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생략과 초점

생략과 초점

김정석 (지은이)
한국문화사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000원 -0% 0원
1,300원
24,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9,5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6,000원 -10% 1300원 22,100원 >

책 이미지

생략과 초점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생략과 초점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88968177200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9-01-10

책 소개

촘스키 언어학의 틀에서 초점이 생략문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다양한 구문을 통해서 검증한다. 특히, 한국어와 영어의 수문, 유사공백화, 영보어 대용화, ‘왜’-최소공백화, 우절점공유, 좌절점공유, 우전위 현상의 특성을 규명하고 선행 연구의 장단점을 논의하며 대안을 제시한다.

목차

■ 머리말


01 서론

02 영어 수문의 섬과 재생 전략
2.1 들머리
2.2 선행연구
2.2.1 생략에 의존한 구제
2.2.2 재생
2.3 제안
2.3.1 재생이 가능한 환경
2.3.1.1 담화연결
2.3.1.2 분열
2.3.2 섬제약 위반의 효과
2.3.2.1 새싹수문
2.3.2.2 대조수문
2.4 맺음말

03 Wh-the hell을 포함하는 새싹도치수문
3.1 들머리
3.2 Wh-the hell의 특성
3.3 Sprouse(2006)의 선행연구
3.4 제안
3.5 맺음말

04 한국어의 수문과 관용어 해석
4.1 들머리
4.2 수문과 외현적 Wh-이동
4.3 제안
4.3.1 수문과 초점이동
4.3.2 두 종류의 수문
4.3.3 다중수문
4.4 수문과 관용어 해석
4.5 맺음말

05 한국어의 수문과 분열문의 비교
5.1 들머리
5.2 내포절 수문: 병합수문, 대조수문, 새싹수문, 유사수문
5.2.1 수문의 허가조건: 일치자질, 내적 선행어
5.2.2 계사의 출현
5.2.3 격조사/후치사 탈락
5.2.4 섬제약 준수
5.2.5 다중수문
5.3 주절 수문
5.4 맺음말

06 영어 생략문에서의 최대축소 원리
6.1 들머리
6.2 최대생략
6.3 최대축소
6.4 맺음말

07 한국어 초점문에서의 생략
7.1 들머리
7.2 영어의 유사공백화
7.3 한국어의 생략과 초점
7.3.1 유사공백화: VP 생략
7.3.2 생략의 범위
7.3.2.1 NegP 생략
7.3.2.2 AgrSP 생략
7.3.2.3 TP 생략
7.3.3 생략의 경제성
7.4 한국어 유사공백화와 관용어 해석
7.5 맺음말

08 영어와 한국어의 영보어 대용화
8.1 들머리
8.2 영보어 대용화의 심층대용화적 특성
8.2.1 화용적 선행어
8.2.2 통사적 병행성
8.2.3 사라진 선행어
8.2.4 적출 가능성
8.3 영보어 대용화의 표층대용화적 특성
8.4 이완지시 해석과 결속변항 대용화
8.4.1 어휘요건 검사
8.4.2 국부적 이접성 검사
8.5 한국어의 영보어 대용화
8.6 맺음말

09 Why-최소공백화와 섬제약 효과
9.1 들머리
9.2 Why-최소공백화의 특성
9.3 선행연구: 초점이동 + TP 삭제 분석
9.4 제안: 화제이동 + TP 삭제 분석
9.5 맺음말

10 Why-최소공백화와 ‘왜’-최소공백화
10.1 들머리
10.2 선행연구
10.2.1 Yoshida et al.(2015)의 TP 삭제 분석
10.2.2 Weir(2014)의 VoiceP 삭제 분석
10.3 제안: 화제이동과 TP 삭제
10.4 ‘왜’-최소공백화
10.4.1 특성
10.4.2 관용어 해석
10.4.3 수문과 Why-최소공백화의 비교
10.5 맺음말

