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가톨릭 > 가톨릭 신학
· ISBN : 9788971082959
· 쪽수 : 555쪽
· 출판일 : 2017-12-27
목차
시작하기 전에_9
한국어판 서문ㆍ11
서 문ㆍ17
공의회의 경과ㆍ22
약어표 및 일러두기ㆍ27
/0/ 안내_29
/1/ 도입_39
1.1. ?기쁨과 희망? 안에 드러나는 신앙의 상대성 문제?46
1.2. ?기쁨과 희망?을 준비한 교도권과 신학자들의 선행 토론?51
1.3. 사목적 장소 설정에서 제기된 시민 사회 및 학문사의 문제?75
1.4. 사목 헌장의 본문을 둘러싼 주요 논쟁?84
1.4.1. 공의회의 개막: ?기쁨과 희망?의 시작의 시작?85
1.4.2. 의안 XVII과 메헬런 본문: 심한 기복?91
1.4.3. 시대의 징표 안에 이루어진 장소 설정: 두 번째 출발?96
1.4.4. 3차 회기에 해결된 부록 문제: 배타 기제의 근본적 극복?101
1.4.5. 사목적 장소 설정을 위한 방법론의 탐색?120
1.4.6. 아리치아 이후: 구조와 제목에 대한 해명?131
1.4.7. 독일 주교들과 신학자들의 반대 의견:
사목적 장소 설정이 지니는 사회학적 특성을 둘러싼 논쟁?142
1.4.8. 4차 회기 공의회장에서 이루어진 토론: 고개를 넘다?163
1.4.9. 의안 XIII의 분류: 새로운 교도권 형식의 시작?182
1.5.사목 헌장: 배타성과 결별하고 언표 불가능성을 인정하는 교회?212
1.6. 사목적 장소 설정: ?기쁨과 희망?의 주석 원칙?226
/2/ 주석_233
2.1. 제 목?235
2.2. 머리말(제1-3항)?246
2.3. 서론: 현대 세계의 인간 상황(제4-10항)?254
2.4. 제1부: 교회와 인간의 소명(제11-45항)?270
2.4.1. 제1장: 인간의 존엄(제12-22항)?277
2.4.2. 제2장: 인간 공동체(제23-32항)?300
2.4.3. 제3장: 전 세계의 인간 활동(제33-39항)?314
2.4.4. 제4장: 현대 세계 안의 교회의 임무(제40-45항)?325
2.5. 제2부: 몇 가지 긴급 과제(제46-90항)?338
2.5.1. 제1장: 혼인과 가정의 존엄성에 대한 지원(제47-52항)?346
2.5.2. 제2장: 문화 진보의 올바른 촉진(제53-62항)?363
2.5.3. 제3장: 경제 사회 생활(제63-72항)?378
2.5.4. 제4장: 정치 공동체 생활(제73-76항)?393
2.5.5. 제5장: 평화의 증진과 국제 공동체의 발전(제77-90항)?401
2.6. 맺음말(제91-93항)?429
/3/ 평가_441
3.1.관찰: ?기쁨과 희망?이 지니는 사목적 장소 설정의 장단점?445
3.2.판단:진리의 장소적 특성:?기쁨과 희망? 수용의 취약점?456
3.2.1. 사목적 맥락에서 본 상대화될 수 없는 진리와 상대성?457
3.2.2. 라칭어 추기경 및 신앙교리성,
그리고 교황 베네딕토 16세의 수용?462
3.2.3. 독일어권 조직신학이 수용에 있어 보여 준
적극성과 소원성?473
3.2.4. 프랑스어권이?기쁨과 희망?을 습득하면서
보여 준 역논리?488
3.2.5. 이탈리아 및 스페인 계통의 ?기쁨과 희망?에 대한 평가?491
3.2.6. ?기쁨과 희망?에 대한 해방신학의 비판적 수용이
보여 주는 장소 특성?493
3.2.7. ?기쁨과 희망? 제22항에 자리하는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교도 직무의 무게 중심?498
3.2.8. 일치 운동의 명시적 내지 익명적 수용 입장?503
3.2.9. 결 과?506
3.3 실천:일원적 공간에서 다원적 공간에로의 신학적 장소 전환?507
참고 문헌ㆍ516
옮긴이의 글ㆍ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