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우리 시대의 윤리

우리 시대의 윤리

강상현, 구승회, 김기태, 김태길, 박효종, 설재훈, 이규호, 진교훈, 최봉영, 최재천, 황상익, 황경식, 장성자, 김용환, 김영진, 황종환, 박용재, 김종인, 조완형, 성태용, 유병열, 김형철 (지은이)
뜨인돌
5,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우리 시대의 윤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우리 시대의 윤리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문제 > 사회문제 일반
· ISBN : 9788986183566
· 쪽수 : 204쪽
· 출판일 : 2001-07-16

책 소개

이 책은 각 분야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22명의 학자와 실무자가 '어떻게 하면 실종된 윤리규범을 다시 확립할 수 있을까'를 주제로 풀어낸 글 모음이다. 정보통신의 발달에 따른 지식정보화시대의 윤리, 유전자 복제시대의 생명윤리, 환경윤리, 성윤리 등에 관한 글들이 실려 있다.

목차

원만한 사회생활을 위한 윤리 / 김태길

다양한 삶의 계획을 자유롭게 실천하는 사회윤리 / 김형철

성윤리의 정착은 성에 대한 논의의 해방이 시작 / 황경식

지식정보화시대의 윤리와 부작용 / 김영진

교사에 대한 신뢰와 교육현장에서의 윤리 / 진교훈

가정에서의 윤리와 언어 / 이규호

자연과 인간의 하나됨, 그리고 더불어 살기 / 황종환

출판문화를 만드는 사람들 / 김기태

성평등시대의 윤리는 남녀 차별의 철폐로 / 장성자

광고윤리는 사회윤리의 한 척도 / 강상현

모든 환자와 국민이 골고루 누리는 의료로 / 황상익

행동에 책임을 지는 연예인이 진정한 스타 / 박용재

살맛나는 덕스러운 사회 / 박효종

신뢰 사회를 위한 길 / 김용환

장애를 장애로 느끼지 않는 사회 / 김종인

본보기가 살아 있는 사회라야 / 최봉영

'인간의' 환경을 생각하는 생태윤리 / 구승회

'죽임의 농업'을 '살림의 농업'으로 / 조완형

사회라는 숲을 가꾸는 사랑의 샘, 가정 / 성태용

지금, 우리의 인격은 어떻습니까? / 유병열

교통예절 지켜야 진정한 선진국 / 설재훈

멋진 신세계를 위한 새로운 생명윤리 / 최재천

저자소개

강상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교수로, 미디어 기술과 사회 변동, 디지털 방송론, 레토릭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아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 한국언론정보학회 회장, 한국방송학회 회장, 디지털방송활성화위원회 실무위원장,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 공동위원장,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장과 커뮤니케이션대학원장,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위원장 등을 역임했다. 책으로는 《정보 통신 혁명과 한국 사회: 뉴 미디어 패러독스》, 《크리스티안 푹스의 초국적 정보자본주의 비판》, 《한국 사회의 디지털 미디어와 문화》(공저), 《모바일 미디어》(공저), 《공영방송의 이해》(공저), 《디지털 방송론》(공저), 《디지털 시대, 미디어의 이해와 활용》(공편), 《시민이 열어가는 지식 정보 사회》(공저), 《지배 권력과 제도 언론》(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구승회 (옮긴이)    정보 더보기
동국대학교와 같은 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다름슈타트대학에서 1993년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동국대학교와 안동대학교 강사,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연구원을 지냈으며, 2005년 현재 동국대학교 윤리문화학과 교수로 있다. 지은책에 <에코필로소피>, <논쟁 - 나치즘의 역사화?>, <아나키.환경.공동체>, <철학의 변형을 향하여>, <생태철학과 환경윤리>, <생명의 위기 - 21세기 생명윤리의 쟁점>, <정보사회와 인간의 조건> 등이 있고, 옮긴책으로 <칸트와 더불어 철학하기>, <트러스트 - 사회도덕과 번영의 창조>, <환경윤리학의 제문제>, 등이 있다.
펼치기
김기태 (엮은이)    정보 더보기
세명대학교 미디어콘텐츠창작학과 교수 초판본 및 창간호 전문서점 겸 출판사 처음책방 대표
펼치기
