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근대개화기
· ISBN : 9788972782780
· 쪽수 : 302쪽
· 출판일 : 2009-10-26
책 소개
목차
머리말
연구 경과
1. 개항 이전 서양인들의 도래
하멜의 표류 || 하멜의 표류기 출판 | 하멜의 조선 생활
영국인들의 탐사 || 바실 홀의 서해안 탐사 | 영국 군함 사마랑호의 남해안 탐사
오페르트의 만행 || 서해안 탐사와 통상 강요 | 조선 사람들 | 조선의 생활상 | 조선의 풍광
2. 서양인들의 무력 침략
병인양요 || 프랑스군의 정찰 | 조선군과 프랑스군의 전투
신미양요 || 조선을 침입한 미국 해군 | 강화 전투 | 조선인 포로 송환
3. 개항-통상조약의 체결
조일수호통상조규 || 운요호 사건 | 조일수호통상조규(1876) 체결 | 수신사 파견
조미수호통상조규 || 통상수호를 위한 노력 | 조약 체결(1882) | 보빙사 파견
조러수호통상조규 || 수호통상조규 체결(1884)과 공사관 설치 | 베베르의 외교와 손탁호텔
다른 나라들과의 조약 체결 || 조영수호통상조규(1883) |조독수호통상조규(1884) | 조불수호통상조규(1886)
4. 열강의 각축
임오군란 || 별기군(別技軍) | 군란과 대원군
영국군의 거문도 점령 || 점령 과정 | 거문도를 점거한 영국 군함 | 거문도에 주둔한 영국군과 병영 | 영국군이 본 거문도 사람들과 생활 | 거문도 풍광 | 기타 삽화들
동학과 농민전쟁 || 동학(東學) | 농민전쟁
5. 청일전쟁
일본군의 조선 침략 || 일본군의 인천 상륙과 조선 주둔 | 일본군의 궁궐 점령
청군과 일본군의 전투 || 아산만 전투 | 평양 전투 | 압록강 전투와 여순(旅順)전투 | 황해 해전 | 시모노세키 강화조약
청군과 일본군의 이모저모 || 청군의 모습 | 일본군의 모습
6. 러일전쟁
러일전쟁과 조선 || 러일전쟁 중 조선인들 | 조선에 있던 러시아인 | 조선에 있던 일본인
러일 양군의 전투 || 제물포 해전 | 여순 해전 | 만주 전투 | 쓰시마 해전
러일 양군의 이모저모 || 일본군의 모습 | 조선을 지나가는 일본군 |일본군 지원부대 | 러시아군의 모습
러일전쟁 풍자화
논고
1. 한국을 찾은 서양인 1. 미국 ? 영국인(서승현) 2. 독일인(김영태) 3. 프랑스인(박평종) 4. 서양인과 한국의 만남(김영태)
2. 한국 관련 사진의 유통과 한국 이미지의 생산(박평종) 1.한국 관련 사진 및 일러스트레이션의 유통 과정에 대한 소고 2. 서양인의 눈에 비친 한국 이미지
자료 조사 현황
1. 명지대 LG연암문고 현황(김장춘)
2. 유럽 자료 조사 소개(최인진 박주석)
3. 참고 도서
저자소개
책속에서
[영국군의 거문도 점령] <도판 4>는 고도에 건설된 해병대 영구 막사이다. 상단부는 사관들의 공간이고, 중간부는 주둔군 본부와 하사관 사병들이 사용하던 제 공간이고, 하단부는 포대가 사용하던 공간이었다. 그 밑에는 일본인들이 사용하는 세탁부용 막사, 경비실, 전보통신실이 있었다고 한다. 영국군을 따라온 일본인들은 서도의 백사장에 일본인 여자들을 고용하여 유곽을 운영하였으며 영국 병사가 몰래 찾아가다가 익사하는 사고도 있었다고 한다. -107쪽 <도판 4> 해병대 영구 막사
[청일전쟁] 평양에서 승리한 일본군은 다음 날부터 청국의 북양함대에 맞서게 되었다. …적극적으로 싸울 의사가 없었던 청국 함대는 조선으로의 병력 수송을 마치고 여순항으로 귀환하던 중 1894년 9월 17일 해양도와 장지도 부근에서 일본 함대와 만나 황해 해전을 벌이게 되었다. <도판 1>은 황해 해전의 모습이다. 일본 함대는 일렬로 줄지은 종렬대형을 이루고 있는데, 이것은 청국 함대의 우측면을 공격하기 위한 함정의 배치라고 한다. -146쪽 <도판 1> 압록강 전투
[러일전쟁] 제물포에 도착한 일본군은 먼저 서울 장악을 위하여 일본군의 위용을 보여 주려 하였던 것으로 생각되며 이를 위해 초기에 조선에서 가장 많은 일본군(2만 명)을 서울에 주둔시켰다. <도판 8>은 인천에서 경인선을 타고 서울 남대문역에 도착한 일본군의 모습이다. -194쪽 <도판 8> 서울 남대문역에 도착한 일본 군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