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문화/역사기행 > 한국 문화/역사기행
· ISBN : 9788972773085
· 쪽수 : 464쪽
· 출판일 : 2014-11-30
책 소개
목차
1장 묵묵히 역사의 현장을 지켜보다
서울·인천·경기 지역의 봉수-17기
서울 목멱산봉수 / 서울 무악동봉수 / 서울 아차산봉수 / 인천 백운산봉수 / 인천 축곶산봉수 / 강화 화개산봉수 / 강화 망산봉수 / 강화 하음산봉수 / 강화 어류정요망대 / 수원 화성봉돈 / 성남 천림산봉수 / 성남 인릉산봉수 / 화성 염불산봉수 / 화성 흥천산봉수 / 평택 괴태곶봉수 / 고양 독산봉수 / 포천 독산봉수
2장 일출의 장관과 굽이치는 산세의 절경을 맛보다
강원·대구·경북 지역의 봉수-18기
삼척 가곡산봉수 / 동해 어달산봉수 / 정선고성산봉수 / 속초 권금성봉수 / 대구 법이산봉수 / 울진표산봉수 / 영덕 대소산봉수 / 영덕 광산봉수 / 영덕별반산봉수 / 문경 탄항봉수 / 안동신석리봉수 / 의성 영니산봉수 / 경주 하서지봉수 / 포항뇌성봉수 / 성주 각산봉수 / 고령의봉산봉수 / 청도 남산봉수 / 봉화용점산봉수
3장 고갯마루에 올라 황금 들판을 바라보다
충북 내륙 지역의 봉수-11기
충주 주정산봉수 / 충주 마골재봉수 / 충주 심항산봉수 / 충주 대림산봉수 / 청주 것대산봉수 / 제천 오현봉수 / 단양 소이산봉수 / 단양 공문산봉수 / 단양 용부원봉수 / 단양 의풍봉수 / 옥천 고리산봉수
4장 서해안의 낙조를 바라보며 상념을 떨쳐내다
충남·전북 지역의 봉수-10기
아산 연암산봉수 / 아산 도고산봉수 / 당진 안국산봉수 / 당진 창택산봉수 / 서산 도비산봉수 / 공주 쌍령산봉수 / 보령 외연도봉수 / 진안 태평봉수 / 부안 계화리봉수 / 부안 월고리봉수
5장 청량한 숲길을 걸으며 전설을 떠올리다
부산·울산 지역의 봉수-12기
부산 황령산봉수 / 부산 석성봉수 / 부산 기장 남산봉수 / 부산 아이봉수 / 부산 천성보봉수 / 부산 성화예산봉수 / 부산 응봉봉수 / 울산 소산봉수 / 울산 이길봉수 / 울산 부로산봉수 / 울산 남목봉수 / 울산 유포봉수
6장 그림 같은 남해안의 풍광과 충무공의 충정을 가슴에 품다
경남 해안과 도서 지역의 봉수-21기
거제 강망산봉수 / 거제 지세포봉수 / 거제 와현봉수 / 통영 미륵산봉수 / 통영 우산봉수 / 통영 주봉봉수 / 통영 별망산봉수 / 양산 위천봉수 / 밀양 남산봉수 / 밀양 추화산봉수 / 김해 분산성봉수 / 마산 가을포봉수 / 고성 좌이산봉수 / 남해 금산봉수 / 남해 대방산봉수 / 남해 설흘산봉수 / 남해 원산봉수 / 남해 망운산봉수 / 사천 각산봉수 / 하동 금오산봉수 / 함안 파산봉수
7장 사각거리는 억새풀 밟으며 천혜의 비경을 내려다보다
전남 해안과 도서 지역의 봉수-26기
진도 첨찰산봉수 / 진도 상당곶봉수 / 진도 금갑리연대 / 해남 관두산봉수 / 해남 달마산봉수 / 완도 삼문산봉수 / 완도 여서도요망대 / 장흥 천관산봉수 / 장흥 억불산봉수 / 강진 원포봉수 / 고흥 사화랑봉수 / 고흥 장기산봉수 / 고흥 가내포봉수 / 고흥 천등산봉수 / 고흥 유주산봉수 / 고흥 봉래산봉수 / 고흥 마북산봉수 / 여수 백야곶봉수 / 여수 안도 상산봉수 / 여수 남면 망산봉수 / 여수 돌산봉수 / 여수 북봉연대 / 여수 만흥동 봉화산봉수 / 여수 묘도 봉화산봉수 / 순천 성황당봉수 / 신안 상라산봉수
8장 고색창연한 올레길 걸으며 잃어버린 나를 찾다
제주도의 연대들-25기
