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여성학/젠더 > 여성문제
· ISBN : 9788972974826
· 쪽수 : 398쪽
· 출판일 : 2005-07-30
책 소개
목차
1장 여성학이란 무엇인가 _ 강이수
2장 평등과 해방의 꿈: 페미니즘의 다양한 모색 _ 김영희
3장 역사 속 여성의 삶 _ 이순구.소현숙
4장 여성성과 젠더 정체성_ 조현순
5장 소비자본주의 사회와 여성의 몸_ 김양선
6장 여성의 눈으로 영화 보기_ 주유신
7장 섹슈얼리티와 성문화_ 이성은
8장 가족, 허물기와 다시 쌓기_ 김혜경
9장 여성노동의 현실과 대안_ 박기남
10장 여성과 법_ 김엘림
11장 국가와 여성정책_ 강남식
12장 한국 여성운동의 어제와 오늘_ 장미경
13장 북한사회와 여성의 삶_ 김귀옥
14장 세계의 여성운동, 어제와 오늘_ 정현백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그 결과 1970년대 중반 이후 페미니즘 영화 비평과 이론에 도입된 것이 기호학과 정신분석학이다. 기호학이 영화의 이미지뿐만 아니라 서사구조와 시선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텍스트에 담긴 가부장제적 무의식과 성차별 이데올로기를 구조적이고 미학적인 차원에서 밝혀 낸다면, 정신분석학은 재현을 규정하는 문화적 요인들을 설명해 줄 뿐만 아니라 남녀의 상이한 성심리.욕망.쾌락.동일화 같은 문제들을 심도 있게 해명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따라서 이제 페미니즘 영화 비평과 이론은 '재현되는 여성들의 이미지' 자체에서부터 '여성들이 재현체계 속에서 어떻게 여성으로 구성되는가'라는 과정의 문제로, 그리고 '그 과정은 특수한 사회역사적 맥락에서 어떤 의미를 갖게 되는가'하는 문제로 나아가게 된다.
즉 재현된 여성의 이미지는 그 자체로서가 아니라 그러한 이미지를 빚어 내는 전반적인 재현체계에 내포된 성차별주의, 위계화된 남녀관계라는 문제와 더불어 분석되고 비판된다. - 본문 149쪽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