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

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

(이덕무 청언소품)

정민 (지은이)
열림원
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 (이덕무 청언소품)
· 분류 : 국내도서 > 고전 > 우리나라 옛글 > 산문
· ISBN : 9788970632186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00-03-10

책 소개

이 책은 18세기 조선의 문인 이덕무의 <선귤당농소(蟬橘堂濃笑)> 66편 전부와 <이목구심서(耳目口心書)> 일부(163)편을 우리말로 옮기고 평설을 덧붙여 엮은 글이다. 저자는 이 책을 통해 이덕무의 세상살이 이치, 자연의 아름다움, 군자의 면모, 선비의 길, 수신(修身)의 지혜와 자세, 책 읽는 즐거움 등 깊이 있는 내용을 쉽게 풀어냈다.

목차

책을 펴내며
서설 /지리산의 물고기, 이덕무 이야기

1. 선귤당농소(蟬橘堂濃笑)

회심의 순간 / 눈오는 밤 / 유람 / 말똥과 여의주 / 시작과 마무리 / 집중 / 그 한순간 / 착각 / 얼굴 / 밥벌레 / 풀무질과 나막신 / 우주 사이의 한 가지 유희 / 분별하는 마음 / 5월 / 깊은 울림 / 좀벌레 / 단 한사람의 지기 / 3월의 시내 / 명사 / 해맑은 마음 / 매운 슬픔 / 고심 / 석양 무렵 / 선비 / 아, 이 덕무야 / 상팔자 / 삼갈 일 / 금붕어의 생기 / 좋은 벗 / 먹고 살 만해지면 / 거간꾼 / 봄비와 가을 서리 / 파초 그늘 / 아름다운 빛깔 / 군침도는 소리 / 혼자 노는 놀이 / 신선 / 마음가짐 / 가을 햇살 / 통쾌한 일 / 감상법 / 공명심 / 박복한 사람 / 목동 / 몰입 / 진정한 벗 / 시계 / 뒤끝 / 옛 사람 / 기괴함과 멍청함 / 사랑받는 사람 / 위선자 / 동심 / 가을 밤 / 거미 / 가슴 속 물건 / 어리숙함과 거만함 / 사흘간 / 점철과 미봉 / 망령된 생각 / 호연지기 / 냉수 한 사발 / 책 읽는 마음가짐 / 마음의 눈 / 큰 완성

2. 이목구심서(耳目口心書)

어머니 /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 경계로 삼을 일 / 한서 이불과 병풍 / 달가루 / 돈 쓸 궁리 / 단발령 / 문장 / 절굿공이 / 꿈 / 한겨울의 공부방 / 헛생각 / 마음의 거울 / 병과 욕심 / 세월 / 번뇌 / 책이 없다면 / 시통한 영약 / 가을 하늘 / 바위 / 못하는 일 네 가지 / 슬픔을 다스리는 법 / 옛사람의 매운 정신 / 담력과 식견 / 합일의 순간 / 지극한 이치 / 망령됨 / 자득 / 역경 / 재주 / 속임수 / 글의 기운 / 가벼움과 얽매임 / 면밀함과 정밀함 / 형세 / 군자의 일 처리 / 성공과 실패 / 일 없는 즐거움 / 옛사람과 지금 사람 / 별도의 안목 / 교활한 꾀 / 죽음에 이르는 어리석음 / 하고 싶지 않은 일 / 해묵은 찌꺼기 / 해바라기 / 학을 춤추게 하는 법...

저자소개

정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조선 지성사의 전방위 분야를 탐사하여 한문학 문헌에 담긴 깊은 사유와 성찰을 우리 사회에 전해온 인문학자이자 고전학자. 옛글에 담긴 전통의 가치와 멋을 현대의 언어로 되살려왔다. 저서로 다산 정약용의 복잡다단한 면모를 복원한 《다산의 일기장》 《다산선생 지식경영법》, 연암 박지원의 산문을 살핀 《비슷한 것은 가짜다》 《오늘 아침, 나는 책을 읽었다》, 18세기 조선 지식인과 문헌을 파고든 《호저집》 《고전, 발견의 기쁨》 《열여덟 살 이덕무》 《잊혀진 실학자 이덕리와 동다기》 《미쳐야 미친다》, 한시의 아름다움을 탐구한 《우리 한시 삼백수》 《한시 미학 산책》 등이 있다. 청언소품집인 《점검》 《습정》 《석복》 《조심》 《일침》, 조선 후기 차 문화사를 총정리한 《한국의 다서》 《새로 쓰는 조선의 차 문화》, 산문집 《체수유병집-글밭의 이삭줍기》 《사람을 읽고 책과 만나다》, 어린이를 위한 한시 입문서 《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 등 다수의 책을 지었다. 근래에는 초기 서학 연구에 천착해, 조선에 서학 열풍을 불러온 《칠극》, 초기 교회사를 집대성한 《서학, 조선을 관통하다》, 서학 주요 문헌인 《서양 선비, 우정을 논하다》 《역주 눌암기략》 《역주 송담유록》 등을 펴냈다. 2022년 롯데출판문화대상 대상, 2021년 한국가톨릭학술상 번역상, 2020년 백남석학상, 2015년 월봉저작상, 2012년 지훈학술상, 2011년 우호인문학상, 2007년 간행물문화대상 저작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가장 으뜸가는 것은 가난을 편히 여기는 것이다. 그 다음은 가난을 아예 잊어버리는 것이다. 가장 낮은 것은 가난을 꺼리고, 가난을 호소하며, 가난에 짓눌리다가 가난에 부림을 당하는 것이다. 그보다 더 아래는 가난을 원수로 여기다가 가난에 죽는 것이다. (太上安貧, 其次忘貧, 最下諱訴貧, 壓於貧, 僕役於貧, 又最下, 仇讐於貧, 仍死於貧) -본문 184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