제주 종달연대 / 제주좌가연대 / 제주 왜포연대 / 제주조천연대 / 제주 별도연대 / 제주수근연대 / 제주 조부연대 / 제주남두연대 / 제주 애월연대 / 제주귀덕연대 / 제주 우지연대 / 제주배령연대 / 제주 두모연대 / 제주사라봉수 / 서귀포 서림연대 / 서귀포 산방연대 / 서귀포당포연대 / 서귀포 대포연대 / 서귀포 연동연대 / 서귀포벌포연대 / 서귀포 소마로연대 / 서귀포 천미연대 / 서귀포말등포연대 / 서귀포 협자연대 / 서귀포 오소포연대
9장 잡목 속에서 잊혀진, 그러나 여전히 빛나는 그 외의 봉수-70기
경기 - 강화 진강산봉수 / 김포 수안산봉수 / 화성 해운산봉수 / 화성 서봉산봉수 / 화성 건달산봉수 / 포천 잉입점봉수 / 포천 할미산봉수 / 포천 미로곡봉수 / 남양주 대이산봉수 / 파주 도라산봉수 / 안성 전재봉봉수 / 여주 봉우재봉수
강원 - 고성 술산봉수 / 고성 삼포리봉수 / 삼척 광진산봉수 / 삼척 임원산봉수 / 강릉 월대산봉수
충북 - 충주 마산봉수 / 청원 소이산봉수 / 봉수 단양 죽령봉수 / 단양 임원봉수 / 음성 가섭산봉수 / 영동 박달라산봉수 / 음성 망이산봉수
충남 - 공주 월성산봉수 / 공주 고등산봉수 / 서산 삼길산봉수 / 태안 백화산봉수 / 보령 조침산봉수 / 보령 옥미봉봉수 / 보령 녹도봉수 / 논산 황화산봉수 / 논산 강경대봉수 / 논산 노성산봉수 / 서천 운은산봉수
경북 - 울진 죽변곶봉수 / 울진 사동산봉수 / 예천 비룡산봉수 / 포항 오봉봉수 / 포항 대곶봉수 / 포항 도이산봉수 / 의성 마산봉수
경남 - 청도 송읍리봉수 / 부산 구봉산봉수 / 부산 간비오봉수 / 부산 계명산봉수 / 부산 임량포봉수 / 울산 하산봉수 / 울산 가리봉수 / 울산 천내봉수 / 마산 성황당봉수 / 거제 능포봉수 / 거제 옥녀봉봉수 / 고성 천왕점봉수 / 고성 곡산봉수 / 사천 안점산봉수 / 사천 우산봉수 / 진주 망진봉수 / 진주 광제봉수 / 함안 안곡산봉수 / 망산도비문
전남 - 해남 갈두산봉수 / 완도 상황봉봉수 / 완도 서망산봉수 / 완도 동망산봉수 / 완도 남망산봉수 / 고흥 망산봉수 / 고흥 소포봉수 / 여수 월암산성봉수 / 신안 대봉산봉수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봉화는 꼭 위험을 경고하는 것만은 아니다. 평상시 조선 전역을 통해 만사가 평화롭다는 신호로도 사용된다. 각 지방에서 올라오는 전갈들을 서울 장안에 알리기 위해 약 15분 정도 타오르다가 다시 어둠 속으로 사라져간다. 남산봉수는 전국 방방곡곡에 뻗쳐 있는 봉화들의 집결지로서 소위 횃불 전신술의 마지막 지점이다.
강화는 섬 전체가 항전의 요새다. 성곽 13개소, 진과 보가 12개소, 돈대 54개소, 봉수와 요망대는 15개소나 된다. 지금까지 확인된 관방유적만 94개소이며, 앞으로 얼마가 더 나올지 알 수가 없다. 국내에서가장 많은 유적이 강화도에만 집중 쌓인 것은 밀물과 썰물의 차가 심한 서해안에서 큰 배가 다닐 수 있는 곳이 강화가 유일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한강이 강화에 접해 있어 삼국시대부터 군사들의 이동수단으로는 요충지에 해당되었다.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수원화성에는 우리나라 봉수 중 독특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봉수가 있다. 우선 위치로 볼 때 대부분의 봉수가 산봉우리에 있는데 비해 화성봉돈은 평지에 축조되어 있다. 이름도 봉수가 아닌 봉돈으로 부른다. 이는 유사시에 봉홧불만 피우는 것이 아니라 돈대 기능도 겸했기 때문이다. 돈대는 성벽에 구멍을 내 대포를 쏠 수 있는 구조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