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69150998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21-05-21
책 소개
목차
머리말. 더 재미있는 학교도서관 미디어 교육을 위해
1장.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리터러시? 오래된 답에서 질문을 찾다!
2장. 주제별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공부 : 미디어로 읽는 공부의 의미
취미 : 영화로 읽는 취미의 힘
우정 : 웹드라마로 읽는 친구 사이
사랑 : 뮤직비디오로 읽는 사랑의 모습
언어 : 방송으로 접하는 혐오 표현
가족 : 공익광고로 읽는 가족의 소중함
직업 : 유튜브로 읽는 직업과 일
돈 : 웹툰으로 읽는 돈과 가치
환경 : 유튜브로 읽는 환경과 기후위기
다문화 : 뉴스 기사로 읽는 다문화
부록 1. 미디어 리터러시 연계 교과 단원
부록 2. 미디어 활용 수업 저작권 QnA
찾아보기
책속에서
이 책에서 주로 다루는 사례는 크게 네 가지다. 첫째, 중학교 교과 교육과정 전반에 녹아 있는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 이야기다. 사서교사 단독 혹은 교과교사와의 협력수업을 통해 특정 교과에 치우치지 않고 전 교과를 다룬 수업 사례를 담았다. 둘째, 다양한 미디어의 특성과 수업 활용 방법에 대한 이야기다. 뉴스뿐 아니라 유튜브, 웹툰, SNS, 웹드라마 등 최근 부상한 미디어를 다룬다. 셋째, 미디어 속에서 찾은 정보의 ‘읽기’에 대한 이야기다. 미디어별로 생산되는 다양한 정보의 특성을 알아보고 어떻게 하면 깊이 있게 이해하는 읽기 교육이 가능한지에 대해 살펴본다. 넷째, 주제(테마)로 학습하는 미디어의 이해에 대한 이야기다. 10가지 주제별 수업에 적용 가능한 미디어로 어떤 수업을 진행했는지를 다루고 사례를 공유한다. 주제는 나를 중심으로 한 개인적인 것에서 출발해 청소년기에 반드시 관심을 가져야 하는 사회적 문제로 확장했다.
(머리말 중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디지털 미디어 이용의 이면에 있는 과다한 정보, 음란물 및 불건전한 정보, 자기 노출, 허위정보 확산, 사이버 폭력 등 역기능 등을 개선하기 위해 바른 정보의 선택, 디지털 공간에서의 개인 간 배려와 존중, 올바른 소통 활성화와 공동체성 확립이라는 근원적 해결 방법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미디어의 악영향으로부터 미디어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하다는 ‘보호주의적 관점’이나, 미디어 이용자들의 문화적 정체성 구현과 미디어를 통해 얻는 즐거움을 강조하는 ‘문화 정체성과 즐거움’, 다양화·개별화된 미디어 환경에서 미디어 이용자가 올바른 정보에 기반을 둔 선택을 할 수 있고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자기 규제 능력을 갖추는 ‘개인 위주적 접근’으로만 바라보는 것은 아닌지 함께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이해’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