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사 일반
· ISBN : 9788971059234
· 쪽수 : 942쪽
· 출판일 : 2013-08-15
책 소개
목차
서론
1. 한반도 분할론 고찰의 의미
2. 연구범위와 방법
3. 자료의 소개와 활용 - 미국·소련 대외문서를 중심으로
제1부 임진왜란-동북아 삼국전쟁의 시작과 조선 분할안
1장/문제제기
2장/예견된 도요토미히데요시의 조선 침략
3장/1952~1593년 초, 강화회담의 시작과 할지 초기 논의
4장/1593~1596년, 반분선의 대두-일본의 할지 요구와 심유경·고니시의 항복문서 조작
5장/1593~1594년, 명의 종주권 확보 노력과 조선의 강화 반대
6장/1596~1598년, 강화 결렬과 전쟁의 재발
제2부 19세기 말~20세기 초 열강의 한반도 분할 논의
1장/1894년 청·일 간 분할안
2장/19세기 말 러·일 간 분할안
3장/20세기 초 중립지대안-1903년 러시아의 39도선 제안
제3부 38선 획정의 진실
1장/38선 획정에 대한 진실 탐구의 의미
2장/미국의 한반도 점령구성(1944년~1945년 7월 중순)
3장/1945년 7~8월 초순, 미국의 한반도 점령 현실화와 38선 획정
4장/1945년 8월 6~10일, 분할선 획정 직전의 상황-소련 참전과 일본의 항복 제의
5장/1945년 8월 10~14일, 미국의 분할선 확정-소련의 세력권 확산 방지책
6장/'미국의 한반도 분할점령 결정‘ 본질 분석
7장/소련의 한반도 진격과 분할점령 수락 의도
제4부 38선에서 휴전선으로
1장/6·25전쟁의 복합적 배경, 1949~1950년
2장/6·25전쟁의 발발과 공방, 1950년 6월~1951년 7월
3장/38선에서의 교착과 휴전의 성립, 1951년 7월~1953년 7월
결론
1. 16세기 한반도 분할의 실패와 역사적 의미
2. 19세기 말~20세기 초 열강의 한반도 분할 논의의 역사적 의미
3. 38선 분할과 분단에 대한 책임을 누구에게 물을 것인가
4. 휴전체제의 성립과 평과체제 구축의 과제 설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