서 “이제 내 인생에 더 이상의 시험은 없다.”라고 외치며 평가에서 비로소 자유롭게 된 자신에 대해 축복하는 장면을 연출하기도 한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평가는 시험과 온전히 등치되는 개념은 아니어서 우리의 삶은 사실상 평가의 연속이다. 예컨대, 직장에서 이뤄지는 각종 평가는 물론이요, 가정 내에서는 부모로서, 자식으로서, 또 배우자로서 끊임없이 이뤄지는 평가를 감내해야 한다. 평가란 무엇일까?
평가의 사전적 정의는 평가 대상의 가치나 수준을 평하는 행위를 이른다. 시험이란 말이 그에 근접한 의미의 어휘로서 자리 잡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그보다는 “측정(measurement)”이란 말이 평가의 개념에 보다 가깝다. 측정의 개념은 일정한 양을 기준으로 같은 종류의 다른 양의 크기를 재는 행위로 정의된다.
평가의 사전적 정의를 적용하면, 우리가 본서에서 주목하여 살피고자 하는 “영어 능력 평가”는 영어 능력의 가치나 수준을 평하는 행위로 이해된다. 그리고 측정의 개념을 도입하자면, 영어 능력의 크기를 재는 행위가 되는데, 이때 같은 종류(즉, 영어 능력)의 기준이 필요하다. 다시 말해 영어 능력 기준을 토대로 영어 능력을 재는 행위가 영어 능력 측정이다.
정확한 평가나 측정은 생각보다 복잡하고 어렵다. 어떤 사람의 키가 170cm라 하였을 때, 이에 대한 평가는 평가 맥락에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다. 그 사람이 남자인가 여자인가에 따라 달라지고, 초등학생인가 대학생인가에 따라 평가가 달라진다. 키에 대한 정확한 측정 역시 어렵긴 매한가지이다. 아침에 재는 키가 저녁에 재는 키보다 더 클 것이다. 자세에 따라서, 근육의 경직도에 따라서도 잴 때마다 키가 다르게 측정되곤 한다. 즉, 키 자체가 상황 맥락에 따라 변화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에 더해 우리를 더욱 난처하게 하는 것은 동일한 시간대에, 동일한 자세와 근육 경직도 수준에서 측정을 할 수 있다손 치더라도 어떻게 측정을 하느냐에 따라서 그 결과 값이 달라진다는 사실이다. 벽에 기대에 서서 키를 재느냐, 누워서 키를 재느냐, 다른 사람과 등을 맞대고 키를 재느냐, 줄자와 같은 도구를 활용하여 키를 재느냐에 따라 키의 값이 다르게 측정되는 것이다.
키는 우리가 평가하고자 하는 대상이다. 비교적 명확해 보이는 평가 대상인 키마저도 정확한 평가가 어렵다는 말을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우리가 본격적으로 논의하고자 하는 영어 능력 평가는 생각보다 훨씬 더 어려운 개념이어서 그를 위해서는 많은 고민과 철저한 준비가 있어야 할 것이다. 키 자체가 변화를 겪는 것 이상으로 영어 능력 평가는 평가 맥락에 따라 더 큰 부침을 겪게 될 것이 자명하다. 키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서도 그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 역시 영어 능력 평가 작업에 그대로 적용된다. 어떠한 방식을 통해 영어 능력을 측정하느냐에 따라서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 분명하다. 이제 평가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어 능력 평가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살펴보자.

1.2 평가의 종류
일반인에게 평가의 결과는 흔히 “줄 세우기”로 이해된다. 평가 결과를 토대로 순위가 매겨지며, 저 앞쪽의 1등부터 저 아래쪽의 순위까지 하나의 선상에 쭉 나열된다. 앞쪽에 서면 기분이 우쭐해지고, 저 뒤쪽에 서게 되면 낙담하여 어깨가 쳐진다. 다른 평가 대상자와의 비교가 이뤄지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것이 평가의 전부는 아니다. 줄 세우기로 이해되는 평가는 상대 평가(norm-referenced test; 또는 “규준 지향 평가”)에서 적용되는 내용인데, 평가에는 상대 평가만이 있는 것은 아니어서, 절대 평가(criterion-referenced test; 또는 “준거 지향 평가”)의 경우에는 다른 평가 대상자와의 상대적인 비교를 목적으로 평가가 이뤄지지 않는다. 그보다는 학습자가 애초에 설정한 학습 목표에 얼마만큼 도달하였는지가 평가의 중요한 근거가 된다.
상대 평가는 <그림 1-1>에 예시된 바와 같은 정규 분포(normal distribution)라는 개념과 관련된다. 정규 분포란 인간과 자연 세상에서 일어나는 일에 대해 충분한 사례가 반복적으로 축적되었을 때 만날 수 있는 분포를 말한다. 어느 교정에 30 그루의 나무가 있다고 했을 때, 그것들의 크기를 측정하여 분포를 조사한다고 해보자. 그런 경우 대부분의 나무는 평균값에 위치하게 되며, 분포의 양쪽 끝으로 갈수록 사례의 수가 체계적으로 줄어들게 된다. 평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학생들의 점수가 충분히 축적되면, 평균값에 가장 많은 수의 학생들이 위치하게 되고, 양 극단으로 갈수록 학생의 수가 점차 줄어들게 된다. 정규 분포의 개념에 기반을 두는 상대 평가에서는 특정 학생의 실제 점수가 어떠한가보다는 그 점수가 다른 학생의 점수에 비추어 어느 정도인가, 그리고 그것이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위치하게 되는 것인가에 더욱 큰 의미가 부여된다.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68585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