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율곡 이이 시선

율곡 이이 시선

(개정판)

이이 (지은이), 허경진 (옮긴이)
평민사
1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0,800원 -10% 2,500원
600원
12,7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6개 10,0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율곡 이이 시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율곡 이이 시선 (개정판)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우리나라 옛글 > 시가
· ISBN : 9788971157237
· 쪽수 : 144쪽
· 출판일 : 2020-04-30

책 소개

한국의 한시 26권. 율곡은 우리나라의 주기론을 정립하면서 이후의 기호학풍의 밭을 일군 학자이다. 그가 젊어서 책제에 응하여 지은 <천도책>은 중국의 학자들에게까지 널리 알려져 이름을 떨칠 만큼 탁월한 사상을 전개하고 있었다.

목차

[율곡전서 권1]
화석정에서ㆍ13
우연히 흥이 나다ㆍ14
동문을 나서면서ㆍ15
도중에서ㆍ17
보개산을 바라보며ㆍ19
산 속에서ㆍ20
풍악산에서 작은 암자에 있는 늙은 스님에게ㆍ21
풍악산에서 본 대로 쓰다ㆍ24
송라암ㆍ29
보응 스님과 함께 산에서 내려와ㆍ30
산 속에서 네 수를 읊다ㆍ31
우연히 시를 짓다ㆍ33
등불 아래서 글을 보며ㆍ34
배천 시냇가에서 달빛에 술잔을 기울이며ㆍ35
굽은 길에다 말을 세우고 가야산을 되돌아보며ㆍ36
석천의 시에 차운하다ㆍ37
성산에서 강릉을 향하여 가다ㆍ39
예안을 지나다가 퇴계 이 선생을 뵙고 율시를 바치다ㆍ40
국화 꽃잎을 술잔에 띄우고ㆍ42
강복사의 석불ㆍ43
시를 재촉하는 비ㆍ44
옥계동에 들어갔다가ㆍ45
고산 황기로의 죽음을 슬퍼하며ㆍ46
청송 선생의 은거를 찾아가서ㆍ47
개천으로 돌아가는 토정 이지함을 송별하다ㆍ48
상산동에서ㆍ49
청송 선생을 곡하다ㆍ50
오원역에 쓰다ㆍ51
하수에 이르러 탄식하다ㆍ53
연경 가는 길에서 아우에게 부치다ㆍ55
늙은 스님의 시축에 쓰다ㆍ57
유명 스님이 매우 귀찮게 시를 지어 달라고 하므로 붓 가는 대로 써서 주다ㆍ58
금강연ㆍ59
다시 월정사에서 노닐다ㆍ60
내산에 들어가려다 비를 만나고ㆍ61
산인에게ㆍ62
산인의 시축에 차운하다ㆍ63
다시 풍악산에서 노닐고 내산으로 들어가려다 비를 만나다ㆍ64
산인 설의에게ㆍ65
상산동을 지나가다가 갑자기 옛일이 생각나서 느낀 대로 짓다ㆍ66
어떤 스님이 시를 지어 달라고 하기에 퇴계의 시에 차운하다ㆍ67
심장원에게 주다ㆍ68

[율곡전서 권2]
정철이 약속을 해 놓고도 집에 있지 않아서ㆍ71
구월 보름밤에 달을 보고ㆍ72
퇴계 선생의 죽음을 슬퍼하며ㆍ73
의령감 윤조의 죽음을 슬퍼하며ㆍ74
퇴직을 간청하여 허락받고 임금 은혜에 감동하여ㆍ76
세 번이나 상소한 뒤에 물러나길 허락받고서ㆍ79
황해도 관찰사로 나가면서 안뇌경이 보내온 시에 화답하다ㆍ80
달밤에 옛 친구가 쟁을 켜는 소리를 듣고서ㆍ81
김장생이 석담에 찾아와 글을 배우다가 평양으로 돌아간다기에 시를 지어서 주다ㆍ83
인감 스님이 시를 지어 달라고 하기에ㆍ84
사암 상공께 올리다ㆍ85
유월 가뭄을 걱정하면서ㆍ86
비 온 뒤에 송대립이 보낸 시에 차운하다ㆍ87
허봉이 찾아왔기에 시를 지어주다ㆍ88
배 안에서 남산을 바라보며ㆍ90
눈 속에 소를 타고 성혼을 찾아갔다가ㆍ91
조각배에다 거문고를 실었지만ㆍ92
노랫소리를 들으면서ㆍ93
한데 앉아 달빛에 술을 마시다ㆍ94
소리꾼 벽도가 흥을 돋구어ㆍ95
호연정 술자리에서 운수 스님에게 지어 주다ㆍ96
세상맛이 물보다 싱거우니ㆍ97
스님에게 주다ㆍ98
은병정사의 학도들에게 부치다ㆍ99
큰형수의 죽음을 슬퍼하며ㆍ100
서울을 떠나 해주로 내려가며ㆍ103

