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99305809
· 쪽수 : 200쪽
· 출판일 : 2025-08-01
책 소개
목차
[Threshold]
* 정강산 “패션을 지양하는 비패션”
[Flicker]
* 이재영 “교복에 대한 명상: 환상과 교복”
[Under Construction]
* 남아름 “트락타트 그래픽 디자인의 계보”
* “샘플 X 생산의 가장자리에서: 트락타트 디자이너 이재영과의 대담”
* 이재영 “트락타트 디자이너 작업 노트”
* “옷으로 읽는 시대: 교복으로 본 한국 의류사 – 패턴디자이너 정선균 인터뷰”
[Highlight]
* 최정우 “오래전 교복을 벗은 자의 또 다른 옷주머니로부터”
* 서동진 “자유를 말하는 옷은 무엇인가”
* 박세진 “교복의 딜레마”
* 남디디 “핏이 달라” (만화)
* 김희량 “교복, 통치성과 공동체성의 사이에서”
* 허태준 “성장의 속도는 저마다 달랐지만”
* 황서희 “나는 두겹의 옷을 입었다”
[Underline]
* 김시온 “체크무늬 남방과 명문대 과잠 – 부르디외, 파스롱의 『상속자들: 학생과 문화』에 관한 서평”
[Footnote]
* 조수근 “교복 위의 정체성: 패딩 아래의 사회”
* _____ “한국 빈티지의 알파 오메가, 동묘 새벽시장 투어”
[Flicker]
* 이재영 “도시와 산: 등산복에 관한 명상”
[Endnote]
저자소개
책속에서
옷은 계급이고, 인종이며, 성별이고, 과학이며, 문학이고, 수학이며, 역사입니다. 그래서 Traktat: Out of Fashion은 옷의 바깥에서 패션을 보고, 패션 안에서 그 바깥을 보는 시차적 시선을 지향합니다. 어떨 때는 옷 이야기가 아예 등장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정강산
가장 극단적인 형태의 관성을 보여주는 옷은 교복 혹은 군복과 같은 ‘제복’이다. 이러한 힘을 느낄 수 있는 기회는 흔치 않은데, 그 이유는 옷의 바깥에서 옷을 입은 자신을 바라볼 수 없기 때문이다. 옷에 몸을 맡긴다는 것은, 정속으로 달리는 차 안에 있거나 날아가는 비행기에 있는 것과 같이, 오직 안에서만 보이는 풍경의 파노라마에 자신의 시선을 일치시키는 동시성의 공간에 머문다는 것이다.
-이재영
트락타트의 그래픽은 몽타주와 인용의 방식을 사용해 사상가와 문학가들의 이미지, 언어, 사유를 동시대의 맥락으로 다시 불러오는 시각적 에세이다. 사상가들의 초상은 질문의 시각적 매개체가 되고, 문장은 입는 사람의 사유를 이끄는 기호가 된다. 그래서 모든 디자인은 실제 저작에 대한 연구와 이해를 바탕으로 한다. 표현하고 싶은 사상가를 이해하지 못하면 결국 디자인에서 표가 나기 때문이다.
-남아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