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근대 한국인의 만주 인식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88972185772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8-04-30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88972185772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8-04-30
책 소개
17세기 청조의 등장 무렵부터 20세기 ‘만주국’의 시기에 이르기까지 한국인이 만주에 대해 보여주었던 담론을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목차
제1장 ‘병자호란’ 이후 만주 고토의식의 전개
‘만주(滿洲)’ 명칭의 탄생
‘만주족=오랑캐[夷狄]’ 의식의 등장
‘만주=고토(故土)’ 의식의 출현
만주 고토 회복 의식의 생성
만주 이주와 간도 영토 문제
제2장 대한제국기 간도영토론과 만주 표상
만주의 정세와 이주 상황
한국인의 영토의식을 각성시키는 간도
단군의 강역으로 등장하는 만주
이주지와 상품 시장으로서의 만주
제3장 1910년대 만주 이주와 만주식민지론
망국 조선인의 만주 이주
조선인 빈농의 만주 유랑
《매일신보》 등의 만주 이주 장려론
장지연 등의 만주식민지론
제4장 1910~1920년대 ‘만주=단군강역’ 담론
‘백두산=단군발상지’론
‘평양(단군 도읍지)=만주’론
‘만주=단군강역’론
‘만주족=단군후예’론
‘만주=기자강역’설과 소중화사상의 부정
제5장 1920년대 후반 재만조선인문제의 담론화
조선인 ‘무산자’의 만주 이주
재만조선인문제의 발생
재만조선인문제의 원인론
재만조선인문제의 해결 방안론
제6장 ‘만주사변’ 이후 재만조선인문제 인식의 분화
‘만주사변’ 전후 재만조선인문제
‘만주국’ 성립과 재만조선인문제
‘만주국’ 재만조선인 정책에 대한 비판
‘만주국’에 대한 협력적 인식
결론
후기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