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푸틴 4.0

푸틴 4.0

(강한 러시아)

장덕준, 홍완석, 박지원, 이종문, 이홍섭, 최우익 (지은이), 김선래 (엮은이)
한울(한울아카데미)
1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9,000원 -0% 0원
190원
18,81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푸틴 4.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푸틴 4.0 (강한 러시아)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유럽사 > 러시아사
· ISBN : 9788946066663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9-06-14

책 소개

푸틴 4기가 시작된 이후 러시아가 미래를 위해 어떠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제정치적으로 어떤 위치에 자리하고 있고, 혁신경제와 디지털경제, 제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추진하는 전략과 계획은 무엇인지를 소개한다.

목차

1장 ‘푸틴주의’의 성격과 전망
2장 푸틴 시기의 러시아, 글로벌 강대국 부활의 조건과 과제
3장 러시아 혁신성장 정책의 평가와 과제
4장 러시아 대기업의 광공업 부문 일반 집중도 분석
5장 포스트소비에트 공간과 러시아의 근외 정책
6장 러시아의 공세적 외교정책: 중앙아시아에 대한 러시아의 영향력 확대 원인과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7장 푸틴 3기 국민의식의 변화와 푸틴 4기 전망

저자소개

홍완석 (감수)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노어과를 졸업하고 모스크바 국립 국제관계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학과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대학원에서는 러시아·CIS학과 주임 교수로 러시아 정치, 외교, 안보에 관련된 연구와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주요 저서로는 <러시아 어디로 가는가(2011)> <21세기 한국, 왜 러시아인가?> 등이 있습니다.
펼치기
장덕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9년 경남 창녕에서 태어났다. 대구신암초등학교, 대구중앙중학교, 계성고등학교를 차례로 졸업했다. 서울대학교 정치학과에서 1983년에 학사학위, 1985년에 석사학위를 각각 받았다. 1996년 5월에 미국 뉴욕주립대학교(버펄로 소재) 대학원 정치학과에서 “Ideas, Interests, and Collective Learning: The Politics of Reform in the Soviet Union, 1985-1991”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서울대학교 지역종합연구소 특별연구원, 인천대학교 동북아발전연구원 상임연구원 등을 지냈다. 1998년 3월에 국민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국제학부 러시아학 전공에 부임해 현재까지 교수로 봉직하면서 교내에서는 대외교류처장과 사회과학대학장 등을, 교외에서는 한국슬라브학회 회장 등을 지냈다. 주요 연구 분야는 러시아의 정치경제, 현대 러시아의 정치 리더십, 러시아 대외정책, 한러관계, 북러관계 등이다. 주요 연구 업적으로는 『푸틴 4.0: 강한 러시아』(한울아카데미, 2019), 『러시아사』(단국대학교출판부, 2018), 『현대 러시아의 해부』(동북아역사재단, 2014), 『중러관계와 한반도』(한울아카데미, 2012), 『자본주의로의 험난한 여정: 사유화를 통해 본 러시아의 체제전환』(한울아카데미, 2008) 등을 포함한 저서 및 공저서와 「탈냉전 시기의 북러관계: 냉각, 해빙, 그리고 우호?협력의 공고화」(2020), 「북한 핵문제에 대한 러시아의 입장과 대러 협력방안」(2016), 「러시아의 재부상과 동북아」(2012), “Republic of Korea-Russia Relations in the Context of U.S.-Russia Relations”(2017), “Russia’s Relations with China after the Ukraine Crisis: With a Focus on Their Relationship in Central Asia”(2015) 등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최우익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했고 러시아 모스크바국립대학교 사회학부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HK교수로 재직하며 러시아 사회와 문화를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는 『2019 러시아는 어디로 가는가?』(공저), 『푸틴 4.0: 강한 러시아』(공저), 『러시아의 심장부: 중앙연방관구』(공저), 『유라시아시대 러시아의 국가경쟁력』(공저), 『북방의 등대: 러시아 북서연방관구』(공저), 『북극의 별 네네츠: 툰드라와 순록, 그리고 석유의 땅』 등이 있다.
펼치기
이종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부산외국어대학교 러시아-중앙아시아 학부 교수 모스크바국제관계대학(MGIMO) 경제학 박사 관심 연구영역은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경제. 최근 논문으로는 『러시아 상업은행시스템의 금융중개 기능과 경제성장 기여도 분석』, 『러시아 상업은행시스템의 구조조정과 시장집중도 변화』, 『옐친시대 미시적 체제전환 정책으로서의 가격자유화와 사유화 성과 분석』, 『러시아 주식시장 밸류에이션(Valuation) 분석』 등이 있다. jmlee@bhufs.ac.kr
펼치기
이홍섭 (지은이)    정보 더보기
국방대학교 안보정책학과 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학 박사 관심 영역은 러시아(유라시아) 지역 정치 및 외교, 에너지안보 분야. 주요 논저로는 『러시아의 네트워크체제와 민주주의의 위기』, 『21C 러시아군 개혁의 배경과 방향 : 네트워크 중심전(NCW) 대비』, 『21세기 새로운 위협과 러시아의 전략적 대응』(공저), 『미일중러의 군사전략』(공저) 등이 있다. tom0342@hanmail.net
펼치기
박지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연구위원
펼치기

