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오감도

오감도

이상 (지은이)
미래사
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오감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오감도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시 > 한국시
· ISBN : 9788970870199
· 쪽수 : 150쪽
· 출판일 : 2016-06-20

책 소개

한국대표시인100선집 열아홉 번째 시선집. 이상 시집. '오감도'를 비롯해 이상의 대표적 시와 문학평론가 김주연 교수의 상세한 해설을 담고 있다.

목차

1. 오감도(烏瞰圖)
시제1호(詩第一號)
시제2호(詩第二號)
시제3호(詩第三號)
시제4호(詩第四號)
시제5호(詩第五號)
시제6호(詩第六號)
시제7호(詩第七號)
시제8호(詩第八號) 해부(解剖)
시제9호(詩第九號) 총구(銃口)
시제10호(詩第十號) 나비
시제11호(詩第十一號)
시제12호(詩第十二號)
시제13호(詩第十三號)
시제14호(詩第十四號)
시제15호(詩第十五號)

2. 역단(易斷) · 위독(危篤) · 무제(無題)
역단(易斷)
화로(火爐)
아침
가정(家庭)
역단
행로(行路)

위독(危篤)
금제(禁制)
추구(追求)
침몰(沈沒)
절벽(絶壁)
백화(白?)
문벌(門閥)
위치(位置)
매춘(賣春)
생애(生涯)
내부(內部)
육친(肉親)
자상(自像)

무제(無題)
꽃나무
이런 시(詩)
1933(一九三三), 6(六), 1(一)
거울
보통기념(普通記念)
소영위제(素榮爲題)
정식(正式)
지비(紙碑)
지비?어디갔는지모르는안해
가외가전(街外街傳)
명경(明鏡)
파첩(破帖)
한개(個)의 밤
무제
무제
청령(??)

3. 회한(悔恨)의 장(章)
이상(異常)한 가역반응(可逆反應)
이상한 가역반응
파편(破片)의 경치(景致)
▽의 유희(遊?)
수염
BOITEUX · BOITEUSE
공복(空腹)
삼차각설계도(三次角設計圖)
선(線)에 관(關)한 각서(覺書) 1
선에 관한 각서 2
선에 관한 각서 3
선에 관한 각서 4
선에 관한 각서 5
선에 관한 각서 6
선에 관한 각서 7

오감도(烏瞰圖)
2인(二人)……1……
2인(二人)……2……
신경질적(神經質的)으로비만(肥滿)한삼각형(三角形)
얼굴
운동(運動)
광녀(狂女)의 고백(告白)

객혈(喀血)의 아침
객혈의 아침
회한의 장
가구(街衢)의추위
최후(最後)
내과(內科)
육친(肉親)의장(章)
1931년(一九三一年)[작품(作品) 제1번(第一番)]
황(?)의 기(記)[작품(作品) 제2번(第二番)]
작품(作品) 제3번(第三番)
아침
습작(習作)쇼오윈도우수점(數點)
골편(骨片)에관(關)한무제(無題)

해설/김주연
연보
참고서지

1. 오감도(烏瞰圖)
시제1호(詩第一號)
시제2호(詩第二號)
시제3호(詩第三號)
시제4호(詩第四號)
시제5호(詩第五號)
시제6호(詩第六號)
시제7호(詩第七號)
시제8호(詩第八號) 해부(解剖)
시제9호(詩第九號) 총구(銃口)
시제10호(詩第十號) 나비
시제11호(詩第十一號)
시제12호(詩第十二號)
시제13호(詩第十三號)
시제14호(詩第十四號)
시제15호(詩第十五號)

2. 역단(易斷) · 위독(危篤) · 무제(無題)
역단(易斷)
화로(火爐)
아침
가정(家庭)
역단
행로(行路)

위독(危篤)
금제(禁制)
추구(追求)
침몰(沈沒)
절벽(絶壁)
백화(白畫)
문벌(門閥)
위치(位置)
매춘(賣春)
생애(生涯)
내부(內部)
육친(肉親)
자상(自像)

무제(無題)
꽃나무
이런 시(詩)
1933(一九三三), 6(六), 1(一)
거울
보통기념(普通記念)
소영위제(素榮爲題)
정식(正式)
지비(紙碑)
지비—어디갔는지모르는안해
가외가전(街外街傳)
명경(明鏡)
파첩(破帖)
한개(個)의 밤
무제
무제
청령(蜻蛉)

3. 회한(悔恨)의 장(章)
이상(異常)한 가역반응(可逆反應)
이상한 가역반응
파편(破片)의 경치(景致)
▽의 유희(遊戲)
수염
BOITEUX · BOITEUSE
공복(空腹)
삼차각설계도(三次角設計圖)
선(線)에 관(關)한 각서(覺書) 1
선에 관한 각서 2
선에 관한 각서 3
선에 관한 각서 4
선에 관한 각서 5
선에 관한 각서 6
선에 관한 각서 7

오감도(烏瞰圖)
2인(二人)……1……
2인(二人)……2……
신경질적(神經質的)으로비만(肥滿)한삼각형(三角形)
얼굴
운동(運動)
광녀(狂女)의 고백(告白)

객혈(喀血)의 아침
객혈의 아침
회한의 장
가구(街衢)의추위
최후(最後)
내과(內科)
육친(肉親)의장(章)
1931년(一九三一年)[작품(作品) 제1번(第一番)]
황(獚)의 기(記)[작품(作品) 제2번(第二番)]
작품(作品) 제3번(第三番)
아침
습작(習作)쇼오윈도우수점(數點)
골편(骨片)에관(關)한무제(無題)

해설/김주연
연보
참고서지

저자소개

이상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0년 9월 23일 서울에서 태어났다. 신명학교와 동광학교·보성고보를 거쳐 경성고등공업학교를 졸업하였다. 1930년 소설 「12월 12일」의 발표를 시작으로 이후 일문시 「이상한 가역반응」·「조감도」 등을 발표하는 등 본격적인 창작에 나서게 된다. 1933년 각혈로 배천온천에 요양을 가서 금홍을 만났으며, 서울에 돌아와 동거를 하게 된다. 그녀와의 삶을 바탕으로 「지주회시」·「날개」·「봉별기」를 썼다. 1934년 『조선중앙일보』에 「오감도」를 발표하였으나 독자들의 거센 반발로 15편 연재로 그만두게 된다. 1935년에는 성천을 기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산촌여정」과 「권태」를 내놓게 된다. 1936년에 『시와 소설』을 편집하였고, 「날개」를 발표하여 일약 문단의 총아로 떠올랐으며, 「위독」·「동해」·「종생기」 등 뛰어난 작품들을 창작하였다. 10월에 동경으로 건너갔으며, 「실화」·「동경」 등을 창작하였다. 1937년 2월 불령선인으로 체포되었으며, 4월 17일 동경제대 부속병원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