김태길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0년 충북에서 태어나 2009년(향년 90세) 소천했다. 경성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존스홉킨스대학교에서 윤리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1962년부터 1985년까지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정년퇴임 후 철학문화연구소 소장, KBS 이사장, 학술원 원장을 역임했다. 그는 강단에서 규범 윤리와 메타 윤리를 주로 강의했으며, 계간지 <철학과 현실>을 발행하고, 일반인들을 위한 철학 교양 강좌를 열면서 보통사람들과 함께 삶과 도덕을 이야기하며 성숙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힘썼다. 지은 책으로는 1961년 처녀 수필집 <웃는 갈대>를 비롯해, <빛이 그리운 생각들> <검은 마음 흰 마음>, 장편수필 <흐르지 않는 세월>이 있습니다. 그 밖의 저서로 <한국인과 문학사상>(공저)이 있습니다.
펼치기
박효종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47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가톨릭대학 신학부를 졸업하고 신학석사학위를 취득했다. 그 후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미국 인디애나 대학교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땄다. 현재는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에 재직중이다.『국가와 권위(2001)』라는 책으로 제42회 한국백상출판문화상 저작상을 수상했으며, 대표저서로『민주주의와 권위(2005)』가 있다. 오랫동안 시민단체 활동을 해왔으며, 학교에서는 ‘국가와 시민’이라는 핵심교양강좌를 통해 학생들과 만나왔다.
펼치기
설재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교통공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영국 런던대(Univ. of London)에서 박사후(Post-doc.) 과정을 이수하였다. 1988년 한국교통연구원에 들어가서 교통안전연구실장, 도로교통연구실장, 교통기술연구본부장, 교통안전·도로본부장, 부원장 등을 역임하고 정년퇴임하였으며, 현재까지 30년 이상 교통사고 감소와 교통안전 연구에 전념하였다. 저자는 그 동안 우리나라의 어린이 교통안전 정책과 관련하여 UN ESCAP, UN ITAR, UN ECE 등 국제기구에 초청을 받아서 발표를 하였다. 한국교통연구원에 재임하는 동안 2000년부터 2년간 국무총리실 안전관리개선기획단 전문위원으로 파견 근무하였으며, 동 기간 우리나라의 교통사고 사망자수를 2000년 10,236명에서 2002년 7,222명으로 2년 만에 3천명 이상 감소시키는데 기여한 공로로 정부로부터 국민훈장 목련장을 수상하였다.
펼치기
이규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에서 출생하여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문예창작학과를 졸업했다. 서정주의 추천을 받아 1963년 「현대문학」지로 문단에 등단했다. 첫 시집 『꽃집 식구의 첫 사건』 이후, 『악마집』으로 제2회 시문학상을 수상했다. 그 후 출판계, 언론계 등에서 문단 활동을 하며 많은 저서를 남겼다. 저서로는 세계명시감상집 『그 고독의 밀어』, 『그 지혜의 낟알』, 장편소설 『바람꽃』, 『불꽃가시』, 에세이 『풍요로운 삶의 길』, 『에세이로 읽는 손자병법』, 『에세이로 읽는 법구경』, 『에세이로 읽는 채근담』 등이 있다. 한국문인협회, 국제펜클럽 회원을 지냈다.
펼치기
진교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비엔나 대학에서 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현재 서울대 국민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환경 윤리> <기술 문명에 대한 철학적 반성>, <철학 사상의 한국적 조명>(공저), <철학과 인간학 연구>, <서양 철학의 수용과 전개>, <현대 사회와 종교> 등이 있고, 그 외 다수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최봉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50년 가까이 언어, 철학, 역사, 윤리, 미학, 교육, 정치 등을 묻고 따져서 개념을 다듬고 이론을 만드는 일을 해왔다. 여러 분야의 학자들과 함께하면서 신선한 즐거움을 안겨주기도 했고, 고약한 괴로움을 안겨주기도 했다. 요즘에는 (사)한국인문학연구회를 이끌면서 자아와 욕망, 자본과 기술, 생태와 환경에 관심을 집중하여 인류가 마주하고 있는 문명의 위기를 헤쳐나갈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고자 한다. 지은 책으로는 『한국말 말차림법』(2023), 『한국사람에게 ○○은 무엇인가』(2024)를 비롯해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Ⅰ)·(Ⅱ)』, 『조선시대 유교문화』, 『한국문화의 성격』, 『주체와 욕망』, 『본과 보기 문화이론』, 『한국사회의 차별과 억압』, 『한국인에게 나는 누구인가』, 『영조와 사도세자 이야기』 등이 있다.
