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금강산 한시선

금강산 한시선

김대현 (지은이)
  |  
전남대학교출판부
2020-02-28
  |  
1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9,500원 -5% 2,000원 500원 11,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인터파크 로딩중
11st 로딩중
G마켓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금강산 한시선

책 정보

· 제목 : 금강산 한시선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88968497087
· 쪽수 : 224쪽

책 소개

고운 최치원부터 매천 황현에 이르기까지 대표적인 금강산 시 백여 수를 작자의 시대별로 모아서 번역한 책이다. 금강산은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소중하게 여기고 있는 곳 가운데 하나이다. 그래서 금강산에 대한 많은 문학작품들, 미술 작품들이 남아 있다.

목차

구룡연/ 九龍淵/ 최치원 12
개골산/ 皆骨山/ 전치유 14
개골산 장연사/ 題皆骨山長淵寺/ 임유정 16
영랑호/ 永郞湖/ 이인로 18
통천 총석정/ 通川叢石亭/ 김극기 20
금강산/ 金剛山/ 민 지 22
금강산/ 金剛山/ 안 축 24
마하연암/ 摩訶演菴/ 이제현 26
금강산/ 金剛山/ 이 곡 28
삼일포/ 三日浦/ 정 추 30
통천 총석정/ 通川叢石亭/ 이달충 32
금강산/ 金剛山/ 탁광무 34
금강산을 유람하며/ 遊金剛山/ 조운흘 36
온천/ 溫泉/ 정몽주 38
삼일포/ 三日浦/ 김구용 40
풍악/ 楓岳/ 성석린 42
몽천사/ 夢泉寺/ 강회백 44
금강산/ 金剛山/ 권 근 46
삼일포/ 三日浦/ 한상경 48
장안사/ 長安寺/ 유방선 50
임금 모시고 풍악을 구경하며/ 扈駕觀楓岳/ 신숙주 52
정양사/ 正陽寺/ 성 임 54
금강산으로 돌아감을 전송하며/ 送歸金剛山/ 강희맹 56
금강산에 올라 일출을 바라보며/ 登金剛山看日出/ 김종직 58
장안사/ 長安寺/ 김시습 60
삼일포/ 三日浦/ 홍귀달 62
금강산을 바라보며/ 望金剛山/ 성 현 64
통천 총석정/ 通川 叢石亭/ 채 수 66
성불암에서 일출을 보다/ 成佛庵望日出/ 남효온 68
유점사에서 느낌을 적다/ 楡岾寺記感/ 이 원 70
삼일포를 유람하며/ 遊三日浦/ 이 우 72
금강산/ 金剛山/ 박 상 74
도심스님에게/ 贈釋道心/ 김 정 76
금강산/ 金剛山/ 서경덕 78
금강대 학의 보금자리/ 金剛臺鶴巢/ 정사룡 80
다시 금강산을 유람하며/ 重遊金剛山/ 민제인 82
정양사/ 正陽寺/ 주세붕 84
금강산 봄노래/ 金剛春頌/ 임억령 86
금강산/ 金剛山/ 이 황 88
시중대/ 侍中臺/ 임형수 90
배점/ 拜岾/ 노수신 92
금강산/ 金剛山/ 양사언 94
풍악산/ 楓岳山/ 서산대사 96
풍악에 들어가며/ 入楓岳/ 박 순 98
금강산을 유람하며/ 遊金剛/ 문익성 100
학가승을 전송하며/ 送鶴駕僧/ 구봉령 102
금강대/ 金剛臺/ 구사맹 104
풍악 스님 시축에 차운하여/ 次楓嶽僧軸韻/ 권호문 106
금강산/ 金剛山/ 이순인 108
사선정/ 四仙亭/ 윤두수 110
비로봉에 올라/ 登毗盧峯/ 이 이 112
금강산을 읊다/ 金剛山雜詠/ 정 철 114
풍악산/ 楓岳山/ 유영길 116
금강산/ 金剛山/ 정곤수 118
비 온 뒤 정양사에서/ 雨後正陽寺/ 최 립 120
풍악의 맑은 구름/ 楓岳晴雲/ 이 달 122
정양사에서 두견소리를 들으며/ 正陽寺聞杜鵑/ 김 륵 124
총석정/ 叢石亭/ 이정암 126
불정암에 묵으면서/ 宿佛頂庵/ 사명당 128
풍악에서 아우에게 부치다/ 楓嶽寄舍弟/ 허 봉 130
풍악을 다시 유람하고 느낌이 있어/ 重遊楓岳有感/ 배용길 132
금강산을 유람하고/ 遊金剛山/ 임 전 134
마하연/ 摩訶衍/ 오윤겸 136
금강산 승려가 시축을 가지고 와/ 金剛山僧持詩軸/ 이정구 138
풍악산을 유람하며/ 遊楓岳山/ 최 전 140
풍악 장안사를 유람하며/ 遊楓岳長安寺/ 이 흘 142
표훈사/ 表訓寺/ 허 균 144
삼일포/ 三日浦/ 전우치 146
유점사/ 楡岾寺/ 한순계 148
불정대에 올라/ 登佛頂臺/ 양대박 150
비로봉에 올라/ 登毗盧峰/ 임숙영 152
풍악으로 가는 도중/ 楓岳道中/ 이 식 154
비로봉에 오르다/ 上毗盧峯/ 이민구 156
금강산의 스님에게 주다/ 贈金剛上人/ 허 계 158
비로봉/ 毗盧峰/ 허 목 160
진불암/ 眞佛庵/ 이해창 162
금강산/ 金剛山/ 정두경 164
금강산에 유람하며/ 遊金剛山/ 송시열 166
천일대에 비 갠 저녁/ 天逸臺夕晴/ 홍여하 168
풍악/ 楓岳/ 박세당 170
비로봉/ 毗盧峯/ 남구만 172
마하연/ 摩訶衍/ 임 영 174
비로봉/ 毗盧峯/ 김창흡 176
마하연/ 摩訶衍/ 김창업 178
내금강산 진면목을 보며/ 望見內山面目/ 이의현 180
보덕굴의 석실/普德窟中石室/ 이병연 182
장안사 산영루에 올라/ 登長安寺山映樓/ 이하곤 184
비로봉에 오르려다/ 欲登毗盧/ 김원행 186
학포를 유람하며/ 游鶴浦/ 황경원 188
헐성루에 올라/ 登歇惺樓/ 강세황 190
삼일포에 배 띄우고/ 泛舟三日浦/ 채제공 192
금강산가/ 金剛山歌/ 신광하 194
총석정에서 해돋이를 보며/ 叢石亭觀日出/ 박지원 196
풍악산 스님의 시축에/ 楓嶽山僧詩軸/ 윤 기 198
금강산/ 金剛山/ 박제가 200
금강산 유람/ 遊金剛/ 정 조 202
병풍에 중향성을 그리다/ 屛風?衆香城/ 서영보 204
금강산을 유람하며/ 遊金剛山/ 초의선사 206
금강산으로 들어가며/ 入金剛山/ 김병연 208
장안사에서 비를 만나다/ 長安寺値雨/ 한장석 210
단발령에서 풍악을 바라보며/ 斷髮嶺回看楓嶽/ 윤종섭 212
풍악 제일봉/ 楓岳第一峰/ 강 위 214
비로봉/ 毗盧峰/ 최익현 216
구룡폭포/ 九龍淵瀑/ 곽종석 218
풍악을 유람하며/ 游楓岳/ 김택영 220
해금강/ 海金剛/ 황 현 222

