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외국인을 위한 오늘의 한국

외국인을 위한 오늘의 한국

(개정판)

이선이, 이명순, 백지윤 (지은이)
한국문화사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1,100원
20,9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7,600원 -10% 880원 14,960원 >

책 이미지

외국인을 위한 오늘의 한국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외국인을 위한 오늘의 한국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인문학 일반
· ISBN : 9788968177811
· 쪽수 : 224쪽
· 출판일 : 2019-06-28

책 소개

한국을 깊이 있게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학생을 위한 일종의 한국 입문서다. 한국이라는 국가에 대한 정보와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한국인의 삶, 그리고 한국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모습이 담겨 있다.

목차

책을 펴내며5

Ⅰ. 한국 인식의 기초
1장 한국의 지리 14
1. 한국의 위치
2. 한국의 지형
3. 한국의 기후

2장 한국의 지역과 지방 24
1. 한국의 지역 구분
2. 한국의 지방
(1) 중부지방
(2) 남부지방
(3) 북부지방

3장 한국의 인구 34
1. 한국의 인구변화
2. 한국의 인구이동과 도시의 성장
3. 한국의 인구문제와 대책

4장 한국의 수도, 서울 46
1. 서울의 역사와 지리
2. 서울의 현황
3. 서울의 명소
(1) 전통적 문화공간
(2) 현대적 문화공간

Ⅱ. 한국 사회의 이해
5장 한국의 현대사 60
1. 해방과 남북분단
2. 한국전쟁과 분단의 고착화
3. 전후 한국 사회의 변화와 민주화 과정

6장 한국의 정치 70
1. 한국의 정치이념과 제도
2. 한국의 대표적인 대통령
3. 한국 정치문화의 특징

7장 한국의 경제 80
1. 한국 경제의 발자취
2. 한국을 대표하는 기업과 기업인
3. 한국 경제의 문제점과 해결 과제

8장 한국의 국제관계 92
1. 한국의 국제적 위상
2. 한국과 주변국과의 관계
(1) 남북 관계 (2) 한중 관계
(3) 한일 관계 (4) 한미 관계 (5) 한러 관계

9장 한국의 시민사회 102
1. 시민사회로의 전환
2. 대표적인 시민단체와 시민운동
3. 다문화 사회와 새로운 시민

Ⅲ. 한국의 문화와 예술
10장 한국의 대표 문화 114
1. 한국의 국가 상징
2. 한국의 문자, 한글
3. 한국의 대표 음식
4.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공간

11장 한국의 종교와 사상 124
1. 한국의 종교
2. 한국을 대표하는 종교 지도자
3. 한국적 가치와 사상

12장 한국의 예술 136
1. 한국의 전통예술
2. 한국의 현대예술
3. 한국을 대표하는 예술가

13장 한국의 대중문화 146
1. 한국의 대중문화 형성 과정
2. 한국 대중문화의 현주소
3. 한국을 대표하는 대중문화 스타

14장 한국의 생활문화 156
1. 한국의 의식주문화
2. 한국의 명절
3. 한국의 통과의례
4. 한국의 여가 생활

15장 한국의 교육문화 168
1. 한국의 교육열
2. 한국의 교육제도
3. 입시지옥
4. 한국의 대학

Ⅳ. 한국 사회의 미래
16장 한국 사회의 과제와 전망 182
1. 한국 사회의 당면 과제
2. 변화하는 한국, 한국인
3. 한국 사회의 전망

부록 Ⅰ 서울지도·한국지도·세계지도 193
부록 Ⅱ 문화 어휘 목록 201
부록 Ⅲ 연습문제 정답 219

저자소개

이명순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경희대학교 국제한국언어문화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료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머리말]

《오늘의 한국》은 한국을 깊이 있게 배우고자 하는 외국인 학생을 위한 한국 입문서이다. 이 책에는 한국이라는 국가에 대한 정보와 한국인의 삶과 한국 사회에 대한 전반적인 모습이 담겨 있다. 이 책을 통해 학생들은 한국은 어떤 나라이며 한국인은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가를 생생하게 배우고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의 초판 집필은 1장에서 8장까지를 이명순이, 9장에서 16장까지를 필자가 맡았다. 하지만 초판 이후에 변화된 상황이 많아 이를 반영한 개정판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개정판에 새롭게 반영된 내용은 백지윤이 집필을 맡아 진행하였다. 완성된 원고는 수차례의 회의를 통해 함께 수정하고 검토하였다. 따라서 누구의 집필이라기보다는 그야말로 공저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책을 쓰는 동안 많은 새벽을 뜬눈으로 맞아야 했다. 객관적인 사실을 정리하고 정확한 자료를 확보하는 일도 수월하지는 않았지만, 무엇보다 외국인의 눈으로 한국을 이해하려는 자세를 견지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 수업에서 만나는 외국 학생들과의 대화는 항상 즐거운 자극이 되었다. 그들이 이 교재의 진정한 필자가 아닐까 싶다.
이 책의 초판이 발간된 이후에 많은 해외대학에서 교재로 사용하고 있다는 반가운 소식을 접했다. 한국학을 공부하려는 학생들을 위한 기초 교재 개발이 필요한 이유를 절감한 시간이었다. 개정판을 준비하는 동안, 처음 이 책을 구상하고 집필할 때 함께한 분들의 수고를 잊을 수 없었다. 이 책을 집필하는 데 도움을 아끼지 않은 조운아·설현욱 두 분 선생님, 책에 수록된 백여 장의 사진을 일일이 준비해 준 사진작가 손이숙 선생님은 이 책의 운명과 함께 할 분들임을 밝혀두고 싶다. 아울러 개정판의 편집과 디자인을 맡아준 이정빈 님, 좋은 책의 출판을 위해 물심양면의 도움을 주신 한국문화사에 감사드린다.

