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작가론
· ISBN : 9788971551752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0-05-15
책 소개
목차
제Ⅰ장. 한용운 연구에 대한 평가
1. 서론
2. 『韓龍雲全集』의 출간과 문학 방면에서의 연구
3. 전기적 연구
4. 종합적 연구의 필요성
제Ⅱ장. 만해와 간디: 근대와 반현대
1. 서론
2. 종교적 진리 실천으로서의 민족독립운동
3. 근대 문명에 대한 만해의 수용과 간디의 비판
4. 만해의 욕망에 대한 긍정과 간디의 금욕주의
5. 근대적 교육과 정치에 대한 만해의 수용과 간디의 부정
6. 근대와 반현대
제Ⅲ장. 만해와 성철: 근대성과 전근대성 속에서의 긴장과 갈등
1. 서론
2. 근대와 현대
3. 유신(維新)과 회귀(回歸)
4. 욕망과 계율
5. 전통과 미래
6. 정체성과 변화
제Ⅳ장. 한용운 선(禪) 사상의 근대성
1. 서론
2. 불교개혁론과 선불교의 대립적 구도를 넘어서
3. 근대의 정신적 환경 속에서 선을 바라보다
4. 선의 상식화
5. 결론
제Ⅴ장. 만해의 근대성 수용과 ‘님’
1. 서론
2. ‘님’의 초월성과 절대성의 부정
3. 근대 민주주의의 정체(政體)로서의 ‘님’
4. 근대인의 에로스에 대한 열망과 ‘님’
5. 근대인의 자아에 대한 탐구와 ‘님’
6. 결론
제Ⅵ장. 한용운의 한시(漢詩)
1. 서론
2. 일상의 삶-『님의 침묵』과의 비교
3. 선의 이데올로기를 벗어난 선사(禪師)
4. 뿌리를 잃은 근대인의 정서
5. 의지의 표현과 내면의 표현
제Ⅶ장. 한용운의 정치사상
1. 머리말
2. 정치적 활동
3. 종교와 정치
4. 정치적 단위로서의 국가와 민족
5. 자유와 평등
6. 사회주의
7. 결론
제Ⅷ장. 한용운의 승가교육 개혁론
1. 서론
2. 한국불교 승가교육의 전통
3. 한용운의 교육관과 근대적 종교관
4. 한용운의 승가교육 개혁론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