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기쁨과 희망

기쁨과 희망

(현대 세계의 교회에 관한 사목 헌장)

한스 요아힘 잔더 (지은이), 신정훈 (옮긴이)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기쁨과 희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기쁨과 희망 (현대 세계의 교회에 관한 사목 헌장)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신학
· ISBN : 9788971082959
· 쪽수 : 555쪽
· 출판일 : 2017-12-27

목차

시작하기 전에_9

한국어판 서문ㆍ11
서 문ㆍ17
공의회의 경과ㆍ22
약어표 및 일러두기ㆍ27

/0/ 안내_29

/1/ 도입_39

1.1. ?기쁨과 희망? 안에 드러나는 신앙의 상대성 문제?46
1.2. ?기쁨과 희망?을 준비한 교도권과 신학자들의 선행 토론?51
1.3. 사목적 장소 설정에서 제기된 시민 사회 및 학문사의 문제?75
1.4. 사목 헌장의 본문을 둘러싼 주요 논쟁?84
1.4.1. 공의회의 개막: ?기쁨과 희망?의 시작의 시작?85
1.4.2. 의안 XVII과 메헬런 본문: 심한 기복?91
1.4.3. 시대의 징표 안에 이루어진 장소 설정: 두 번째 출발?96
1.4.4. 3차 회기에 해결된 부록 문제: 배타 기제의 근본적 극복?101
1.4.5. 사목적 장소 설정을 위한 방법론의 탐색?120
1.4.6. 아리치아 이후: 구조와 제목에 대한 해명?131
1.4.7. 독일 주교들과 신학자들의 반대 의견:
사목적 장소 설정이 지니는 사회학적 특성을 둘러싼 논쟁?142
1.4.8. 4차 회기 공의회장에서 이루어진 토론: 고개를 넘다?163
1.4.9. 의안 XIII의 분류: 새로운 교도권 형식의 시작?182
1.5.사목 헌장: 배타성과 결별하고 언표 불가능성을 인정하는 교회?212
1.6. 사목적 장소 설정: ?기쁨과 희망?의 주석 원칙?226

/2/ 주석_233

2.1. 제 목?235
2.2. 머리말(제1-3항)?246
2.3. 서론: 현대 세계의 인간 상황(제4-10항)?254
2.4. 제1부: 교회와 인간의 소명(제11-45항)?270
2.4.1. 제1장: 인간의 존엄(제12-22항)?277
2.4.2. 제2장: 인간 공동체(제23-32항)?300
2.4.3. 제3장: 전 세계의 인간 활동(제33-39항)?314
2.4.4. 제4장: 현대 세계 안의 교회의 임무(제40-45항)?325
2.5. 제2부: 몇 가지 긴급 과제(제46-90항)?338
2.5.1. 제1장: 혼인과 가정의 존엄성에 대한 지원(제47-52항)?346
2.5.2. 제2장: 문화 진보의 올바른 촉진(제53-62항)?363
2.5.3. 제3장: 경제 사회 생활(제63-72항)?378
2.5.4. 제4장: 정치 공동체 생활(제73-76항)?393
2.5.5. 제5장: 평화의 증진과 국제 공동체의 발전(제77-90항)?401
2.6. 맺음말(제91-93항)?429

/3/ 평가_441

3.1.관찰: ?기쁨과 희망?이 지니는 사목적 장소 설정의 장단점?445
3.2.판단:진리의 장소적 특성:?기쁨과 희망? 수용의 취약점?456
3.2.1. 사목적 맥락에서 본 상대화될 수 없는 진리와 상대성?457
3.2.2. 라칭어 추기경 및 신앙교리성,
그리고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수용?462
3.2.3. 독일어권 조직신학이 수용에 있어 보여 준
적극성과 소원성?473
3.2.4. 프랑스어권이?기쁨과 희망?을 습득하면서
보여 준 역논리?488
3.2.5. 이탈리아 및 스페인 계통의 ?기쁨과 희망?에 대한 평가?491
3.2.6. ?기쁨과 희망?에 대한 해방신학의 비판적 수용이
보여 주는 장소 특성?493
3.2.7. ?기쁨과 희망? 제22항에 자리하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교도 직무의 무게 중심?498
3.2.8. 일치 운동의 명시적 내지 익명적 수용 입장?503
3.2.9. 결 과?506
3.3 실천:일원적 공간에서 다원적 공간에로의 신학적 장소 전환?507

참고 문헌ㆍ516
옮긴이의 글ㆍ551

저자소개

한스 요아힘 잔더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신정훈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교구 소속 사제. 1997년 가톨릭대학교를 졸업하고 2001년 오스트리아 인스브루크 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01년 사제품을 받고 2009년 독일 뮌헨 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가톨릭대학교 신학 대학에서 강의했으며 교황청 그리스도인일치촉진부 자문 위원이다. 역서로는 《그리스도교 신앙》(공역), 《안셀름 그륀의 종교란 무엇인가》, 《신학, 하느님과 이성》, 《말씀에 초대합니다》, 《교부들의 그리스도론》(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