저자소개

김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전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대학원 한문고전번역학과ㆍ문화재학과 교수로 있다. 사)호남지방문헌연구소 소장으로 호남지방의 고문헌을 조사, 정리하고 있다. 나아가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주제별 한시선’ 선집을 편찬하고 있다. 제1권 『무등산 한시선』이후로 이번에 제6권 『호남 한시선』을 간행하였다.
펼치기

책속에서

* 최치원(崔致遠, 857~?)

구룡연
천 길 흰 비단 펼쳤는가
만 섬 진주 알 뿌렸는가

九龍淵 구룡연
千丈白練 천장백련
萬斛眞珠 만곡진주

주석
ㆍ 구룡연九龍淵 : 금강산 구룡폭포 아래 있는 연못이다. 구룡폭포는 중향폭포衆香瀑布라고도 부른다. 높이가 74m로 우리나라 3대 폭포 가운데 하나이다. 너럭바위에는 최치원의 이 시구가, 또 바위 절벽에는 미륵불이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다.
ㆍ 천장千丈 : 장丈은 길이의 단위이다. 어른 한 사람의 키에 해당하는 길이이다. 천장은 매우 길다는 뜻으로 쓰인다. 이백李白은 「추포가秋浦歌」에서 근심 때문에 ‘백발이 삼천 장이네/ 白髮三千丈’라고 하였다. ‘장’을 ‘길’이라고도 한다.
ㆍ 만곡萬斛 : 곡斛은 용량의 단위로 열 말을 가리킨다. 아주 큰 용량을 ‘만곡’이라고 한다. ‘만곡의 근심’이라 하여 근심처럼 계량할 수 없는 것에 사용하기도 하였다. ‘곡’은 ‘섬’이라고도 한다.