[율곡전서 습유 권1]
강릉으로 귀성하는 장윤을 보내면서ㆍ107
청감당에서 중온의 시에 차운하여ㆍ108
아버님의 삼년상을 마치고 형님과 헤어지며ㆍ109
강을 건너는 항량을 보내며ㆍ111
대화 가는 길에서ㆍ115
보산역에 쓰다ㆍ118
국화를 심다ㆍ119
회원관 벽에서 장인의 필적을 보고 서글픈 느낌이 들다ㆍ120
인정과 법은 나란히 하기 어려워ㆍ121
고향으로 가는 길에ㆍ122
눈을 씹으며ㆍ123
스님의 두루마리에 차운하다ㆍ124
경혼에게 주다ㆍ125
최황의 시에 차운하여 헤어지는 마음을 말하다ㆍ126
고향 시골집에서 아우와 헤어지다ㆍ128
승지 정유일을 곡하다ㆍ129
천연스님에게 지어 주다ㆍ130

[부록]
율곡의 생애와 시/윤기홍ㆍ135
연보ㆍ140
原詩題目 찾아보기ㆍ142

저자소개

이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 1536년(중종31년) 1세 : 12월 26일 강릉부 북평촌 외가에서 출생함. 부친은 이원수(李元秀), 모친은 신사임당(申師任堂), 본관은 덕수(德水), 字는 숙헌(叔獻), 號는 율곡(栗谷), 시호는 문성(文成) - 1541년(중종36년) 6세 : 강릉에서 한양으로 올라옴. - 1542년(중종37년) 7세 : 「진복창전(陳復昌傳)」 지음. - 1543년(중종38년) 8세 :파주에 있는 화석정에 올라 「화석정(花石亭)」 시 지음. - 1545년(중종40년) 10세 : 「경포대부(鏡浦臺賦)」 지음. - 1548년(명종3년) 13세 : 진사초시에 장원급제함. - 1551년(명종6년) 16세 : 5월 어머니 신사임당 별세, 「선비행장」을 지음. 파주 두문리에 어머니를 장례하고 3년간 시묘함. - 1554년(명종9년) 19세 : 우계 성혼(1535~1598)과 도의의 교분을 맺음. 3월 어머니 시묘 3년을 마치고 금강산에 들어가 불교를 공부함. - 1555년(명종10년) 20세 : 금강산에서 강릉으로 돌아와 「자경문(自警文)」을 짓고 유학에 전념함. - 1556년(명종11년) 21세 : 봄에 한양으로 돌아와 漢城試에 장원급제함. - 1557년(명종12년) 22세 : 9월 성주목사 노경린(盧慶麟)의 딸 곡산 노씨와 혼인함. - 1558년(명종13년) 23세 : 봄에 경북 예안 도산(陶山)을 방문하여 퇴계 이황을 만남. 겨울에 別試에서 「천도책(天道策)」으로 장원급제함. - 1561년(명종16년) 26세 : 5월 아버지 이원수 별세. - 1564년(명종19년) 29세 : 7월 생원 진사시에 장원급제함. 8월 明經試에 급제하여 호조좌랑으로 첫 벼슬길에 나아감.(모두 9번 장원하여 ‘구도장원공’이라 불림.) - 1565년(명종20년) 30세 : 봄에 예조좌랑에 전임. 8월 요승(妖僧) 보우(普雨)와 권간(權奸) 윤원형(尹元衡)을 단죄하는 상소를 올림. 11월 사간원 정언에 임명되자 사퇴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불허. - 1566년(명종21년) 31세 : 2월 병조좌랑에, 3월 다시 사간원 정언에 임명됨. 겨울에 이조좌랑에 임명됨. - 1568년(선조원년) 33세 : 2월 사헌부 지평에 임명됨. 가을에 서장관으로 명나라에 갔다 돌아와 홍문관 부교리 겸 경연시독관 춘추관기주관에 임명되어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함. 11월에 다시 이조좌랑에 임명되었다가 강릉 외조모 이씨의 병환으로 사직하고 강릉으로 내려감. - 1569년(선조2년) 34세 : 6월 교리에 임명됨. 9월 「동호문답(東湖問答)」을 지어 올림. - 1570년(선조3년) 35세 : 4월 교리에 임명됨. 10월 병으로 사직하고 해주로 감. - 1571년(선조4년) 36세 : 1월 이조좌랑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고, 여름에 교리로 임명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고 해주로 감. 6월 청주목사에 임명됨. - 1572년(선조5년) 37세 : 여름에 부응교에 제수되었으나 병으로 사직하고 파주로 돌아감. 8월에 원접사 종사관, 9월에 사간원 사간, 12월에 홍문관 응교, 홍문관 전한을 제수 받았으나 모두 사퇴함. - 1573년(선조6년) 38세 : 7월 홍문관 직제학에 제수되었으나 3차례 상소를 올린 후 사임하고 8월에 파주로 돌아감. 9월 다시 직제학에 임명되어 사퇴하였으나 허락을 받지 못함. 