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동양사일반
· ISBN : 9788971395561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09-09-15
목차
옮긴이의 말
저자 서문
I 실위 관련 사료 분석
1.『위서』「실위전」과「오락후전」
2.『수서』「실위전」
3.『북사』「실위전」과「오락후전」
4.『통전』의 실위와 오락후
5.『구당서』「실위전」과「오라혼전」
6.『당회요』의 실위와 오락후
7.『태평환우기』의 실위와 오락후
8.『책부원구』의 실위
9.『신당서』「실위전」
II 실위의 기원
1. 실위의 탁발선비 기원설
(1) 탁발선비의 남하와 실위
(2) 실위와 선비의 음역
(3) 실위와 초기 탁발선비의 거주 지역
(4) 실위와 선비의 언어
(5) 실위와 탁발선비의 풍속
(6) 실위의 선비 후예설
2. 실위의 기원에 대한 여러 가지 학설
(1) 숙신설
(2) 정령설
(3) 시위설豕韋說
(4) 독립 자생설
(5) 동호·흉노·말갈 기원설
(6) 동호·물길·투르크족설
(7) 동북아 민족 종합체설
III 실위 부락의 구성과 변천
1. 북조시기의 실위 부락
2. 수나라 때의 5부 실위
3. 당나라 이후의 실위 부락
IV 실위의 지리적 분포
1. 북조 시기의 실위
2. 수나라 때의 실위
3. 당나라 때의 실위
V 실위의 경제와 사회 문화
1. 실위의 경제 상태
(1) 어렵
(2) 목축
(3) 농경
(4) 수공업
2. 실위의 경제 발전과 변화
3. 실위의 사회
4. 실위의 문화와 풍습
(1) 주거
(2) 음식
(3) 복식
(4) 교통
(5) 혼인 풍습
(6) 장례 풍습
VI 실위 사람은 어떤 언어를 썼을까?
1. 실위어와 선비어, 몽골어
2. 실위어와 거란어, 말갈어
3. 실위어에 대한 여러 가지 학설
4. 실위어 음역 연구의 몇 가지 문제
저자 후기
참고 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고대 몽골인들의 삶을 기록한 실위의 역사는 많은 중국 문헌 자료에 반영돼 있다. 이러한 문헌 자료를 통해 실위 역사의 대체적인 윤곽을 복원할 수 있다. 실위사를 연구한 지 100여 년이 되었고 그동안 상당한 성과를 얻은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많은 문제에 대해 의견일치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중요한 원인 가운데 하나는 실위의 기본 사료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으로, 아직까지 가장 기본적인 비교 분석조차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중국 역대 사서들이 실위 부락을 나름대로 기록하고 있지만, 후대 사서는 전대의 기록을 그대로 답습하기도 하고 새로운 사료를 추가하기도 했다. 각 시대의 역사가마다 수집한 내용과 취사선택의 관점, 기술 방식 등이 각각 다른 데다가 기록한 내용조차 역사적 실상과 차이가 있다.
따라서 실위사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반드시 실위의 기본 사료에 대한 전면적인 비교연구가 선행돼야 한다. 연구자들은 실위 관련 사료들의 상호 관련성을 파악하고, 사료들에 대한 철저한 비판과 검증을 통해 실위 역사의 원형에 접근해야 할 것이다.
실위와 오락후烏洛侯를 집중적으로 기술한 기본 사료는 《위서魏書》, 《수서隋書》, 《북사北史》, 《통전通典》, 《구당서舊唐書》, 《당회요唐會要》, 《태평환우기》, 《책부원구冊府元龜》, 《신당서新唐書》 등이다. 필자는 위의 사료들을 비교 분석해 각 사료에 반영된 역사적 배경과 사료의 출처를 밝히고, 사료들의 전후 및 상호관계를 통해 사료의 가치를 평가해 보려고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