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어문학계열 > 국어국문학 > 국문학사/국문학개론
· ISBN : 9788972733911
· 쪽수 : 350쪽
· 출판일 : 2023-11-17
책 소개
목차
책머리에
1장 서론: 식민지 교양소설이란 무엇인가
1. 식민지와 교양소설
2. 한국 근대소설의 공간지평
3. 교양소설과 세 층위의 공간: 행위지대, 투사공간, 이동경로
4. 성장하는 인물과 모델소설
2장 식민지 지식인의 공간지향과 세계인식
1. 과거와의 결별과 문명화된 중심으로의 지향: 『무정』
2. 삼일운동의 파국과 성장하지 않는 인물들: 『재생』
3. ‘문명/야만’과 ‘제국/식민지’의 중층 대립: 『흙』
4. 서사공간의 확장과 제국의 네트워크: 『유정』
5. 동결된 시간과 공간적 지향: 『사랑』
3장 제국-식민지의 역학과 성장의 조건
1. 세계와의 불화와 정치적 각성: 『사상의 월야』
2. 은폐된 제휴관계와 원죄의식: 『제2의 운명』
3. 제국의 외부에서 사유하기: 『불멸의 함성』
4장 제국을 경유하는 세계와 피식민지인의 욕망
1. ‘비행기’ 시대와 제국-식민지의 낙차: 『청춘항로』
2. 제국을 경유하는 세계와 피식민지인의 꿈: 『불연속선』
3. 제국의 아카데미와 식민지 지식인의 초상: 『화상보』
5장 정치적 신념의 변화와 새로운 방향 모색
1. 제국에의 투항과 방향전환: 『청춘기』
2. 전쟁의 소용돌이와 대체 역사의 상상력: 「T일보사」
3. 지체된 근대와 성장하지 않는 청춘: 「마권」
4. 사회주의 신념에 대한 환멸: 「구구」
5. 제국-식민지의 알레고리와 암호화된 텍스트: 「부호」
6장 결론: 식민지 교양소설의 문학사적 의의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