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책은 돛

책은 돛

(내 삶의 인문교양을 향한 첫 항해)

고진하 (지은이)
동녘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500원 -10% 2,500원
750원
15,2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15개 1,70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10,500원 -10% 520원 8,930원 >

책 이미지

책은 돛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책은 돛 (내 삶의 인문교양을 향한 첫 항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72977315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15-03-25

책 소개

‘인문학’ 대신 ‘인문교양’이라는 단어를 택했다. 인문학자가 될 것이 아니라면 ‘학(學)’이 아니라 ‘교양’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이다. 더불어 얕은 지식보다는 지혜가 강조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저자는 인문학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내가 삶의 주인공이 되는 길’을 열어줄 열두 개의 키워드를 뽑았다.

목차

머리말

1강 [나] 당신 안에 나비의 재료가 있다
2강 [책임] 잘 보려면 마음으로 보아야 한다
3강 [자유] 나는 자유다
4강 [사랑] 너와 나를 살리는 영혼의 묘약
5강 [긍정] 춤추는 별을 낳는, 거룩한 긍정의 철학
6강 [예술] 거룩한 낭비
7강 [고독] 세상의 모든 책을 덮게 한 최후의 지혜
8강 [자족] 내려놓음을 배우는 시간
9강 [자비] 가장 깊은 중심에서는 모두가 하나
10강 [느림] 걷는 즐거움으로의 초대
11강 [지혜] 당신의 희열을 따라 살라
12강 [죽음] 학생의 기쁨―배움은 끝이 없다

저자소개

고진하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원 영월에서 태어나 1987년 『세계의 문학』으로 데뷔했다. 숭실대학교 문예창작과 겸임교수를 역임했으며, 시집 『지금 남은 자들의 골짜기엔』, 『프란체스코의 새들』, 『명랑의 둘레』, 『야생의 위로』 등 다수와 산문집 『신들의 나라, 인간의 땅: 우파니샤드 기행』, 『조금 불편하지만 제법 행복합니다』, 『야생초 마음』 등이 있다. 김달진 문학상, 영랑시 문학상, 박인환 상 등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삶의 지혜를 내장한 책은 우리 인생이라는 배를 앞으로 밀고 나아가게 하는 ‘돛’입니다. 거센 정신의 폭풍우가 몰아치는 바다 위에서도 말이죠. 세상에는 물론 ‘돛’이 아닌 ‘덫’으로 작용하는 무익한 책도 있습니다. 그러나 제가 읽은 책들은 존재의 진보를 가능하게 해준 돛이었습니다. 그야말로 제 인생을 앞으로 나아가게 도와준 ‘마음을 밝히는 보배로운 거울’이었죠. 항상 곁에 두고 사귄 벗이요, 스승이었던 그 책들은 행간의 깊이를 담보하고 있습니다. 그 행간의 깊이를 읽어내려면 물론 세월의 경과가 필요합니다. 오래 전에 읽었던 책들을 이번에 다시 읽으며 그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모름지기 좋은 책들은 세월이 흘러 다시 읽어도 새로운 감동을 자아내죠. 저는 제 강의를 듣는 분들과 함께 이 책들을 읽으며 ‘보이지 않는 책’, 즉 생생한 제 삶의 경험에서 얻은 소중한 지혜도 함께 나누었습니다.


저는 이 노랫말 속에서 “진보는 없어도 복된 마음의 평화가 있다”는 구절이 가슴에 와 닿았습니다. 여기서 ‘진보’라는 말이 자본주의화된 서구 세계처럼 물질의 진보를 뜻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라다크라는 공간에는 전혀 어울리지 않는 말입니다. 이번에 가서 보니, 라다크 땅에서 자라는 곡식이 주로 보리와 밀인데, 곧 추수철이 다가오는데도 겨우 한 뼘밖에 자라지 못했더군요. 높고 험준한 산자락으로 양떼를 몰고 다니는 유목민도 보았지만, 그들이 양떼를 풀어놓은 초지도 아주 빈약하기 짝이 없었고요. 그런 환경에서 살아가는 이들이 어떻게 물질의 진보나 번영을 바랄 수 있겠습니까. 그야말로 입에 풀칠이나 할 수 있으면 다행인 거죠. 그럼에도 헬레나는 라다크 사람들이 ‘세상을 보는 방식’에 매료되었다고 말합니다.


오늘날 이 천민자본주의에 포로가 되어 살아가는 많은 현대인들은 ‘누림’이 아닌 ‘견딤’의 삶을 살고 있죠. 그러면 누림의 삶과 견딤의 삶을 구분하는 기준은 뭘까요? 그건 아주 간단히 구분할 수 있어요. 누림은 느림의 삶이고 견딤은 쫓기는 삶이죠. 주변을 둘러보세요. 오늘날 문명의 혜택을 누리며 사는 풍족한 사람들이 더 쫓기며 삽니다. 더 많은 부를 쌓기 위해, 혹은 그 부를 지키기 위해! 이런 역설적 현상을 풍요로운 유럽에서 경험한 헬레나는 라다크 사람들의 그 ‘느림’ 속에 깃든 존재의 부요를 부러워합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88972977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