책속에서

성소수자의 활동을 제약하는 법안이 그중 하나이다. 2013년 6월 30일에 발효된 이 법안의 정식 명칭은 ‘전통적 가족 가치 부정을 옹호하는 행위로부터 어린이들을 보호하기 위한 법률’(일명 ‘게이 선동법’)이다. 이 법은 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성전환자 등 성소수자들의 공개적인 활동을 규제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서방측은 이 법률을 표현의 자유를 억압하는 악법이라고 비판했다. 푸틴은 이런 식으로 러시아 역사와 전통의 수호자로서 이미지를 확보하는 데 성공했고, 이는 자신의 권위주의 통치에서 핵심적 요소로 작용해 왔다.


글로벌 강대국으로의 부상을 방해하는 또 한 요인은 인구학적 기반의 악화, 즉 심각한 인구 감소 위기이다. 1991년 신러시아연방 출범 당시 약 1억 4900만 명이었던 인구가 25년이 지난 2016년에는 1억4220만 명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소련의 해체 이후 매년 44만 명씩 인구가 감소한 것이다. 현재의 추세라면 2050년에는 1억 1100만 명 수준으로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Rosenberg, 2018.3.6). 문제는 인구 급감이 정치·군사적 격변 등에 의한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 출산율 저하에 따른 구조화된 만성적 현상이라는 데 위기의 심각성이 있다. 러시아는 영토 면적이 일본의 45배인데, 인구 규모는 거의 비슷해져 가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나라와 국경선을 접하고 있는 러시아에 인구의 절대 감소 문제는 국가적 재앙이다. 인구 격감이 광활한 국토의 효율적 관리와 운영, 국가안보, 산업생산, 경제성장 등 국가발전 전반에 악영향을 주는바, 이는 재강대국화에 지장을 초래하는 중요한 걸림돌이 아닐 수 없다.


‘국가 기술 이니셔티브 2035’는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된 2014년 12월에 푸틴 대통령이 이와 관련된 계획 수립을 언급하고서, 2015년에 발표한 전략이다. 기존의 다른 혁신전략과는 달리‘국가 기술 이니셔티브 2035’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해 러시아 정부가 육성하고자 하는 미래산업을 목록화한 것이다. 러시아 벤처컴퍼니는 해당 산업에 대해 자원과 행정적 지원을 수행하고 있으며, 정책 총괄 및 위원회 지원은 ‘러시아 전략 이니셔티브청’이 맡아 민간의 자발적 이니셔티브 어젠다 지원, 투자환경 개선과 사회적 기업 및 교육·신기술 분야 육성 등을 지원한다. 2009년 메드베데프 전 대통령에 의해 창설된 ‘스콜코보혁신센터’도 러시아 혁신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한 정부 기관 중 하나다. 러시아정부는 특히 스타트업에 대한 각종 세금 감면을 통해 IT·의료 분야 등의 다양한 스타트업 입주가 활발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