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책읽기
· ISBN : 9788969150639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19-09-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한 학기 한 권 읽기는 이제 시작이다
1장 한 학기 한 권 읽기, 어떻게 할까?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어제와 오늘
한 권 읽기 FAQ
2장 저학년 한 권 읽기
│옛이야기│다섯고개 호랑이와 신나게 놀아보자! _ 호랑이가 나오는 옛이야기 그림책
│그림책│1학년, 너희가 하고 싶은 독서는 뭐니? _ 1학년이 좋아하는 그림책
│동시│시와 함께 노는 교실 _ 『침 튀기지 마세요』
│동화│진정한 친구를 사귀는 방법 _ 『콩이네 옆집이 수상하다!』
│동화│인물의 마음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_ 『멋지다 썩은 떡』
3장 중학년 한 권 읽기
│동화│지구별에서 사람들은 어떻게 살아갈까? _ 『랑랑별 때때롱』
│그림책│살아 있다는 건 이런 거구나! _ 『살아 있어』
│동화│ 나쁜 기억이 사라지면 행복해질까? _ 『한밤중 달빛 식당』
│그림책│또래 친구 찬이에게 보내는 공감 편지 _ 『동생을 데리고 미술관에 갔어요』
│동화│우리 가족 사랑 두 배로! _ 『두 배로 카메라』
│그림책│있는 그대로 나를 사랑하기 _ 『나는 소심해요』
4장 고학년 한 권 읽기
│어린이시│자기 삶을 노래할 줄 아는 아이들 _ <올챙이 발가락>
│동화│우리의 속도로 달리는 책 여행 _ 『불량한 자전거 여행』
│고전│흥부전, 아이들의 심술보를 터뜨리다! _ 『흥부전, 부를 탐하다』
│단편동화│자기 이야기로 수다꽃 피우는 독서수업 _ 『돌 씹어 먹는 아이』
함께 읽은 책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교육과정으로 들어온 ‘한 권 읽기’는 학생들이 책을 가까이하는 습관과 태도를 형성하고 평생 독자로 성장하게 하는 데에 가장 큰 목적이 있다. 취지에 맞게 수업이 전개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함께 읽을 책을 선정하는 과정에 참여하고, 생각을 자유롭고 다양하게 표현함으로써 독서의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해야 한다. 교사는 자율적인 배움이 일어나도록 시공간적 교육과정을 제공하지만, 어디까지나 주체는 학생이 되어야 하는 것이다. ―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어제와 오늘」
1학년 아이들이 학교도서관에 들어서는 것은 새로운 세계를 만나는 일이라 생각한다. 도서관이라는 상상의 세계에서 친구와 이야기도 하고 장난도 치고 책도 고르면서 즐겁게 놀다가 탐험길에서 획득한 그림책을 대출해서 도서관 문을 나서면 현실의 세계로 돌아온다. 도서관이라는 상상 놀이터에서 아이들이 발견한 그림책들은 모두 보물같이 귀하고 아름다운 책들이었다. ― 「1학년, 너희가 하고 싶은 독서는 뭐니?」
물오리를 흉내 내는 말이 재미있고, 풍경을 그린 듯한 아름다운 시어로 이루어진 노래를 들으며 아이들은 무척 즐거워했다. 귀여운 물오리들이 아장아장 걸어다니는 모습을 묘사한 노래를 들으니 오리 흉내를 내고 싶었던 모양이다. 한 아이가 몸을 수그리고 두 손을 얼굴 아래에 가지런히 붙인 채 오리 흉내를 내며 책상 사이를 돌아다녔다. 그러자 약속이라도 한 듯 다른 친구들도 줄지어 오리 흉내를 내며 교실을 돌아다니기 시작했다. 들썩이는 교실 분위기에 나도 신나서 우리 다 같이 오리가 되자고 하며 아이들을 일으켜 세웠다. 아주 단순한 동작이지만 아이들은 아기 물오리가 되어 아장아장 교실을 돌아다니며 신나고 즐겁게 놀았다. ― 「시와 함께 노는 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