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88962465648
· 쪽수 : 360쪽
· 출판일 : 2025-11-17
책 소개
죽음 이후에도 삶은 계속된다.
이 책은 지난 2025년 4월 19일 필자가 대표로 있는 '한국죽음학회'와 옥스퍼드대학의 지영해 교수가 이끄는 'Oxford Humans Korea'가 협업하여 공표한 '인간 의식의 사후 존속에 관한 서울 선언’에 대한 주석서라 할 수 있다.
이 선언문의 요지는, 인간의 의식은 뇌에 국한되지 않기 때문에 뇌가 기능하지 않아도 존속한다는 것이다. 즉 의식의 비국소성(非局所性, nonlocality)을 주장한 것인데, 이것은 기존에 많은 사람들이 신봉하던 물질주의적인 세계관을 정면에서 부정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유물론적인 과학의 영향으로 인간의 의식은 뇌에서 일어나는 신경생리학적 반응의 부산물에 불과하다고 믿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그들은 인간이 사망하면 의식 역시 자연히 소멸한다고 생각한다.
이 책에서는 이 주장을 철저하게 반박하는데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유력한 근거를 제시했다. (1) 근사체험, (2) 임종침상 비전, (3) 사후통신, (4) 영매(medium)를 활용한 실험실 연구, 그리고 (5) 어린이의 환생 체험 연구가 그것이다.
이 책은 이 다섯 가지 근거에 대해 소상하게 밝히고 있는데 만일 여러분이 이 책을 정독한다면 사후생의 존재를 더 이상 의심하지 않을 것이다.
목차
시작하면서
사후생을 긍정하는 다섯 가지 근거
첫 번째 근거
근사체험이란 무엇인가?
드디어 사후 세계의 빗장이 열리다.
- 근사체험에 대한 학술적 연구의 시작
근사체험 연구의 창시자, 레이몬드 무디
근사체험을 최초로 학술적으로 연구한 케니스 링
근사체험의 강력한 주창자, 죽음학의 대모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
의학지에 최초로 근사체험 연구 논문을 게재한 핌 밤 롬멜
자신의 근사체험을 베스트셀러로 만든 의사, 이븐 알렉산더
근사체험의 단계
제 1 단계: 체외이탈(Out-of-Body-Experience, OBE) 체험
제 2 단계: 터널 통과 체험
제 3 단계: 빛의 존재와의 만남
말할 수 없이 아름다운 영혼의 세계 I 빛의 존재와 같이 하는 ‘삶의 회고’ I 무조건적인 사 랑 체험하기 I 사랑과 함께 배움도 I ‘빛’의 정체는? I 종교와는 무관한 빛의 존재
제 4 단계: 장벽 앞에 서기
제 5 단계: 귀환
두번째 증거
임종침상 비전(Death Bed Vision)
임종침상 비전이란 무엇인가
임종침상 비전에 대한 연구와 회의론
사례
세 번째 중거
사후통신(After-Death Communication)
사후통신이란 무엇인가
사후통신 연구의 선구자: 빌 구겐하임
다양한 방법으로 나타나는 사후통신
- 사후통신이 나타나는 여덟 가지 방법에 대해
1. 임재함 느끼기 I 2. 청각적인 사후통신 I 3. 촉각적 사후통신 I 4. 후각적 사후통신 I 5. 시각적 사후통신 I 6. 선잠 혹은 꿈속 사후통신 I 7. 전화 사후통신 I 8. 물질적 사후통신 I 9. 기타 가외의 체험에 대해
네 번째 연구
영매(Medium) 연구
간략하게 본 영매 연구사
게리 슈워츠는 왜 영매 연구를 시작했을까?
게리 슈워츠의 실험은 어떻게 진행됐을까?
영매들 이야기
영매 에드워드 이야기 I 그 외 다른 영매 이야기—치코 자비에르 I 사후세계를 묘사한 최 고의 영화--“Astral City” I 영화 아스트랄 시티의 내용은?
다섯 번째 근거
환생 연구
- 어린아이를 대상으로 한 이안 스티븐슨의 연구를 중심으로
20세기에 서양에서 갑자기 나타난 환생 연구
느닷없이 20세기 중엽에 서양에서 각광받은 환생론 - 에드거 케이시의 경우 환생을 옹호한 대표적인 서양 의사 - 브라이언 와이스
인간의 환생을 처음으로 학술적으로 연구한 이안 스티븐슨
인간의 환생 연구에서 독보적인 이안 스티븐슨 교수
이안 스티븐슨은 누구?
스티븐슨은 왜 어린아이를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았을까?
정식의 사례로 등재되는 과정은?
사례 1—전생을 기억하는 아이들
사례 2—전생의 언어를 말하는 사람들
사례 3—모반과 선천적 결함
책을 마치며
부록 “인간 의식의 사후 존속에 관한 서울 선언 (2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