펼치기
최재천 (옮긴이)    정보 더보기
평생 인간과 자연을 관찰해온 생태학자이자 동물행동학자. 서울대학교에서 동물학을 전공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주립대학교에서 생태학 석사학위를, 하버드대학교에서 생물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0여 년간 중남미 열대를 누비며 동물의 생태를 탐구한 뒤, 한국으로 돌아와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경계를 넘나들며 생명에 대한 지식과 사랑을 널리 나누고 실천해왔다.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교수, 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한국생태학회장, 국립생태원 초대원장 등을 지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에코과학부 석좌교수로 재직 중이며 생명다양성재단 이사장을 맡고 있다. 《양심》 《숙론》 《최재천의 곤충사회》 《다윈의 사도들》 《다윈 지능》 《생명이 있는 것은 다 아름답다》 《생태적 전환, 슬기로운 지구 생활을 위하여》 《과학자의 서재》 《통섭의 식탁》 《열대예찬》 《개미제국의 발견》 등을 썼다. 1989년 미국곤충학회 젊은과학자상, 2000년 대한민국과학문화상을 수상했다. 2019년 세계 동물행동학자 500여 명을 이끌고 총괄편집장으로서 《동물행동학 백과사전》을 편찬했다. 유튜브 채널 〈최재천의 아마존〉을 개설해 인간과 자연 생태계에 대한 폭넓은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펼치기
황상익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명예교수 대한민국 의학한림원 종신회원 [ 약력 ] 1952년 경상남도 진해 출생 1977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졸업 1982년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졸업(의학박사, 생리학) 1985~1994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전임강사, 조교수(생리학) 1994~2016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교수(의사학/인문의학) 2015~2020년 연변대학교 객좌교수 2017~2019년 성신여자대학교(성신학원) 이사장(교육부 파견) ▃ 1999~2002년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총무이사 2003~2005년 한국과학사학회 회장 2004~2006년 한국생명윤리학회 회장 2006~2009년 대한의사학회 회장 2012~2016년 국제고려학회 부회장 겸 서울지회 회장 2000~2001년 과학기술부 생명윤리자문위원회 위원 겸 운영위원장 2003~2004년 대통령 소속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위원 2005~2008년 대통령 소속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 위원 1996~2000년 5·18 완전 해결과 정의 실현, 희망을 위한 과거청산국민위원회집행위원장 2001~2005년 전국교수노동조합 제1대, 제2대 위원장 [ 대표 저서 ] 『김익남과 그의 시대』(2018) 『한 학도의 배움길』(2017) 『역사가 의학을 만났을 때』(2015, 세종도서) 『콜럼버스의 교환: 문명이 만든 질병, 질병이 만든 문명』(2014, 세종도서) 『근대의료의 풍경』(2013,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인물로 보는 의학의 역사』(2004,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첨단의학시대에는 역사시계가 멈추는가』(1999) [ 대표 역서 ] 『문명과 질병』(2008, 학술원 우수학술도서) 『생명이란 무엇인가?』(1992) 『핵전쟁과 인류』(1987) [ 대표 논문 ] 「보건의료를 통해 본 일제 강점기: 식민지 근대화론의 허와 실」, 국제고려학, 13호(2014) 「의학사적 측면에서 본 ‘4·3’」, 『제주 4·3 연구』(역사비평사, 1999) 「근대이전 서양의학의 질병관과 극복과정」, 한국과학사학회지, 17권 1호(1995) 「20세기 초 미국 의학교육의 개혁과 ‘플렉스너 보고서’」, 의사학, 3권 1호(1994)
