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러시아사

러시아사

(선사시대부터 푸틴시대까지)

김학준, 장덕준 (지은이)
단국대학교출판부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600원 -5% 0원
1,400원
25,2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러시아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러시아사 (선사시대부터 푸틴시대까지)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인문계열 > 역사학
· ISBN : 9788970927053
· 쪽수 : 776쪽
· 출판일 : 2018-10-25

책 소개

선사시대부터 푸틴시대까지의 '러시아사'를 다룬 책이다. 여기서 러시아사라고 할 때, 그것은 물론 소비에트 러시아를, 곧 소련을 포함한다. 그러나 1991년 소련에서 소련공산당은 불법화되었으며, 곧이어 소련은 해체되었다.

목차

Ⅰ. 고대 루시로부터 모스크바대공국까지의 러시아의 역사
제1장_키예프 루시 이전의 시기 19
1. 초기 문화 19
2. 스키타이제국과 사르마티아제국의 흥망 22
3. 고트국, 아바르국, 하자르국 등의 등장과 소멸 25
4. 동슬라브족의 정착 28
5. 주요한 민족들의 활동무대 30
제2장_키예프 루시의 시기 32
1. 『초기 연대기』에 대한 고찰 32
2. 키예프 루시의 성립 : 노르만학설과 반(反)노르만 학설 및 종합적 설명 33
3. 키예프 루시의 성장과 발전 38
4. 키예프 루시의 내란과 해체 45
5. 루시의 사회경제적 성격과 쇠락 원인들 49
제3장_몽골-타타르의 지배 시기 52
1. 몽골-타타르의 침공 52
2. 몽골-타타르의 지배 55
3. 몽골-타타르 지배의 유산 56
4. 리투아니아의 북방 루시의 지배 60
제4장_ 모스크바대공국의 성장과 러시아의 부흥 61
1. 모스크바공국의 성립과 모스크바대공국으로의 성장 61
2. 모스크바대공국의 몽골에 대한 승전65
3. 몽골-타타르로부터의 해방과 이반 Ⅲ세67
4. 모스크바대공국의 팽창과 이반 Ⅳ세72
5. 혼란의 시대 80

Ⅱ. 제정러시아의 역사
제5장_ 로마노프왕조의 성립과 강대국으로의 도약 91
1. 로마노프왕조의 개창과 그 기본성격 92
2. 초기 차르들의 통치시기 : 모스크바 시대의 계속94
3. 표트르 I세의 즉위를 둘러싼 궁정의 권력투쟁 100
4. 표트르사절단의 서유럽 방문 105
5. 표트르의 서유럽화정책 : 모스크바의 시대로부터 제국의 시대로 108
제6장_귀족의 황금시대 속에서의 반동정책 117
1. 예카테리나 Ⅱ세의 대내외정책118
2. 러시아의 지성계와 프랑스대혁명 및 그것이 러시아의 대내외정책에 미친 영향 123
3. 데카브리스트의 반란과 니콜라이 Ⅰ세의 반동정치 : 봉건체제의 위기 130
4. 민족문화의 성장과 발전 136
5. 지식인들의 논쟁과 혁명사상의 배태 142
제7장_혁명운동의 확산과 정부의 대응 149
1. 알렉산드르 Ⅱ세의 개혁정치와 대외정책 150
2. 러시아혁명주의의 성장과 ?860년대의 사람들’156
3. 나로드니키의 운동과 분열 160
4. 알렉산드르 Ⅲ세의 반동통치와 노동운동의 자라남 166
5. 학문과 예술의 발달 169
제8장_ 러시아혁명가들의 마르크시즘 수용과 러시아사회민주당의 결성 179
1. 플레하노프의 등장과 마르크시스트 조직의 출범 179
2. 1890년대의 러시아와 마르크시즘의 확산 181
3. 레닌의 등장과 러시아사회민주노동당의 결성 184
4. 볼셰비키와 멘셰비키로의 분열 187
5. 비(非)마르크시스트적 혁명정당들과 비판적 지식인들 191
제9장_ 1905년의 혁명으로부터 1917년 2월혁명까지 : 제정러시아의 종말 195
1. 피의 일요일과 소비에트의 출현 196
2. 10월선언의 발표와 그 이후 205
3. 제1차 세계대전 참전과 그 영향 211
4. 러시아사회민주당의 활동 : 레닌을 중심으로 214
5. 2월혁명 218
6. 니콜라이 2세의 퇴위와 제정의 붕괴 220
제10장_ 임시정부의 수립으로부터 10월혁명까지 : 소비에트국가 탄생까지의 과도기 222
1. 임정의 제1기 : 이중권력의 등장 223
2. 레닌의 귀국과 4월테제 227
3. 임정의 제2기 : 연합정부의 시기 229
4. 임정의 제3기 : 케렌스키의 사회주의내각 233
5. 볼셰비키의 쿠데타와 임정의 붕괴 238

