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의 풍속 민간신앙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73006526
· 쪽수 : 143쪽
· 출판일 : 2005-09-30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민속/한국전통문화
· ISBN : 9788973006526
· 쪽수 : 143쪽
· 출판일 : 2005-09-30
책 소개
한국의 민간 신앙에 대해 살펴본다. 단군에서부터 지금껏 이어져온 무교, 조상숭배와 제사 및 차례 등과 관련된 가(家) 신앙,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 마을에서 사회적 기능을 담당했던 마을 신앙을 사진을 곁들여 설명한다.
목차
책머리에
제1장 무교
1. 한국인에게 무교는 무엇일까
2. 무교의 대강
3. 굿의 사회적 기능
4. 한국 문화와 무교
제2장 가(家) 신앙
1. 조상 숭배와 제사
2. 차례 지내기
3. 시제(時祭)
4. 제사의 사회성과 종교성, 그리고 미래에 대하여
5. 가신(家神) 신앙
제3장 마을 신앙
1. 서낭당, 마을굿이 벌어지는 곳
2. 마을굿의 진행 모습
3. 마을굿의 한 예, 공주 탄천 소리실마을의 경우
4. 마을굿의 사회적 기능
글을 맺으며
찾아보기
저자소개
책속에서
한국의 무당은 크게 보아서 강신무와 세습무라는 두 부류로 나뉜다. 강신무는 자신의 몸주로 신령을 모시고 모든 문제를 풀 때 이 신령을 통해 하는 무당을 말한다. 이에 비해 세습무는 모시는 신령 없이 사제와 같은 역할을 하는 무당을 말한다. 지역적으로 보면 세습무는 전라도 지방에 많은데, 요즘은 뒤섞여 지역적 구분이 별 의미가 없다고 한다. - 본문 22쪽에서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