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94523840
· 쪽수 : 532쪽
· 출판일 : 2025-09-25
책 소개
목차
머리말―〈현장 36.5〉, 평범한 삶의 현장에서 사람들의 체온을 찾습니다
프로세스, 영상뉴스는 이렇게 만들어집니다
〈현장 36.5〉 속으로―‘영상기자의 제작기’와 ‘기자들의 대화’
1부―히어로, 현장에서 만난 평범한 영웅들
1장―‘12·12’ 그날, 험난한 정의를 택하다 ‘김오랑’
기자들의 대화―도입부와 정리부, 그래픽 매치
2장―‘평화의 소녀상’을 만드는 사람들
기자들의 대화―뉴스 영상의 특성과 영상 서사
3장―스페인 신부의 파란 눈은?… ‘사랑의 색’
기자들의 대화―인서트와 컷어웨이
4장―우린 작업복만 빨아요… 1000원 공공 빨래방
기자들의 대화―영상뉴스의 구성과 화제 전환 기법, 연역적 및 귀납적 영상 접근법
2부―장애, 함께 사는 세상
5장 ‘썰매 타고 골을 향해’… 얼음 위에서 하나 된 도전
기자들의 대화―뉴스의 리듬
6장―멋진 화가의 꿈… 자폐 화가가 그려내는 아름다운 세상
기자들의 대화 뉴스―영상의 입체감과 앵글
7장―당신의 미용실, 문턱을 넘어 함께해요
기자들의 대화―뉴스 영상 속 구도
8장―“아빠는 9살”… 한 ‘돌봄 청년’의 이야기
기자들의 대화―시청자의 시야를 고려한 뉴스 제작
3부―지역, 먼 곳이 아닌 주변의 이야기
9장―‘조선소 훈민정음’… 언어장벽 허물기
기자들의 대화―숏 사이즈와 공정성
10장―손녀처럼 보이겠지만… 우리 이장님
기자들의 대화―뉴스 자막과 현장음
11장―‘무사히 오기를’… 가족 걱정에 애타는 고려인들
기자들의 대화―사례 취재와 구성
12장―칠곡 할매 래퍼, ‘못 배운 한을 노래하다’
기자들의 대화―뉴스 속 소리의 종류와 역할
4부―축소사회, 달라진 사회의 단면들
13장―혈연을 넘어… “그렇게 가족이 된다”
기자들의 대화―뉴스의 형식과 피처스토리
14장―느린아이… 전력 질주하는 부모
기자들의 대화―초상권 보호과 포커스
15장―72년의 잊지 못할 그리움, 여전히 남은 이산가족
기자들의 대화―뉴스 아카이브와 음악의 활용
16장―‘그들을 조국의 품으로’… 유해발굴감식 현장
기자들의 대화―카메라의 높이
17장―동심까지 치료하는 장난감 병원
기자들의 대화―이미지 표현의 역사 속 뉴스 영상
저자소개
책속에서
이 책은 그 피처스토리를 제작하는 과정을 담았습니다. 우선 ‘제작기’가 있습니다. 일종의 성찰적 에세이입니다. 제작 당시 많아야 5년 차 정도였던 영상기자들, 사회 초년생에 가까운 이들이 어떤 문제의식에서 이런 아이템을 발제했고 이야기를 끌고 갈 인물과 사례는 어떻게 선정하고 섭외했는지 설명합니다. 이야기를 풀어내기 위한 영상취재, 편집 계획과 그 계획의 수정, 그 과정에서 겪은 시행착오를 가감 없이 풀어냅니다. 무엇보다 현장에서 약자나 보통 사람의 목소리를 직접 접하면서 느
낀 감정과 이를 통해 품게 된 우리 사회의 변화에 대한 바람을 이야기했습니다. _「머리말」에서
시청자의 시선을 사로잡으려면 화제성이 있거나 소위 그림이 되는 아이템이 좋다. 하지만 가장 중요히 생각할 부분은 사회적 울림, 즉 아이템이 뉴스로 드러낼 수 있는 메시지다. _「프로세스, 영상뉴스는 이렇게 만들어집니다」에서
시간이 흘러도 이 땅에 태어난 우리 모두의 얼굴에는 ‘소녀’가 남아 있다. 무언가를 직접 빼앗겨본 사람도, 빼앗김을 기억하는 사람도 언제든지 소녀가 될 수 있다. 공동의 기억은 비극의 역사로 기록된다. 하지만 비극조차도 역사다. 다만 그 상처를 치유하고 문제를 해결하려면 모두의 노력이 필요하다.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려는 노력, 기억하려는 노력, 기록하려는 노력. 다행히도 다양한 시민이 각자의 일상에서 그 상처를 담담히 기억하고 기록하고 있다. 일상을 이어나간다면 우리가 만든 그 시절의 그 소녀는 영원히 기억될 것이다. _「2장—‘평화의 소녀상’을 만드는 사람들」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