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한국문학론 > 한국소설론
· ISBN : 9788970137216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09-06-10
책 소개
목차
책을 쓰게 된 동기 6
들어가는 말 10
제1장 블로그에 소설을 쓰다
1. 문학 공간으로서의 블로그와 인터넷 시대의 소설 읽기 21
2. 박범신의 블로그 소설 《촐라체》 27
(1) 블로그에서 소설 읽기―새로운 독서를 경험하다 28
(2) 작가와 독자의 새로운 대화 공간 31
(3) 《촐라체》의 문제점과 문화적 의미 33
3. 황석영의 블로그 소설 《개밥바라기별》 35
(1) 컴퓨터를 넘어서 미디어로 36
(2) 작가와 독자, 블로그에서 마주하다 42
(3) 《개밥바라기별》과 블로그 소설의 위상 46
제2장 인터넷 시대의 작가와 독자
1. 작가와 독자, 그 경계를 넘어서 55
(1) 작가, 독자, 그리고 텍스트 58
(2) 인터넷 시대 작가의 정체성 64
2. 인터넷, 그리고 새로운 작가의 탄생 67
(1) 인터넷 시대의 등단 제도―인터넷 소설 공모전 69
(2) 인터넷 소설 카페로 데뷔하기―‘인터넷소설닷컴’ 74
(3) 인터넷 소설을 모아 책 만들기―‘한페이지 단편소설’ 79
(4) 아마추어 작가의 탄생―《경상도 심청이》 81
3. 작가와 독자가 만나는 방식 87
(1) 안녕 외수야―작가 홈페이지를 방문하다 88
(2) 작가님도 싸이를 하십니까―미니홈피 ‘랄랄라 하우스’ 방문기 93
(3) ‘귀사모’를 아세요?―인터넷 작가 팬카페 들여다보기 95
(4) 밀실에서 광장으로―‘사이버문학광장’ 99
제3장 인터넷 소설의 남녀들, 영화로 가다
1. 인터넷 소설의 영상화와 등장인물의 섹슈얼리티 107
2. 인터넷 세대 문학과 영상 속의 여성상 110
(1) 귀여니형 주인공의 이중성 110
(2) 김삼순과 신데렐라 넘어서기 113
(3) 남장한 콘트라섹슈얼 고은찬 115
(4) 디지털 구보―하이퍼텍스트 속의 여성 117
3. 인터넷 세대 문학과 영상 속의 남성상 120
(1) 남성 얼짱, 10대 소녀의 판타지 120
(2) 인터넷 로맨스의 남성상 만들기 123
(3) 디지털 세대와 네오마초의 등장 125
(4) 메트로섹슈얼, 현대 여성을 유혹하다 129
제4장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디지털 구보 2001》
1. 《디지털 구보 2001》 프로젝트와 하이퍼텍스트 소설의 탄생 137
2. 《디지털 구보 2001》을 읽는 다섯 가지 방법 142
(1) 산책자 구보와 21세기의 고현학 142
(2) 여자란 무엇인가―하이퍼텍스트와 여성 151
(3) 디지털-사이버 시대의 소통 방식 154
(4) 사이버 서사―정보화 시대의 서사시 161
(5) 다시 소설이란 무엇인가 165
3. 하이퍼텍스트로서의 《디지털 구보 2001》의 과제 174
맺는말 179
주 184
더 읽어야 할 자료들 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