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 일반
· ISBN : 9788972286561
· 쪽수 : 112쪽
· 출판일 : 2019-06-28
목차
서론
공동합의성의 중요한 때(Kair?s)
시노드, 공의회, 공동합의성
친교, 공동합의성, 단체성
제2차 바티칸공의회를 뒤따르는 데에서 새로움의 시작
문헌의 목적과 구성
제1장 성경과 성전, 그리고 역사 안에서 공동합의성
1.1. 성경의 가르침
1.2. 제일천년기 교부들과 성전의 증언
1.3. 제이천년기 공동합의적 실천의 발전
제2장 공동합의성의 신학을 향하여
2.1. 공동합의성의 신학적 기초
2.2. 순례하며 선교하는 하느님 백성의 공동합의 여정
2.3. 친교의 교회론의 표현인 공동합의성
2.4. 보편적 친교의 역동성 안에 있는 공동합의성
2.5. 사도적 친교의 전승(traditio) 안의 공동합의성
2.6. 교회의 합의체적 삶 안에서 참여와 권위
제 3장 공동합의성의 실현: 공동합의적 사건들의 주체, 구조, 절차
3.1. 하느님 백성의 공동합의적 소명
3.2. 개별 교회 안의 공동합의성
3.2.1. 교구 시노드와 동방 교회의 교구 회의
3.2.2.개별 교회 안에서 공동합의적 삶에 봉사하는 다른 구조들
3.2.3. 본당 생활 안에서 공동합의성
3.3. 지역 내 개별 교회들 사이의 공동합의성
3.3.1. 개별 공의회
3.3.2. 주교회의
3.3.3. 동방 가톨릭 교회들의 총대주교들
3.3.4. 주교회의와 동방 교회 총대주교구들의 지역 평의회
3.4. 보편 교회 안의 공동합의성
3.4.1. 보편 공의회
3.4.2. 세계주교대의원회의(주교 시노드)
3.4.3. 수위권의 공동합의적 행사를 위한 구조들
제4장 쇄신된 공동합의성을 향한 회심
4.1. 교회의 삶과 사명의 공동합의적 쇄신을 위하여
4.2. 친교의 영성과 공동합의적 삶의 양성
4.3. 공동체적 식별을 위한 경청과 대화
4.4. 공동합의성과 교회 일치의 여정
4.5. 공동합의성과 사회적 봉사
결론
성령의 담대함(parrhesia) 안에서 함께 걸어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