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영화/드라마 > 영화사
· ISBN : 9788970126227
· 쪽수 : 326쪽
· 출판일 : 2003-12-24
책 소개
목차
일러두기
Introductory Remarks
1. 해방 직후의 한국영화계와 영화 운동 The Korean Film Community and Film Movements during the Post-liberation Era
1. 해방 직후의 한국영화계 The Korean Film Community after the Liberation
2. 해방 직후의 영화 Korean Films after the Liberation
3. 해방 직후의 정치 사회 현실과 문화예술계 동향 The Political and Social Situation and the Trend in the Cultural Field in the Post-liberation Korea
4. 조선영화동맹과 미군정 The Korean Film and the USAMGIK
2. 동란기의 한국영화 Korean Films during the Wartime
1. 왜 동란기인가 Why This Wartime Period is Important
2. 동란기에 제작되었던 한국영화 Korean Films Produced in the Wartime Period
3. 한국영화 제작 지형과 영화기술인의 활동 The Korean Film Production Situation and the Activities of Korean Film Engineers
4. 한국영화 제작 기재와 시설 Film Production Facilities and Film Equipment in Korea
5. 외국영화의 범람 Overflow of the Foreign Films
6. 한국영화 성장기의 토대 Ground for the Growth of Korean Cinema
3. 1950년대 한국영화 1950s Korean Cinema
1. 1950년대 영화제작 경향 Tendency of the 1950s Films Production
2. 멜로드라마의 시대 The Melodrama Era
3. '자유부인', 근대적 사고의 영화적 수용과 저항 'Madame Freedom', the Application of the Modern Thinking into a Film and the Repulsion against It
4. 여성상과 남성상의 형상 The Formation of Female and Male Characteristics
5. 모더니티에 대한 이중적 태도 Double Standards for Modernity
6. 1950년대 한국영화의 서사형식 Narrative Structure of the Films in the 1950s
7. 1950년대 한국영화의 흔적 Legacy of the 1950s Films
연표(1945~1959)
Chronology(1945~1959)
찾아보기
Index
저자소개
책속에서
해방 이후 1946년에서 1950년 전쟁 발발 전까지의 제작 편수 62편 중 35밀리는 24편, 16밀리는 38편으로, 35밀리 필름으로 제작된 영화가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전 시기에 비해 동란기 영화 대부분이 16밀리로 제작되었다는 것은 기술의 퇴보보다 한국영화의 명맥을 유지하려는 노력이라는 관점에서 평가되어야 한다.(p.108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