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생활환경계열 > 의류학
· ISBN : 9788972783770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05-03-21
책 소개
목차
옮긴이의 말
제1장 현대사회와 패션의 위상
말도 많은 패션계
현대인의 감성과 패션의 다양성
다양한 시각에서 본 패션
제2장 모호한 패션의 기원
패션을 말하기 어려운 까닭
토스타인 베블렌의 <유한계급론>에서 본 유행 현상
패션의 실용주의 선언
패션과 신체
의복의 속과 겉을 이어주는 것
미디어에 의한 지각 변화와 패션
패션을 창조한 예술가들
패션의 음모
패션과 사회의 관계
제3장 패션을 말한다
패션은 언어인가
옷의 의미는 다양하다
블루진의 의미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법
자신을 표현하는 패션
유행은 과연 시대의 거울인가
영화 의상의 기호학
제4장 자신을 꾸민다는 것
근대사회와 개성
신체 꾸미기
근대사회와 패션의 역할
개성은 사회의 산물
광고와 잡지의 영향력
여성스러움과 패션의 이미지
남성다움과 패션의 이미지
신체를 꾸며서 나 자신을 꾸민다
제5장 젠더와 쇼핑
백화점과 도벽
정신분석학에서 본 패션
패션에서 성을 읽는다
젠더라는 억압 장치
패션 사진과 젠더
젠더와 카테고리에 대한 도전
소비사회와 젠더
소비사회와 자기의 재구성
제6장 생활의 미학과 신체 억압
신체의 일부가 되는 옷
이상적인 패션
패션과 신체 관리
다이안 아버스와 패션 사진
패션의 유혹
제7장 패션 감각
섹스를 감추는 옷.드러내는 옷
패션 감각과 문화 자본
상층계급이라는 메시지
아이덴티티라는 메시지
제8장 소비사회와 패션의 역사
오트 쿠튀르의 빛과 그림자
소비사회의 역사
대량생산과 소비사회의 18세기
사회 개혁과 현상 유지
백화점의 탄생과 패션 산업
비합리적 욕망으로서의 패션
소비는 과연 인간을 해방시키는가
제9장 도시의 패션
미술관에 들어간 패션
도시와 아이덴티티
대항문화와 스트리트 패션
스타일의 의미는 어떻게 결정되는가
도시에서 살아남기 위한 패션
후주
출처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책속에서
라이트가 주장한 바에 따르면, 몸에 달라붙는 작은 옷은 신체의 성적인 특징에 주의를 집중시키면서 몸을 강조한다. 이 패션은 혼돈과 질서를 동시에 말해주는 의복의 '언어'인 셈이다. 의복 자체는 이전의 옷과 다를 바가 없지만, 여전히 기성의 언어에 도전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작지만 입을 수 없을 정도는 아니며, 몸에 맞는 것 같지만 적당하지 않고, 몸을 가리기는 하지만 제대로 가리지는 않는다. - 본문 72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