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왕초보, 불교 박사 되다

왕초보, 불교 박사 되다

석지현, 일지, 윤창화 (지은이)
민족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52개 1,45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6,000원 -10% 300원 5,100원 >

책 이미지

왕초보, 불교 박사 되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왕초보, 불교 박사 되다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불교 > 불교 경전/법문
· ISBN : 9788970094229
· 쪽수 : 352쪽
· 출판일 : 2008-05-27

책 소개

불교를 전혀 모르는 왕초보를 위한 불교 안내서이다. 일상적인 이야기로부터 시작해 쉬운 구어체로 썼다. ‘스님’, ‘절’, ‘부처님’의 어원, ‘합장’의 의미, ‘회주’스님, ‘법공양’, ‘비구 비구니 사미 사미니’의 호칭, ‘조사 종사’ ‘거사 처사’의 호칭 등 주로 절에서 흔히 쓰고 있는 말이나 궁금점을 서술했다.

목차

가사와 장삼은 언제 입는 법복입니까
계를 받을 때 연비는 왜 합니까
나무아미타불 관세음보살은 무슨 뜻입니까
다라니란 무슨 뜻입니까
달마대사는 어떤 분입니까
만(卍)자 표시는 무엇을 뜻합니까
바라춤과 승무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방생은 왜 합니까
백팔번뇌란 무엇입니까
법당과 대웅전은 같습니까 다릅니까
보살은 어떤 분입니까
보시 법보시는 무슨 뜻입니까
부처님께 음식은 왜 올립니까
부처님 머리 위에 왜 물을 붓습니까
불사란 무슨 말입니까
불전은 얼마나 놓아야 합니까
사바세계란 어느 곳을 가리킵니까
사부대중이란 무슨 뜻입니까
연꽃은 불교와 어떤 관계가 있습니까
염불은 왜 합니까
염주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예불은 왜 합니까
오계와 십계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옴 마니 반메 훔에 대해서 알고 싶습니다
우담바라는 어떤 꽃입니까
윤달과 불교는 어떤 관련이 있습니까
적멸보궁은 어떤 곳입니까
죽음과 열반은 어떻게 다릅니까
깨달으면 부처나 나나 다 똑같다고 하는데 어째서입니까
법문을 마치면서 왜 ‘할(억)’ 하고 큰소리를 냅니까
새벽에 목탁을 치면서 도량을 도는 까닭은 무엇입니까
지장보살은 어떤 분입니까

저자소개

석지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우리나라에 ‘선시’라는 장르를 처음으로 알렸으며 특유의 감각적 시선으로 작품을 자신만의 색채로 새롭게 읽어냈다. 1969년 중앙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 당선. 1973년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졸업하였다. 이후 인도, 네팔, 티베트, 미국, 이스라엘 등지를 수년간 방랑했다. 편・저・역서로는 《선시禪詩》, 《바가바드 기따》, 《우파니샤드》, 《반야심경》, 《숫타니파타》, 《법구경》, 《불교를 찾아서》, 《선으로 가는 길》, 《벽암록》(전5권), 《왕초보 불교 박사 되다》, 《제일로 아파하는 마음에-관음경 강의》, 《행복한 마음 휴식》, 《종용록》(전5권), 《선시 감상사전》(전2권), 《임제록》, 《선시 삼백수》, 《가슴을 적시는 부처님 말씀 300가지》 등 다수가 있다.
펼치기
일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0년에 태어나, 1974년에 출가하여 1980년 해인사 강원(제21회)을 졸업하고1982년 해인율원을 수료했다. 이후 경학(經學)과 선학(禪學)을 탐구해 왔으며, 문경 봉암사, 망월사, 오대산 상원사 등지의 선원에서 수선(修禪) 안거를 했다. ‘불교인문주의’라는 독특한 영역을 심화시켜 많은 불교 관련 저서를 쓰고 경전과 선어록 들을 번역했다. 불교경학연구소를 설립, 《유마경》, 《법화경》, 《화엄경》 등을 강의했다. 2002년 젊은 나이로 입적했다. 저서로는 《중관불교와 유식불교》(1992), 《선禪이야기》(1996), 《선불교강좌 백문백답》 등이 있고, 번역서로는 《임제록》(1988), 《중국문학과 禪》(1992), 《傳心法要》(1993), 《통윤의 유마경 풀이》(1999) 등이 있다.
펼치기
윤창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 평창 진부 출신으로 13년간 출가 생활을 했다. 오대산 월정사로 입산, 탄허 큰스님의 수제자인 만화 스님의 상좌가 되었고, 수계 후 탄허 큰스님을 8년 동안 하면서 본격적으로 불교 공부를 하게 되었다. 1972년 해인사 강원을 졸업(13회), 1999년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한국고전번역원)을 졸업했다. 1980년 불교전문 출판사 민족사를 설립해 45년째 불교책을 내고 있다. 논문으로는 「한암(漢岩)의 자전적 구도기, 일생패궐」 「성철스님의 오매일여론 비판」(『불교평론』 36집, 2008) 「경허의 주색과 삼수갑산」(『불교평론』 52집, 2012) 등이 있고, 저서로는 『왕초보, 선(禪) 박사되다』 『근현대 한국불교 명저 58선』 『선불교』 『불교사자성어』 『불교지식꽁트』 등이 있다. 지금은 ‘공안의 미학’이라는 주제에 몰두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청.황.적.백.주황, 이렇게 다섯 가지 색으로 된 불교기는 불교를 상징하는 깃발입니다. 다섯 가지 색은 각각 어떤 의미를 갖고 있으며 왜 다섯 가지 색으로 불교를 상징하게 되었을까요. 위에서부터 선서대로 따져나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청색은 부처님의 검푸른 모발색에서 따왔으며, 황색은 부처님의 피부색(또는 가사색이라고도 함)에서, 적색은 부처님의 붉은 입술색에서, 백색은 항상 사자후로 설법하시는 부처님의 깨끗한 치아색에서, 주황색은 부처님의 성스러운 몸을 두루고 있는 가사색(또는 피부색이라고도 함)에서 따 온 것입니다. (147쪽, 불교기(佛敎旗)는 무엇을 상징하며 언제부터 사용하였습니까'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98742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