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기타
· ISBN : 9788972971580
· 쪽수 : 348쪽
· 출판일 : 2025-06-13
책 소개
목차
이 책에 쏟아진 찬사
해제: 있는 그대로의 하마스를 욕하라_팔레스타인평화연대 뎡야핑
들어가는 글
하마스 역사의 주요 연표
1장 파올라 카리디 박사와의 대담
2장 칼레드 흐룹 박사와의 대담
3장 예룬 구닝 박사와의 대담
4장 무인 랍바니와의 대담
5장 아잠 타미미 박사와의 대담
부록 1 이슬람 저항 운동(하마스) 헌장
부록 2 미국 국제민주연구소의 팔레스타인자치의회 선거에 관한 최종 보고서
부록 3 2017년 하마스 일반 원칙 및 정책 문서
부록 4 하마스가 미국의 테러 단체 목록에 등재된 과정에 대한 설명
부록 5 우리의 서사…… 알아크사 홍수 작전
부록 6 팔레스타인정책조사연구소의 여론조사 92번
주요 인명
용어
참고 문헌
감사의 글
옮긴이의 글: 하마스와 팔레스타인, 오늘날의 식민주의를 보는 창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팔레스타인 바깥에 있는 우리가 하마스의 정책과 입장을 ‘좋아하느냐’의 여부는 요점을 벗어난 것이다. 중요한 것은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군사 점령에서 자유로워지고, 스스로 미래를 결정하고, 평화와 안전이 보장되는 가운데 그들이 선택한 방식으로 국가 통치 기구를 건설할 권리를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이 조만간 실현된다면 이론의 여지 없이 이슬람 저항 운동 하마스가 그 프로젝트의 핵심이 될 것이다._ 들어가는 글
우리는 수감자들의 경험을 통해 교도소 밖의 하마스의 정치적 행동 양식에 대해서도 알 수 있습니다. 즉 하마스는 계속 협상하고 있고 협상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들은 다른 정파들과 교도소 안에서도, 밖에서도 모두 협상했습니다. 정치 운동으로서 하마스가 걸어온 길을 따라가다 보면, 하마스가 이스라엘과도 협상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_ 파올라 카리디 박사와의 대담
저는 식민지를 겪고 있는 팔레스타인 현장에서 특정 정치 운동을 주변화하거나 주류화하는 것은 저항의 여부라고 생각해요. 따라서 저의 부족한 식견을 토대로 말씀드리자면 서안지구와 가자지구 등지에서 사람들이 하마스를 지지하게 만드는 최우선 요소는 저항이라고 생각합니다. _ 칼레드 흐룹 박사와의 대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