작자
최치원의 호는 고운孤雲으로 9세기 후반에 활동하였으며, 우리나라 한시 문학을 연 위대한 시인이다. 일찍이 중국에 건너가 벼슬을 하였으며, 돌아와서는 말년에 방랑을 하면서 저술과 창작에 전념하였다. 시를 만수나 지었다고 전하는데, 현재 남은 작품이 『계원필경桂苑筆耕』과 『고운집』 등에 전한다. 글씨도 잘 썼는데, 오늘날 남아 있는 것으로는 쌍계사의 「진감선사비문」 등 사산비명四山碑銘이 유명하다. 이 시는 구룡폭포 너럭바위에 있는 것으로 언제 새겼는지는 알 수 없다.


* 전치유(田致儒, ?~1170)

개골산
풀과 나무 조금 나 있으니 벗겨진 머리 터럭 같아
연기와 안개 반쯤 걷히니 어깨 드러낸 옷을 입은 듯
우뚝한 봉우리는 모두 뼈뿐이어 홀로 깨끗하니
응당 육산의 크고 살만 찐 걸 웃으리라

皆骨山 개골산
草木微生禿首髮 초목미생독수발
烟霞半?袒肩衣 연하반권단견의
兀然皆骨獨孤潔 올연개골독고결
應笑肉山都大肥 응소육산도대비

주석
ㆍ 개골산皆骨山 : 금강산의 겨울 이름이다. 봄에는 온갖 꽃이 만발하여 화려하고 산수가 맑아 ‘금강산金剛山’, 여름에는 온 산에 녹음이 짙어 ‘봉래산蓬萊山’, 가을에는 단풍이 들어 ‘풍악산楓嶽山’, 겨울에는 기암괴석이 드러나므로 ‘개골산皆骨山’이라고 한다. 금강이라는 이름은 『화엄경』에 나오는 말이어서 승려들이 주로 사용하였고, 일반에서는 풍악이라는 이름을 많이 사용했다고 한다.
ㆍ 단견袒肩 : 웃통을 벗는다는 말이다. 어깨를 드러내는 것을 말하였다.

작자
전치유의 호는 십구자十口子이다. 구체적인 활동자료는 전하지 않지만, 『고려사』에 의하면 의종 23년 1169년에 ‘내시內侍에 소속시켜 주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내관으로 있다가 무신란으로 운명하였으며, 몇 수의 시가 전한다. 이 시는 ‘금강산’이라고도 되어 있는데, 『파한집』에 실려 있다. 특히 이 시의 세 번째 구는 우뚝하여 깨끗하다는 묘사를 하여 후세인들이 좋아하였다.


* 임유정(林惟正, 1140~1190)

개골산 장연사
가며가며 승경 찾으니 절로 속된 마음 잊혀져
좋은 건 산에 오르고 물에 임할 때라네
어지러운 폭포 솟아나는 샘물은 콸콸 흐르고
둘러선 봉우리 겹친 산은 들쭉날쭉 울창하네
이내는 아름아름 갠 날에도 젖어 있고
산빛은 푸르스름하니 비올 때 더욱 기이하네
이 때 이 경치를 누가 흥겨워하나
홍련사 주인 스님인 벽운 그분이로세

題皆骨山長淵寺 集句 제개골산장연사 집구
行行尋勝自忘機 행행심승자망기
好是登山臨水時 호시등산임수시
亂瀑飛泉鳴淅? 난폭비천명석력
回峯疊?鬱參差 회봉첩장울참차
嵐光??晴猶潤 남광암애청유윤
山色空?雨亦奇 산색공몽우역기
此景此時誰得意 차경차시수득의
紅蓮社主碧雲師 홍련사주벽운사

주석
ㆍ 집구集句 : 이 시는 여러 시인의 작품에서 한 구句씩 떼어 모아서 맞추어 만든 집구시이다. 이 시는 『동문선』 권13에 실려 있다.
ㆍ 석력淅? : 석淅은 쌀을 인다는 뜻이고, 력?은 거를 력瀝과 같은 뜻이다. 흔히 석력은 소리를 형용하는 의성어로 쓰인다.
ㆍ 참차參差 : 가지런하지 않은 모양, 들쭉날쭉한 모양을 가리키는 의태어로 쓰인다.

작자
임유정은 고려시대 문인으로 벼슬이 높지는 않았는데, 금성(지금의 나주)에서 외직을 거쳤던 것도 확인된다. 후대에 그를 ‘임좨주林祭酒’라 칭하고, 그가 지은 책의 이름에도 이러한 내용이 있는 것으로 보면 최종적으로 국자감의 좨주라는 벼슬을 지낸 것을 알 수 있다. 그는 ‘백가의체百家衣體’(백 사람의 옷이라는 말로 옛 사람의 시구를 모아서 시를 만드는 것) 시를 잘 지었던 것으로 유명하다. 그의 저작으로 『백가의시집百家衣詩集』이 전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