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그런 자립은 없다

그런 자립은 없다

(곁을 잇고 나로 서는 청소년 현장 이야기)

인권교육센터 들 (지은이)
교육공동체벗
1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2,600원 -10% 2,500원
700원
14,400원 >
12,600원 -10% 2,500원
0원
15,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8개 2,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9,800원 -10% 490원 8,330원 >

책 이미지

그런 자립은 없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그런 자립은 없다 (곁을 잇고 나로 서는 청소년 현장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88968801129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9-03-25

책 소개

청소년 자립 지원 현장에서 청소년 인권을 고민하고 청소년을 만나고 자립을 지원하기 위한 활동의 철학과 방법을 모색한 이야기들을 담았다. 인권교육운동 활동가들이 같이 고민을 나누며 현장을 관찰하고 기록한 책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7

1 | 청소년 자립, 인권을 만나다
‘자몽’과 ‘몽실’의 만남, 3년의 시간을 돌아보며 11
인권교육센터 들 ‘몽실 프로젝트팀’ |

2 | 인권을 품은 청소년 자립, 아홉 현장 이야기

재미로 엮는 관계의 숲 30
– 늘푸른 자립학교 | 한낱

‘EXIT홀릭’이 생겨나는 사연 58
– 움직이는 청소년센터 EXIT | 배경내

마을과 함께 ‘나’로 서다 86
– 공릉청소년문화정보센터의 ‘나도, 꽃’ | 날맹

제대로 만나 제대로 작당하다 108
– 꿈꾸는아이들의학교의 ‘플랜비’ | 호연

‘맷집’을 키우며 일궈 낸 일터이자 배움터 134
– 청소년 직업 훈련 매장 커피동물원 | 한낱

“안 되나 봐요”와 싸워 나가는 시간 160
– 경기위기청소년교육센터 아띠아또 | 배경내

‘무지개 청소년’을 위한 내비게이션 182
– 청소년성소수자위기지원센터 띵동 | 공현

‘뭘 그런 걸 묻나?’ 싶은 걸 묻는다 202
– 안산YWCA 여성과성상담소의 키움학교 | 고은채

이것저것 해 보고 싶어지는 ‘집’ 224
– 청소년 자립팸 이상한나라 | 호연

3 | 자립과 인권이 만난 이야기에 읽어 낸 철학들
별거 아닌 것들이 별스럽게 된 이야기 251
| 배경내

부록- 2015년~2017년 자몽 참여 기관과 사업 내용 265
필자 소개 268

저자소개

인권교육센터 들 (지은이)    정보 더보기
www.hrecenter-dl.org ‘인권교육센터 들’은 2008년 창립하여 인권 이야기를 가장 교육적으로 풀어낼 방법을 모색, 실천해 왔습니다. 사회 곳곳을 찾아가 인권교육을 펼치는 일이 ‘들’의 일상입니다. 교재 발간, 인권교육(활동)가의 역량 강화 과정 개최, 인권교육가 네트워킹 등을 통해 인권교육의 확산을 꿈꿉니다. 인권운동, 특히 청소년인권운동과 긴밀히 연대하고 있으며, 사회적 약자·소수자의 ‘몫소리’를 알려 내는 구술 기록 활동에도 참여해 왔습니다. 인권적인 조직을 만들기 위해 들이는 품도 우리에겐 중요한 가치를 지닙니다. 인권교육 강사를 파견하는 기관이 아니라 운동하는 조직이기를, 수입을 늘이기 위해 연구와 현장 연대를 후순위로 미루지 않기를, 구성원들 사이의 권력 차이와 문제를 봉합하지 않음으로써 수평적 조직에 좀 더 가까이 다가가기를, 기업과 정부 후원에 기대지 않는 자립적 조직이기를, 다수결보다는 합의를 중시하는 조직이 되기를 꿈꿉니다. 우리가 거둔 결실이 우리만의 것이 아님을 기억합니다.
펼치기

책속에서

“비상(非常)이 일상”인 삶을 살아가는 청소년들에게 자립이라는 말이 조금은 덜 외롭고 조금은 덜 초조하며 조금은 덜 삭막하고 조금은 덜 스산한 언어가 될 수는 없을까. 누구도 홀로 자립할 수는 없다. 자립은 결코 먼 미래에 도달해야 할 무언가가 되어서는 안 되었다. ‘스스로 그리고 함께’ 자신의 삶을 구성하고, ‘바로 지금’ 사회 속에서 의미 있는 존재로 살아가는 상태를 자립이라고 불러야 하는 건 아닐까. 그렇다면 삭막한 자립의 언어에 인권의 숨결을 불어넣는 작업이 절실했다. ‘홀로 살아남아 너의 쓸모를 증명하라’는 요구 앞에서 ‘의무’가 된 자립의 언어를 ‘권리’의 언어로 재구성할 필요가 있었다.
- 〈청소년 자립, 인권을 만나다〉


준비된 각본은 교사들이, 어른들이 “보고 싶은 그림”이다. “각본 이후”가, 자기도 모르게 즐기며 만들어 낸 즉흥적 2분이 “훨씬 위대해” 보였다. 의도를 넘어선, 기준을 벗어난 순간 자유가 움튼다. 늘푸른의 네 가지 자립 철학도 그렇게 만들어졌다. “책임 없는 도전, 근거 없는 신뢰, 제한 없는 지원, 평가 없는 표현”은 무언가를 채우는 게 아닌 비우기를 지향한다. 그 빈자리에서 오히려 청소년들이 스스로 설 수 있는 자리가 열린다. 자립과 자유는 결국 다른 말이 아니었다.
- 〈재미로 엮는 관계의 숲 - 늘푸른 자립학교〉


활동가들 역시 청소년이 EXIT에 대해서든, 활동가들에 대해서든, 사회에 대해서든 “잘 요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청소년들이 감당하기 벅차서 그냥 넘어가는 일들이 EXIT에 오면 중요한 일로 조명받는다. 머리를 맞대다 보니 같이 해결해야 할 ‘사건’이 된다. 그런 시간에 익숙해지다 보니 활동가들한테도 청소년들이 불만을 제기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너네, 인권 인권 하면서 왜 그렇게 꼰대같이 굴어?” 활동가 미혜는 청소년들한테 ‘욕’을 먹으면서도 기분 좋아라 하는 자신과 동료들을 보며 가슴이 벅차올랐다. “와, 우리가 그렇게 살게 되었구나!”
- 〈‘EXIT홀릭’이 생겨나는 사연 - 움직이는 청소년센터 EXIT〉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68801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