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일본소설 > 1950년대 이후 일본소설
· ISBN : 9788973816484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1-04-20
책 소개
리뷰
책속에서
비 오는 날은 쓸쓸하다.
왜인지는 모른다. 아니, 나는 그것이 진짜 쓸쓸함인지조차 잘 모른다.
처음 시작은 막 초등학교에 들어갔을 때였다. 수업 중이었다. 내 자리에서 비 내리는 창밖을 바라보는데, 갑자기 갈피를 잡을 수 없는 기분이 들었다. 심장이 뚝 떨어져나간 듯한 느낌, 아랫도리가 텅 빈 것처럼 허전하고, 한없이 허무한 느낌. 그때 내가 할 수 있는 유일한 표현은 ‘싸했다’였다.
비 오는 날이면 찾아오는 그 망막하고 미묘한 감각은 마음의 움직임이라기보다 신체적인 무엇―두 허벅지에 힘을 꽉 주지 않을 수 없는―이어서 나는 더욱 불안했다. 그 증상은 몇 년이나 계속되었다.
아빠 의견은 이렇다. 소요 언니는 이미 ‘법적으로 쓰게 집안의 사람’이니 쓰게 집안사람이 미야자카의 집에서 자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는 것이다. 아빠에게는 언제나 사리에 맞고 맞지 않고가 상당히 중요하다.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법적으로 미야자카 집안으로 돌아오는 것이라면, 그러고 싶을 때 서슴없이 돌아오면 된다’는 얘기가 된다.
엄마 의견은 다르다. 엄마는 ‘마음이 있는 곳’이 중요하단다. 소요 언니의 마음이 쓰게 씨에게 있는 이상 ‘365일 언제나 그곳으로 돌아가야 마땅’하단다.
“그러니까 만의 하나.”
언젠가 엄마는 소요 언니에게 대놓고 그렇게 말했다.
“그러니까 만의 하나 네 마음이 다른 사람에게로 옮겨 갔다면, 그 때는 거리끼지 말고 그 사람 품으로 가거라.”
“태풍 캠프 같네.”
나는 사탕을 우물거리면서 말했다. 태풍 캠프는 우리가 좋아하는 놀이 중 하나다. 태풍―또는 큰 비가 쏟아지거나 바람이 몹시 불거나 지진이 나거나 정전이 되었을 때―이 왔을 때, 모두들 책상 밑에 비집고 들어가 캠프(흉내)를 하는 것이다. 라디오를 듣고 봉지에 든 과자를 먹고, 손전등 불빛에 책을 읽는다. 우리는 그런 평소와는 다른 사건을 무척 좋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