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민행 (지은이)
정보 더보기
독일 뮌헨대학교 대학원에서 이론언어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연세대 독어독문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2002년-2003년에 미국 Harvard대의 초청을 받아 옌칭 연구소의 방문학자로 연구를 수행한 바 있다. 2018년에 대한민국 학술원상(인문학부문)을 수상하고 2021년 1월부터 한국언어학회 회장직을 맡고 있다. 저서로 『독일어 전산 구문문법 연구』(2012), 『빅데이터 시대의 언어연구』(2015), 『정보기반 독어학 연구』(2017)와 『독일어 전산 의존문법 연구』(2021) 등 말뭉치 언어학 4부작을 출간했다.
펼치기
조태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한 후 동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국어학(사회언어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프랑스 파리10대학교 언어과학과에서 사회언어학(언어정책론)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국립국어원 학예연구사와 학예연구관, 대구대학교 국제한국어교육과 조교수로 재직했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부교수이다. 저서로 『한국어의 규범성과 다양성』(2008, 공저),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2014, 공저), 『우리말 연구의 첫걸음』(2015, 공저), 『언어순수주의의 발전과 전개』(2019, 공저), 『한국 사회언어학 연구 30년의 성과와 과제』(2020, 공저) 등이 있고, 역서로 『언어 제국주의란 무엇인가』(2005, 공역), 『비판적 담화 연구의 방법들』(2021, 공역) 등이 있다. 주요 연구 주제는 한국어의 사회적 변이 양상과 언어와 이데올로기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과 언어 사용 및 정책의 문제를 파악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펼치기
김태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국 UW-Madison에서 중국어학으로 석·박사학위를 받은 후 연세대 중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현재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Chinese Linguistics, 중국어문학연구회, 중국어문학회, 한국중국언어학회 등에서 이사로서 임원직을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는 Mandarin Loanwords(Abingdon, OX & New York, NY:2019)가 있고 공저로는 『코퍼스를 활용한 중국어 연구』(2020), 『중국어학입문』(2019), 『한중일 언어를 통해 본 삼국의 사회와 문화』(2018)를 출간하였다. 공역으로는 『한국인이 자주 틀리는 중국어 문법 오류 분석』(2018), 『현대 중국어 단어 결합관계 연구』(2015), 『중국 언어학 개론』(2015)을 출간했다. 지금은 중국어 음역어 중심의 음운학과 차용어 위주의 어휘학 및 역사음운학 등을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김현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학부와 석사과정을 서울대학교 영어교육과에서 마친 후, University of Hawai‘i at M.noa의 Second Language Studies 학과에서 이중언어처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연구 분야는 이중언어처리, 구문문법, 코퍼스언어학 등이며, 현재까지 총 16편의 SSCI 및 A&HCI 국제 논문을 출간했거나 출간을 앞두고 있다. 대표적인 논문으로는 “Applying constructionist approaches to teaching English argument structure constructions to EFL learners” (TESOL Quarterly), “Predictive processing of implicit causality in a second language: A visual-world eye-tracking study” (Studi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ross-linguistic activation of implicit causality biases in Korean learners of English” (Bilingualism: Language and Cognition) 등이 있다.
펼치기
손현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불어불문학과에서 학사와 석사를 마치고 프랑스 파리7대학에서 컴퓨터언어학 licence(학사) 학위를, 파리 EHESS에서 언어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에는 「접속사의 해석과 운율」(2015), “Fonction seantique de de que dans le repeage temporel d’un couple d’eeements”(2016), 「복합형 시간 접속사의 형태 구조와 특징」(2019), 「의미 연구를 위한 구어 말뭉치 구축 방식 제안」(2020) 등이 있고, 저서에는 『담화의 언어정보학적 탐구』(손현정, 이재윤 공저, 2014),역서에는 『프랑스어를 위한 컴퓨터 도구와 언어자원』(2017) 등이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담화의미론, 말뭉치언어학, 컴퓨터언어학이다.
펼치기
임재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학부와 대학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한 후, 파리10대학교에서 언어과학 박사학위(프랑스어 통사론 전공)를 받았다. 2004년 연세대 불어불문학과에 부임했고, 교수로 재직 중이다. 프랑스국립과학연구센터(CNRS)에서 방문교수였고, 같은 기관의 참여연구원(associated member)이다. 국제저널 Linguistics and Literature Studies의 상임 심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유럽지역학 책임교수를 맡고 있으며, 「연세춘추」 주간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Les petites propositions en francais contemporain : syntaxe et interpretation(Presses universitaires de Septentrion)과 『언어순수주의의 발현과 전개』 (공저) 등이 있고, 최근 공동 논문으로는 “Explicit and Implicit Dimensions of Sociopragmatic and Pragmalinguistic Competence”(International Review of Applied Linguistics in Language Teaching), 최근 단독 논문으로는 「프랑스어 감탄문 연구」가 있다. 1994년 등단 후 시집으로 『호주머니 속의 시』, 『꽃과 꽃이 흔들린다』, 『항구에 내리는 겨울 소식』, 『거의 블루』를 출간하였고, 번역서로 하우게의 번역 시집 『어린 나무의 눈을 털어주다』와 페르민의 소설 『눈』, 『검은 바이올린』을 출판하였다. 현재 논문집 『프랑스어 통사론과 통사론적 분석』을 준비 중이다.
펼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