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사진 > 사진이론/비평/역사
· ISBN : 9788970842691
· 쪽수 : 190쪽
· 출판일 : 2005-05-3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사진 또는 신뢰할 만한 이미지
사진 역사 이전의 시대 : 1839년까지
사진 발명의 초기 방식 | 학문적 배경
초기 방식 : 1839-60
니에프스와 다게르 | 영국과의 경쟁 | 새로운 미디어의 승리
새로운 방식 - 다른 길 : 1850-80
콜로디온 습판법 | * 스테레오 사진 - 3차원 사진 | 신분을 상징하는 사진 - 인물사진 |
나다르 - 사진가, 보헤미안, 비행사 | 대척자, 앙드레 아돌프 - 외젠 디스데리 | 누드
사진 | 이상과 현실 | 사건의 기록 | 망판인쇄 | 신세계 발견 - 여행사진과 풍경사진
근대사진의 전개 : 1880-1915
서용 수단의 발전 - 사진 화학과 사진 기술 | 움직임의 포착 | 코닥 - 대중을 위한 사진 |
컬러사진의 개척자들 | 1900년경의 예술사진 | 알프레드 스티글리츠, 에드워드 스타이컨과
'사진분리파' | 사물들 이면의 진실 | 외젠 아제 - 옛 파리의 사진가
새로운 시각 : 1915-33
스트레이트사진 | 신즉물주의 | 인물사진의 르네상스 | '글래머'와 패션 | 아방가드
르- 새로운 형식을 찾아서 | 포토그램과 포토몽타주 | 초현실주의와 만 레이 | 러시
아 아방가르드 | * 사진과 바우하우스 | 근대 포토저널리즘의 시작
일상의 발견 : 1930-45
미국인들의 삶 | 하이패션사진 | 기술의 발전 | 사회적 다큐멘터리 | 전쟁사진 |
* 농업안정국(FSA)
전쟁 이후의 사진 : 1945-70
사실주의와 주관주의 | 거리의 대가들 | 우상으로서의 인물사진 - 사진적 기념비들 |
환상적인 아름다움의 대가들 | 추상의 영향 | 주관주의 사진 | 사진으로서의 예술 |
팝 아트와 하이퍼리얼리즘 | 예술과 기록 | * 매그넘
꾸미지 않은 세계 : 1965년-오늘날까지
인간적인 관계 | 작가로서의 사진가 - 작가주의 사진가 | 국제적인 발전 | 사소한 것
들의 미학 | 에로틱사진 - 욕망의 언어 | 연출사진 - 구조와 상황으로서의 사진 | 그림
되기 - 동시대 예술로서의 사진 | 최근 경향
참고 자료
용어 설명 | 사진 연대기 | 참고 문헌 | 찾아보기 | 사진 출처
옮긴이의 말
책속에서
카르티에-브레송은 넋을 빼 놓거나 감성을 자극하는 어떤 '결정적인 순간'을 포착하기 위해 자신의 시선이 흐르도록 내버려둔, 유명한 거리의 활보자였다. 동시에 세계 사람들의 삶에 관심을 가진 관찰자이기도 했다.
카르티에-브레송은 충격적이고 역사적인 사건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었다. 그는 일상사, 아주 작은 사물들과 조그마한 일들, 그리고 그 주변의 스쳐 지나가는 순간들에 흥미를 가졌다. 그에게는 주변의 모든 것들이 사진 찍을 가치가 있었다. - 본문 115~116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