Ⅲ. 소비에트러시아의 역사
제11장_레닌정권 시기의 내외상황(1917~1924) 245
1. 3개의 시급한 난제의 해결 246
2. 사회주의국가의 건설 : 전체주의적 독재로의 출발 253
3. 볼셰비키정부의 위기와 그 극복 259
4. 신경제정책의 실시와 당단합결의안의 채택 265
5. 당의 강화와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의 수립 267
6. 3대 외교목표의 추진 270
제12장_ 스탈린정권 시기의 내부상황 : 제2차 세계대전 참전 이전의 시기(1924~1941) 282
1. 제1차 권력투쟁 : 트로츠키의 패배 283
2. 제2차 권력투쟁: 우파의 제거와 스탈린의 승리 289
3. 농업과 공업에서의 새로운 노선 292
4. ‘대숙청’과 당 성격의 변질 : 볼셰비즘 전통의 파괴 300
5. 스탈린헌법의 채택 304
제13장_ 스탈린정권 시기의 외부상황과 제2차 세계대전 참전(1924~1945) 308
1. 서유럽과의 관계수립과 안보의 추구 309
2. 나치의 위협과 소련의 외교(1934~1936) 313
3. 소련 안보체제의 붕괴 및 독일과의 불가침협정 체결(1936~1939) 317
4. 독일과의 동맹체제의 긴장과 붕괴(1939~1941) 322
5. 제2차 세계대전 참전과 내부상황(1941~1945) 326
6. 전시(戰時)의 외교 329
제14장_ 전후 스탈린정권 시기의 내외상황(1945~1953) 339
1. 전쟁의 피해와 복구사업 340
2. 전후의 숙청 345
3. 제19차 당대회 350
4. 스탈린이즘의 분석 : 체제와 이데올로기 353
5. 스탈린의 전후외교 356
제15장_ 흐루쇼프정권 시기의 내부상황(1953~1964) 365
1. 권력투쟁과 흐루쇼프의 승리 365
2. 제20차 당대회와 그 여파 372
3. 흐루쇼프의 권력강화와 흐루쇼프 프로그램의 추진 382
4. 법률적 및 사법적 개혁 390
5. 흐루쇼프의 실각 393
제16장_ 흐루쇼프정권 시기의 외부상황(1953~1964) 398
1. 평화공존 노선의 선언 399
2. 미국 및 서유럽과의 관계개선 402
3. 중국과의 이념분쟁의 악화 410
4. 제3세계에 대한 전진정책 413
5. 우주시대의 개막과 소련 420
제17장_ 브레즈네프정권 시기의 내부상황(1964~1982) 423
1. 집단지도체제의 시기 424
2. 브레즈네프의 우위의 시기 431
3. 브레즈네프 말기의 권력상황 436
4. 소련의 국내외적 어려움 440
5. 소련의 사회와 문화 448
제18장_ 브레즈네프정권 시기의 외부상황(1964~1982) 450
1. 브레즈네프 외교의 제1기 451
2. 브레즈네프외교의 제2기 456
3. 브레즈네프 외교의 제3기 476
제19장_ 두 과도기 정권 시기의 내외상황 : 안드로포프정권과 체르넨코정권(1982~1985) 479
1. 안드로포프정권의 정치적 성격 : 권력의 분산화 및 권력승계의 제도화라는 맥락에서 480
2. 안드로포프정권의 치적 485
3. 체르넨코정권의 등장과 그 의미 492
4. 체르넨코정권의 문제와 치적 496
5. 두 과도기정권이 소련정치의 장래에 준 의미 500
제20장_ 고르바초프정권 시기의 소련의 내부상황(1985~1990) 503
1. 고르바초프의 정치적 성장과정 505
2. 노인정치 시대의 폐막과 새로운 지도층의 등장 513
3. 개혁정치의 시작 519
4. 제27차 소련공산당대회로부터 제19차 소련공산당회의까지(1986-1988) 523
5. 제1차 인민대표회의(1988)로부터 제28차 당대회(1990)까지 535
제21장_ 고르바초프정권 시기의 소련의 외부상황과 소련의 해체(1985~1991) 543
1. 새로운 외교철학과 외교진용 544
2. 미국 및 서유럽과의 관계개선 550
3. 동유럽과의 관계 및 연방 내 소수민족국가들과의 관계 556
4. 아시아·태평양지역에 대한 새로운 접근 562
5. 소련의 해체 571