펼치기
황경식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석·박사 과정 수료(철학박사), 미국 하버드대 객원연구원 역임, 동국대 및 서울대 철학과 교수 역임, 現 서울대 명예교수. 한국윤리학회, 철학연구회, 한국철학회 회장, 석문복지재단 이사장 역임, 국가생명윤리 심의위원 위촉, 現 명경의료재단 꽃마을한방병원 이사장. 쓴 책으로는 『사회정의의 철학적 기초』, 『이론과 실천―도덕 철학적 탐구』, 『철학과 현실의 접점』, 『덕윤리의 현대적 의의』, 『존 롤스의 정의론』, 『열 살까지는 공부보다 아이의 생각에 집중하라』, 『내 아이를 위한 인성수업』이 있다.
펼치기
장성자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44년 5월 1일 서울 출생 학력 경기여고,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미국 Univ. of Washington 대학원 졸업(매스컴 전공) 경력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수석연구원 정무장관(제2)실 조정관 제15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전문위원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 정책조정관 여성부 초대 정책실장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초대 원장 가천대학교, 남서울대학교 초빙교수 역임 출간 시집 『그해의 봄』
펼치기
김용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능혜(能慧) 김용환(金容煥) 조지워싱턴대학 연구교수 서울대 철학박사(1989) 충북대 윤리교육과 교수역임(1987-2020) 한국 윤리교육학회장(2011-2012) 충북대 기획연구실장(1997-1998) 파리 소르본대 연구교수(1993-1994)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대학 연구교수(1998-1999) 미국 조지메이슨대학 연구교수(2013-2014) 미국 조지워싱턴대학 연구교수(2023-2024) 『만다라-깨달음의 영성세계』 , 열화당, 1991 『유교와 종교학』 (공저), 서울대출판부, 2009 『탈현대사회의 가치와 생태윤리』 , 충북대학교 출판부, 2009 『세계윤리교육』 , 충북대학교 출판부, 2010 『도덕적 상상력과 동학의 공공행복』 모시는 사람들, 2012 『장수시대 장수윤리』 모시는 사람들, 충북대학교 출판부, 2019 『사랑하며 웃으며』 , 현대시학사, 2021 『행복하며 깨치며』 , 현대시학사, 2022
펼치기
황종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남대학교 명예교수(철학 상담)다. 독일 뮌헨대학교(LMU)에서 철학박사(Okologische Gerechtigkeit. Eine interkulturelle Begrundung, 생태적 정의. 상호문화적 근거화)를, 서울대학교에서 교육학박사(생태 윤리의 근거 정립을 위한 자연관 연구)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 철학과와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현)를 졸업했다.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철학과 교환교수, 세인트 올라프(St. Olaf)대학, 홍 키에르케고어 도서관(The Hong Kierkegaard Library) 방문교수, 한국 키에르케고어 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한국연구재단 지원 저서 『키에르케고어와 도덕교육』, 『키에르케고어의 ‘나’를 찾는 도덕 발달』, 논문 “번영하는 삶을 위한 불안과 절망의 극복” 등 40편이 있다. 실존 사상가 키에르케고어에서 ‘나’의 형성과 노벨 경제학상 수상자 펠프스 교수의 경제적 번영을 중심으로 번영하는 삶을 연구한다.
펼치기
박용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스포츠조선 문화부장
펼치기