11 영어와 한국어의 우절점공유
11.1 들머리
11.2 영어의 우절점공유
11.2.1 우절점인상 분석
11.2.2 다중관할 분석
11.2.3 후행삭제 분석
11.3 한국어의 우절점공유
11.3.1 우절점인상 분석
11.3.2 논리형태 복사 분석
11.3.3 음성형태 삭제 분석
11.3.4 음성열 삭제 분석
11.3.5 다중관할 분석
11.3.6 의존생략 분석
11.4 제안
11.4.1 섬제약 효과
11.4.2 경칭형태소의 일치
11.4.3 복수의존 형태소의 허가
11.4.4 후치사/격조사 탈락
11.4.5 동음이의어
11.5 맺음말

12 한국어의 좌절점 공유
12.1 들머리
12.2 선행연구
12.2.1 전역어순재배치 분석
12.2.2 선형화 + 접속축소 분석
12.2.3 다중관할 분석
12.3 제안
12.4 맺음말

13 한국어의 우전위
13.1 들머리
13.2 선행연구
13.2.1 단일절 이동 분석
13.2.2 단일절 기저생성 분석
13.2.3 이중절 기저생성 분석
13.2.4 이중절 이동 분석
13.2.4.1 좌측 어순재배치 + 삭제 분석
13.2.4.2 조각문 분석
13.2.5 단일절 혼합 분석
13.3 제안
13.3.1 비대칭성
13.3.2 섬제약 효과
13.3.3 공백, 복사, 재생대명사
13.3.4 동일절/동일명사구 생성조건
13.3.5 격표지 탈락
13.3.6 Wh-의문문 해석
13.3.7 기타 특성
13.4 맺음말

14 한국어 어순재배치의 섬제약 효과: 실험통사론적 접근
14.1 들머리
14.2 선행연구
14.3 실험설계
14.3.1 자극
14.3.2 방법과 장치
14.3.3 제시
14.3.4 참가자
14.4 결과
14.5 논의
14.5.1 한국어 복합명사구제약의 본질
14.5.2 한국어 장거리 어순재배치의 본질
14.6 맺음말


■ 참고문헌
■ 영한 용어 대조표
■ 찾아보기

저자소개

김정석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석사 코네티컷 주립대학 언어학과 석사, 박사 코네티컷 주립대학 방문학자 서강대학교 컴퓨터학과 연구교수 영남대학교 영어교육과 부교수 하와이 대학교 한국학관 방문교수 (현)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펼치기

책속에서

01 서론

이 저서는 한국어와 영어의 다양한 생략문을 분석하면서 생략(ellipsis)에서의 초점(focus)의 역할을 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서론을 제외하고 총 13편의 논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는 논의하고자 하는 한국어 자료의 신뢰성을 보장하기 위해 모국어화자를 대상으로 구글 온라인 설문도구(Google Forms)를 통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직관과 관련된 수용성 판단(acceptability judgment) 설문에는 최소 30명 이상의 모국어화자가 참여하였는데 필러(filler)항목과의 연관성을 통해 신뢰할 수 없는 참가자들의 응답을 버리고 유효한 응답만을 결과값으로 사용하였다. 직관을 수량적으로 수집하기 위해 5단계(1-5) 혹은 7단계(1-7) 사이의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를 사용하였고, 응답은 표준화하였다. 예문의 우측에 적힌 숫자가 그 예문에 대한 z-표준점수(z-score)와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 SD)이다.
z-표준점수는 개인이 특정 언어표현에 응답한 값 X에서 평균(Mean)값 M을 뺀 값을 표준편차로 나눈 수이다(Z = X-M/SD). z-표준점수는 검사의 결과를 해석할 때 다른 것들과의 직접적인 비교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의 하나이며, 측정치가 평균에서 얼마나 벗어났는지를 보여준다. z-표준점수가 양수이면서 절대값이 커지는 것은 문장의 수용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하고, 음수이면서 절대값이 커지는 것은 문장의 수용성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z-표준점수와 이론통사론자들에게 익숙한 문법성(grammaticality) 표시와의 적절한 함수 관계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혀진 바가 없어서, 논의전개의 편의상 z-표준점수가 양수인 경우([0.00] 이상)는 모두 정문(√)으로, [-0.01]에서 [-0.25] 사이는 ?로, [-0.26]에서 [-0.50]는 ??로, [-0.51]에서 [-0.75] 사이는 ?*로, [-0.76]보다 숫자가 큰 음수는 비문(*)으로 표기하였다.
표준편차는 자료 값이 평균에서 얼마나 떨어져 분포하는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숫자가 클수록 화자들의 직관에 변이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숫자가 작을수록 화자들의 직관이 일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음은 설문에서 사용한 수용성이 좋은 필러(good filler)와 나쁜 필러(bad filler)의 예들이다.

