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대학교재/전문서적 > 사회과학계열 > 행정학
· ISBN : 9788973664467
· 쪽수 : 130쪽
· 출판일 : 2014-12-01
목차
국문요약 13
제1장 연구개요(신의기) 23
제1절 연구의 목적과 의의 25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7
1. 지하철 역사의 범죄위험성 분석 27
2. 성폭력, 학교폭력 범죄위험성 분석 28
제2장 이론적 배경(신의기.박준휘) 33
제1절 범죄위험성의 의의 35
1. 범죄위험성의 의의 35
2. 범죄위험성의 측정 36
제2절 생태학적 관점 39
1. 생태학적 관점의 의의 39
2. 발달과정 39
제3절 지하철 범죄위험성 분석에 관한 이론적 검토 43
1. 지하철 환경구성과 이용자 행태 43
2. 지하철 역사 환경디자인 기준 43
제3장 지하철역사 위험성 평가도구 개발(이경훈?강석진) 47
제1절 지하철 범죄발생 현황 및 실태분석 49
1. 지하철 범죄 발생현황 49
2. 범죄발생 패턴의 유형 분류 50
3. 전문가 면담조사를 통한 지하철 역사의 범죄환경분석 51
가. 지하철 범죄 전반 51
나. 역사별 특성 52
4. 범죄유형별 영향요인 분석 55
가. 분석대상 역사 및 변수 선정 55
나. 기술통계 56
다. 상관분석 57
제2절 현장조사를 통한 지하철 역사 환경분석 58
1. 대상지 선정 58
2. 현장조사 체크리스트 59
제3절 지하철 역사유형별 사례연구 61
1. VGA를 통한 지하철 역사별 공간분석 61
가. 공간 분석개요 61
나. 지하철 역사별 시지각 환경분석 결과 62
다. 동적 시각분석(Visual Dynamics Analysis) 64
2. Simulex를 통한 지하철 역사별 공간분석 66
가. 공간분석 개요 66
나. 공간분석 결과 67
제4절 정책제언 67
제4장 우리나라 성폭력 및 학교폭력 발생현황(강용길?김도우) 71
제1절 전국 시도별 성폭력 발생현황 73
1. 전체 성폭력 발생현황 73
2. 유형별 발생현황 74
제2절 학교폭력 발생현황 76
1. 청소년폭력예방재단 조사 76
가. 연도별 피해율 76
나. 연도별 학교폭력 심각성 인식도, 학교폭력으로 인한 고통정도 77
다. 학교폭력의 시.공간적 추세 78
2. 교육과학부 전국 학교폭력 실태조사 79
제5장 성폭력 및 학교폭력 위험성 평가방법(강용길?정진성) 81
제1절 성폭력 범죄위험성 평가의 방법 83
1. 특성 83
2. 성폭력의 개념 및 측정 84
3. 결과 86
제2절 학교폭력 범죄위험성 평가의 방법 87
1. 학교주변 사건 및 위험 사례 수집 87
2. 학교폭력 범죄위험성 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88
제6장 성폭력 및 학교폭력 위험성 평가결과(정진성?강용길) 91
제1절 성폭력 위험성 평가결과 93
1. 전국 시군구별 성폭력 위험성 평가 93
2. 현장조사 분석결과 94
제2절 학교폭력 위험성 평가결과 97
1. 학교범죄 사례조사 지역의 범죄위험도 평가 97
2. 학교 주변지역 취약장소에 대한 범죄위험도 평가 99
가. 감시성 99
나. 접근성 101
다. 유지관리 102
3. 학교 내.외부공간 범죄위험도 평가 102
가. 평가대상 102
나. 분석결과 103
제3절 공간분석을 활용한 위험성 분석 105
1. 공간분석의 필요성 105
2. 성폭력 공간분석 결과 108
가. 시.공간적 특성 108
나. 셉테드 특성 110
3. 학교폭력 분석 114
가. 범죄발생의 일반적 현황 114
나. 시?공간적 특성 116
다. 셉테드 특성 116
제4절 위험성 평가에 따른 정책대안의 개발 119
1. 성폭력 위험성 평가를 통한 정책대안의 개발 119
2. 학교폭력 위험성 평가를 통한 정책대안의 개발 121
가. ‘학생안전지역’ 운영전략의 범위 확대 121
나. 학교범죄예방을 위한 물리적 환경개선 가이드라인 마련 122
다. 지역사회와의 연계 프로그램 정비 125
참고문헌 1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