김종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국어국문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동양철학과 대학원 석사 Stony Brook University 박사 (영문학) 2020년 현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객원교수 International Lay Buddhist Forum 창립 조계종 국제교류위원 역임 논저 『한국의 대학과 지식인은 왜 몰락하는가』 『날카로운 첫 키스의 추억: 만해 한용운 『님의 침묵』 평설』 『Philosophical Contexts for Wonhyo's Interpretation of Buddhism』 『Buddhism in East Asia』(공저) 등 이외 30여 편의 논문이 있음
펼치기
조완형 (감수)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대학원에서 식품유통경제를 공부하고 1991년부터 한살림에서 일하고 있는 유기농?생협 전문가이자 활동가이다. 현재 한살림연합의 전무이사이다. 한살림 외에도 그는 한국유기농업학회, 한국협동조합학회, 한국식생활교육학회, 식생활교육국민네트워크, 슬로푸드문화원 등에서 먹을거리와 관련된 폭넓은 연구· 실천 활동을 벌이는 중이다. 저서 《흙을 살리는 길》(흙살림, 공저)이 있고, 친환경유기농식품·협동조합·식생활교육 관련 다수의 논문과 글들을 썼다.
펼치기
성태용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 건국대 철학과 교수로 건국대학교 문과대 학장과 한국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학부를 마친 뒤 한국고등교육재단 한학자 양성 장학생으로 선발되어 청명 임창순 선생에게서 5년간 한학을 연수했다. 2000년에는 한국교육방송(EBS)에서 ‘성태용의 주역과 21세기’라는 제목으로 48회의 강의를 했고, 2007년에는 오늘날 한국연구재단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학술진흥재단에서 인문학 단장을 맡아 인문학 진흥사업에 초석을 놓았다. 2006년부터 2012년까지는 ‘우리는 선우’의 대표로서 재가불자운동을 펼쳤다. 현재는 청명 임창순 선생이 설립한 청명문화재단의 이사장과 (사)한국단학회 연정원의 이사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지금, 여기에서 깨닫는 유마경 강의』, 『더 나은 오늘을 위한 불교 강의』, 『어른의 서유기』, 『주역과 21세기』, 『오늘에 풀어보는 동양사상』(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유병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민윤리교육과를 졸업하였고(교육학 박사), 서울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있다. 지은책으로는 <도덕교육론> <사회윤리이론과 도덕교육> <윤리학과 덕교육> 등이 있다.
펼치기
김형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했고 미국 볼링그린주립대학교에서 석사 학위를, 시카고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KMA경영자교육위원회 위원장, 한국철학회 사무총장, 사회윤리학회 회장, 소크라테스 클럽 리딩멘토, 세계철학자대회 상임위원, 한국철학회 부회장, 연세대국제캠퍼스 교육원장, 연세대 리더십센터 소장, 연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다. 연세대학교 ‘Best Teacher’로 선정되었고 한국학술진흥원 선정 ‘대한민국 최우수 인문학 강의 교수상’을 수상했으며, ‘SERI CEO 최우수 강사’, 전국 기업연수원장이 선정한 ‘국내 강의 실력 베스트 7’에 들어갈 만큼 명강사로 유명하다. ‘철학의 힘’, ‘좋은 리더가 되기 위한 최고의 선택’, ‘초일류기업 CEO의 7가지 자격’, ‘철학에서 배우는 소통 리더십’, ‘윤리경영 리더십’, ‘변화와 혁신의 철학’, ‘CEO의 경영 철학’, ‘리더십 딜레마 클리닉’, ‘인문학적 상상력과 창조경영 지혜’, ‘이솝경영철학’ 등을 주제로 삼성, LG, SK, POSCO, GS 등의 대기업과 주요 공공 기관에서 자문과 강연 활동을 활발히 펼치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 사회가 경험하고 있는 많은 어려움은 신뢰가 붕괴하면서 윤리가 실종된 데에 원인이 있다. 이처럼 신뢰가 붕괴된 사회에서 실종된 윤리를 바로세우려면 한사람 한사람이 자기 반성을 해야만 한다. 그러나 말로만 이루어지는 반성은 신뢰의 회복은커녕 오히려 위선만을 확산시킬 뿐이다. 진정한 반성은 다양한 삶의 계획을 갖고 있는 우리들이 서로 조화롭게 살아갈 수 있도록 만들어준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