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조선사 > 조선전기(개국~임진왜란 이전)
· ISBN : 9788974114527
· 쪽수 : 355쪽
· 출판일 : 2015-10-09
책 소개
목차
제1장 충녕대군 세종의 등극 배경
1. 세자 양녕대군의 비행과 폐위
양녕대군의 세자 책봉과 태종의 교화 의지
양녕 세자의 일탈행위와 태종의 고뇌
곽선의 첩 어리를 취하는 등의 난행 사건
양녕 세자의 저항과 폐위
2. 태종의 전위 시도와 외척세력 제거
제1차 전위 시도
제2차 전위 시도
두 차례 전위 시도에 숨겨진 의미
태종의 네 처남 등 외척세력을 제거하다
제2장 충녕대군을 임금으로 삼다
1. 군신의 관심을 높이던 충녕대군은 뛰어났다
양녕 세자를 넘어서는 학행
삼경에 밝은 모습
2. ‘택현’이라는 명분으로 등장한 세종
택현이라는 명분의 형성과 새로운 세자 책봉
세자 생활 두 달만의 등극
3. 세종의 스승과 대신
대군시절부터의 스승 이수
퇴출된 황희를 다시 얻다
제3장 새로운 임금 세종, 그는 부모 형제 사이의 불편함을 어떻게 극복하였나?
1. 부모 형제 사이의 불편한 관계
부왕의 부부 불화
세자를 교체하는 일로 인한 분위기 변화
2. 효도와 우애
부모를 공경하는 실제
임금으로서의 형님 존경
누이와 이복형제에 대한 우애
3. 세종 효제의 특징
4. 종친 유대의 한계, 4촌 형 이맹종을 제거
제4장 청년 세종, 그는 처음에 무엇을 공부하였던가?
1『대학연의』
선왕들의 필수 교재
세종의 첫 경연교재『대학연의』란 무엇인가?
2. 세종『대학연의』강독의 실제
『대학연의』강독 사례
『대학연의』강독 의미와 기타 경연 교재
3『성리대전』에 대한 관심
제5장 인간 존중과 애민 정치
1. 인간 존중의 정치
생명을 중시하는 통치의식
인간을 존중하는 사상체계
2. 애민 정치의 구현
위민행정과 수령평가
'살아가는 즐거움'을 누리게 하다
수령교화와 여론조사, 그리고 훈민정음 창제
제6장 불교 긍정과 유불 화해의 도량
1. 불교 긍정의 현실을 중시
불교의식의 잔존
억불정책의 한계
불교 수용의 실제
2. 유불 화해의 정신
유불 화해의 상례·제례의식
유불 공존의 리더십
유불(儒佛) 화해의식의 의의
제7장 의리를 표창하는 전통계승과 도덕사회를 구현하는 노력
1. 태종의 정몽주 표창과 길재 칭송
2. 세종의 정몽주와 길재 표창의 계승
3. 세종의 도덕사회 건설 의지
4. 도덕사회 구현을 도운 대신들의 모습
황희 / 허조
제8장 창조적 문화 창달의 실제
1. 역경 속에서의 훈민정음 창제
2. 세종의 관측기구 개발 의지와 장영실의 역할
3. 국가 의례음악으로서의 아악 정립
부록 : 세종대왕 행장과 선현의 평론
1. 세종대왕의 행장과 부고와 시호
서거 당일 실록 속의 '행장'
중국 명나라에 낸 부고
시호와 묘호를 올리는 글
명나라에서 내린 제문과 시호
2. 세종대왕에 대한 선현의 평론
서거정의 세종 평가
조광조의 세종 평가
이이와 조헌, 이수광의 세종 평가