2019년 6월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의 아름다운 저녁놀을 바라보며


1. 한국의 위치

한 나라의 지리적 위치는 그 나라의 기후와 생물, 역사와 문화, 경제활동과 국제관계 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한국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한국이 지구상에서 어디에 위치하고 있는지 알아야 한다.
우선, 위도는 기후에 영향을 많이 준다. 한국은 위도(緯度, latitude)상으로 볼 때 북위 33도~43도에 위치하고 있어 기후가 온화하다. 또한 경도는 한 국가와 지역에서 표준으로 삼는 시간을 정하는 기준이 된다. 한국은 경도(經度, longitude)상으로 볼 때 동경 124도~132도에 위치하며 동경 135도가 표준시를 정하는 기준이 된다.
한국은 유라시아 대륙 동쪽 끝에 위치하며 태평양을 향해 뻗어 있는 반도국가(半島國家)이다. 북쪽에는 중국과 러시아가 북한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동남쪽에는 바다 건너 일본 열도가 있고, 서쪽에는 서해(황해)를 사이에 두고 중국의 산둥반도(山東半島)가 있다. 이러한 지리적 위치로 인해 한국은 예로부터 대륙과 해양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해왔다.
또한 근대에 접어들면서 한국은 대륙 세력(중국, 러시아)과 해양 세력(일본, 미국)이 힘을 겨루는 장소가 되었다. 20세기 초에 한국은 일본의 대륙 침략을 위한 발판이 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자유주의 세력과 사회주의 세력이 충돌하는 곳이 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반도국이라는 지리적 특성은 대륙과 해양, 두 방향으로 진출하는 데 유리한 점으로 작용하였다. 예로부터 한국은 대륙의 문화를 받아들여 한국만의 고유한 문화를 꽃피웠으며, 바다 건너 일본으로 유교나 불교와 같은 수준 높은 문화를 전해주기도 하였다.
오늘날 한국은 대륙 국가들 중 풍부한 노동력과 넓은 시장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과 경제적 협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러시아나 중앙아시아 국가들과도 교류를 확대하고 있다. 또한 한국은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기 때문에 해양으로 진출하기에 매우 유리한 위치에 있다. 동쪽으로 태평양을 건너면 북아메리카 대륙과 만나고, 남서쪽으로는 호주나 동남아시아와도 직접적으로 교류할 수 있다. 이러한 지리적 특성으로 인해 한국은 동아시아 지역의 국가 간 교류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2. 한국의 지형

한국은 국토의 면적은 좁지만 다양한 지형적 특색을 지니고 있는 나라이다. 한국에는 산과 바다, 강과 평야가 골고루 분포하고 있기 때문에 다채로운 자연경관을 감상할 수 있다.
우선, 한국은 국토의 63퍼­­­­­­센트가 산지이기 때문에 어디에서나 산을 볼 수 있는 나라이다. 태백산맥과 소백산맥 등 고도(高度, altitude) 천 미터 이상의 높은 산지는 대체로 동쪽에 분포한다. 반면, 서쪽과 남쪽에는 낮은 산지와 평야가 많다. 이렇듯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은 한국의 지형 때문에 강은 대부분 동쪽에서 시작하여 서쪽이나 남쪽 방향으로 흐른다. 그리고 큰 강의 끝에는 넓은 평야가 분포하여 곡물이 많이 생산된다.
한국에서는 산을 많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바다도 쉽게 만날 수 있다. 서쪽에는 서해가 있고 동쪽과 남쪽에는 각각 동해와 남해가 있다. 동해안은 해안선이 매끈하고 섬이 적어 드넓은 바다를 볼 수 있으며, 바닷물의 색깔이 매우 진하고 푸르다. 뿐만 아니라 암석절벽이 많은 동해안은 경치가 매우 아름답기 때문에 한국에서 손꼽히는 관광지이다. 서해안과 남해안은 해안선이 매우 복잡하고 섬이 많다. 한국에는 4천 개가 넘는 섬이 있는데, 그 중 2천 개 정도는 남해에 분포한다. 그래서 남해를 ‘다도해(多島海)’라고 부르는데, 다도해는 섬이 많은 바다라는 뜻이다. 해상국립공원으로 지정된 남해의 ‘한려수도(閑麗水道)’에는 아름다운 경치를 자랑하는 섬들이 많이 있다. 또한 남해는 대부분 청정해역(淸淨海域)이기 때문에 이곳에서 나온 수산물은 품질이 좋기로 유명하다. 이에 비해 서해는 바다 깊이가 매우 얕고 갯벌이 발달되어 있다. 갯벌이란 바닷물이 밀려들어 올 때에는 물에 잠겼다가, 물이 빠져 나가면 진흙 바닥이 드러나는 곳을 말한다. 최근 서해안의 갯벌은 바다를 메워 육지로 만드는 간척사업을 하여 소금을 생산하는 염전이나, 농경지와 산업단지 등으로 개발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