겨울 통정대부 승정원 동부승지 지제교 겸 경연 참찬관, 춘추관 수찬관으로 임명됨. - 1574년(선조7년) 39세 : 1월 우부승지에 임명되어 「만언봉사(萬言封事)」를 지어 올림. 3월 사간원 대사간에 임명됨. 10월 황해도 관찰사에 임명됨. - 1575년(선조8년) 40세 : 8월 홍문관 부제학으로 임명됨. 9월 『성학집요』를 지어 올림. - 1576년(선조9년) 41세 : 우부승지, 대사간, 이조참의, 전라감사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병으로 나아가지 않음. 10월 해주 석담에 청계당을 지음. - 1577년(선조10년) 42세 : 1월 해주 석담에서 「동거계사」를 지음. 5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12월 『격몽요결』 지음. - 1578년(선조11년) 43세 : 해주 석담에 은병정사를 지음. 3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6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 1579년(선조12년) 44세 : 5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 1580년(선조13년) 45세 : 5월 「기자실기」 지음. 9월 홍문관 부제학에 임명. 12월 대사간에 임명. 1581년(선조14년) 46세 6월 가선대부 사헌부 대사헌으로 임명되어 사직하였으나 불허. 다시 예문관 제학으로 임명되어 사직하였으나 불허. 8월 동지중추부사에 제수됨. 9월 대사간에 임명되었으나 사직 상소를 올림. 10월 호조판서에 제수됨. 11월 『경연일기』 완성 - 1582년(선조15년) 47세 : 1월 이조판서에 제수됨. 7월 선조의 명으로 「인심도심설」, 「김시습전」, 「학교모범」, 「사목(事目)」을 지어 올림. 8월 형조판서에 임명됨. 9월 의정부 우참찬에 임명되고 숭정대부로 특진. 10월 명나라 사신을 영접하는 원접사가 되어 「극기복례설」을 지음. 12월 병조판서로 임명되어 사직하였으나 불허. - 1583년(선조16년) 48세 : 2월 「시무육조」 지어 올림. 3월 경연에서 십만양병을 건의함. 6월 동인의 탄핵을 받고 파주로 돌아갔다가 7월에 석담으로 돌아감. 9월 이조판서에 임명되어 사직하였으나 불허. - 1584년(선조17년) 49세 : 1월 「육조방략」을 최후로 지음. 1월 16일 한양 대사동에서 별세함. 3월 20일 파주 자운산에 안장됨. - 1624년(인조2년) : 문성(文成)의 시호를 받음. - 1681년(숙종7년) : 문묘의 종사를 허락받음.
펼치기
허경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국문과를 졸업하고 「허균 시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목원대학교 국어교육과와 연세대학교 국어국문과 교수로 재직하였고, 지금은 연세대 한국기독교문화연구소 연구원으로 있다. 저서로 『허균평전』(2002, 돌베개), 『한국 고전문학에 나타난 기독교의 편린들』(2019, 동연), 『허난설헌 강의』(2021, 보고사) 등이, 역서로는 ‘한국의 한시’ 총서 40여 권 외에 『삼국유사』(2006, 한길사), 『서유견문』(2004, 서해문집) 등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