(1) a. 현우와 연아는 코끼리를 보기 위해 주말에 동물원에 갔다. [1.18, 0.25]
b. 철수는 영수가 그린 그림을 보고 영수의 재능에 감탄했다. [1.26, 0.33]
c. 영희는 지우에게 청소 좀 하라고 잔소리 했다. [1.49, 0.48]
d. 연아는 민지의 결혼식 때문에 다음 주에 부산에 간다. [1.67, 0.57]
(2) a. 지난 주말, 영희와 철수는 고양이에게 키우기로 했다. [-1.30, 0.27]
b. 미세먼지를, 지우와 영수는 주말에 하루종일 실내에서 놀았다. [-1.30, 0.45]
c. 영희와 철수는 서울에 지난주에 볼 것이다. [-1.07, 0.51]
d. 지우는 영수에게 점심에 먹은 파스타가 전혀 맛있다고 얘기하지 않았다. [-0.36, 0.87]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1a), (2a) 예문이 각각 제일 좋은 필러라고 할 수 있다.
2장은 영어 병합수문(Merger Sluicing)에서 일반적으로 섬제약(Island Constraint) 위반의 효과가 사라지는 현상을 논의한다.

(3) a. *A biography of one of the Marx brothers is going to be published this year. Guess which1 [a biography of t1] is going to be published this year.
b. A biography of one of the Marx brothers is going to be published this year.Guess which.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Lasnik(2001), Merchant(2001) 등은 Ross(1969)를 따라서 ‘생략에 의존한 구제(Repair-by-Ellipsis)’ 분석을 제안하였다.

(4) A biography of one of the Marx brothers is going to be published this year.
Guess which1 [TP [a biography of *t1] is going to be published this year].

그러나 이 분석은 섬제약 위반이 도출 과정에서 발생하면 흔적(trace)이나 절점(node)에 *-표시(*-marking)를 남기고 차후 삭제(deletion)라는 변형을 통해 도출이 음성형태 접합부(PF Interface)에 도달하기 전에 제거하는 방식을 가정하기 때문에 Chomsky(1995)의 내포성조건(Inclusiveness Condition)을 위반한다. 반면에 Boeckx (2003, 2008)가 제안하는 재생(resumption) 분석은 wh-논항인 잔여성분(remnant)이 wh-이동을 한 후 원래 위치와 wh-흔적이 아니라 재생대명사(resumptive pronoun)를 통해서 관련을 맺기 때문에 처음부터 섬제약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5) a. John started laughing after one of the women kissed Bill, but I don’t remember which.
b. John started laughing after one of the women kissed Bill, but I don’t remember which1 it was that John started laughing after [she1 t1] kissed Bill.

그런데 재생 분석은 병합수문에서는 사라지는 것처럼 보이는 섬제약 효과가 왜 새싹수문(Sprouting Sluicing)과 대조수문(Contrast Sluicing)에서는 유지되는지를 설명하지 못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96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