Ⅳ. 러시아연방의 역사
제22장_ 옐친정권 시기의 러시아의 내부상황(1992~1999) 577
1. 러시아연방의 지리적 인구적 개황 577
2. 옐친의 대통령직 제1기 584
3. 옐친의 대통령직 제2기 592
제23장_ 옐친정권 시기의 러시아의 외부상황(1992~1999) 597
1. 외교정책결정의 기관들 597
2. 서방세계와의 관계 600
3. 독립국가연합과의 관계 604
4. 동아시아와의 관계 607
5. 핵을 가진 제3세계 609
제24장_ 푸틴정권 제 1기의 러시아의 내외상황(2000~2004) 611
1. 푸틴의 정치적 성장과정 611
2. 강력한 러시아의 지향 616
3. 푸틴 대통령의 외교 및 안보 독트린 623
4. 아시아 및 독립국가연합과의 관계 626
5. 서방과의 관계 632
제25장_ 푸틴정권 제2기 러시아의 내외상황(2004~2008) 636
1. 러시아의 정치심리적 분위기와 푸틴의 대통령 재선 636
2. 주권 민주주의의 등장과 권위주의의 강화 638
3. 강대국 러시아를 향한 공세적 외교 642
4. 포스트소비에트 지역 및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645
5. 서방과의 관계 650
제26장_ 메드베데프정권 시기 러시아의 내외상황(2008~2012) 655
1. 메드베데프의 권력승계와 탠덤체제의 등장 655
2. 메드베데프의 자유주의적 행보와 현대화 정책 662
3. 서방과의 관계 : 리셋 외교와 현대화를 위한 동반자 외교 666
4. 포스트소비에트 지역 및 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 672
제27장_ 푸틴정권 제3기의 내외상황과 푸틴 4기의 출범(2012~2018) 680
1. 탠덤체제의 종식과 푸틴의 재등장 680
2. 부분적인 자유화 조치와 시민사회에 대한 강력한 통제 683
3. 강대국 러시아를 향한 외교적 행보: 리셋외교를 접고 서방과 대립하다 685
4. 크림반도의 병합과 러시아 정치·사회의 변화 689
5.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의 대 서방 관계 697
6. 러시아의 포스트소비에트 정책: 유라시아 통합노력의 가속화 704
7. 러시아와 아시아와의 관계 710
8. 푸틴주의와 그 이후: 푸틴 3기의 특징과 푸틴 4기의 전망 724

부 록 733
주요 사건 연표(한국 연표) 734
러시아의 왕조들 743
소비에트사회주의공화국연방 746
러시아연방 748
참고 문헌 749
찾아보기 753

저자소개

김학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43년에 중국 심양(=봉천)에서 태어났다. 단국대학교 이사장, 인천대학교 총장, 동아일보사 사장·회장 등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과학기술원(KAIST) 문화과학대학 김보정(金寶鼎)석좌교수로 「남북한의 정치, 1945-2010: 비교정치학적 관점에서」(1학기) 및 「한국정치사상의 전개: 고조선으로부터 현대까지」(2학기)를 담당하고 있다. 전공분야의 논문들로, 「마르크스의 ‘경제학·철학 원고’ 논쟁」(『문학과 지성』 7:1, 1976년 봄), “The Post-War Reinterpretation of Marx in Soviet and East European Thoughts” (Korean Journal of International Studies, 7:4, 1976), 「트카초프의 정치사상: 그것이 레닌이즘에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서울대학교 사회과학논문집』 5, 1980) 및 「맑스학(學)에서의 사람: 생산하는 사람」(손보기(孫寶基) 외, 『도대체 사람이란 무엇일까』, 뿌리깊은나무, 1980) 등이 있다. 전공분야의 저서들로 『러시아혁명사』(문학과지성사, 초판 1979; 개정증보판 1999), 『마르크시즘의 이해』(정음사, 1984), 『소련 및 동유럽 공산주의자들의 삶과 이상』(동아일보사 출판부, 1997), 『동아시아 공산주의자들의 삶과 꿈』(동아일보사 출판부, 1998) 등이 있다. 최근의 저서들로 『북한의 역사』 전2권(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서양인들이 관찰한 후기 조선』(서강대학교 출판부, 2010), The Domestic Politics of Korean Unification(Seoul and Edison, NJ : Jimoondang, 2010) 등이 있다.
펼치기
장덕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9년 경남 창녕에서 태어났다. 대구신암초등학교, 대구중앙중학교, 계성고등학교를 차례로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1983년에 학사학위, 1985년에 석사학위를 각각 받았다. 1996년 5월에 미국 뉴욕주립대학교(버펄로 소재)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Ideas, Interests, and Collective Learning: The Politics of Reform in the Soviet Union, 1985-1991”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서울대학교 지역종합연구소 특별연구원, 인천대학교 동북아발전연구원 상임연구원 등을 지냈다. 1998년 3월에 국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국제학부 러시아학 전공에 부임해 현재까지 교수로 봉직하면서 교내에서는 대외교류처장과 사회과학대학장 등을, 교외에서는 한국슬라브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러시아의 정치경제, 현대 러시아의 정치 리더십, 러시아 대외정책, 한러관계, 북러관계 등이다. 주요 연구 업적으로는 『푸틴 4.0: 강한 러시아』(한울아카데미, 2019), 『러시아사』(단국대학교출판부, 2018), 『현대 러시아의 해부』(동북아역사재단, 2014), 『중러관계와 한반도』(한울아카데미, 2012), 『자본주의로의 험난한 여정: 사유화를 통해 본 러시아의 체제전환』(한울아카데미, 2008) 등을 포함한 저서 및 공저서와 「탈냉전 시기의 북러관계: 냉각, 해빙, 그리고 우호?협력의 공고화」(2020), 「북한 핵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과 대러 협력방안」(2016), 「러시아의 재부상과 동북아」(2012), “Republic of Korea-Russia Relations in the Context of U.S.-Russia Relations”(2017), “Russia’s Relations with China after the Ukraine Crisis: With a Focus on Their Relationship in Central Asia”(2015)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추천도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